발모제 시장 `후끈'
발모제 시장에 의약품과 의약외품, 화장품, 건강식품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쏟아져 나오
면서 시장쟁탈전이 치열하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탈모인구는 20세 이상 성인남성 기준으로 23%가량인 350만명
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여기에 여성과 소아탈모 인구까지 포함하면 잠재고객은 더욱 늘어난다. 현재 국내 탈모방지
및 발모제 시장규모는 대략 2천억원 수준이지만 앞으로 4000억∼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
망되고 있다.
시판 발모제 가운데 의약품은 프로페시아와 미녹시딜 등 2종. 지난해 4월말부터 국내 시판
된 미국MSD의 프로페시아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최초의 대머리 치료 전문의
약품이다.
그러나 이 제품은 발모 및 탈모방지 효과가 뛰어나지만 100명 중 1∼2명꼴로 성욕감퇴, 발
기력 저하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게 약점.
FDA가 공인한 또 하나의 치료제인 미녹시딜은 지난 88년부터 일반의약품으로 시판됐으며,
1일 2회 머리에 바르는 약으로 부작용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대약품이 ‘마이녹실’, 한미약품이 '목시딜', 중외제약이 '볼드민' 등의 상품명으로 이 약
을 판매하고 있다.
의약외품으로는 제일제당이 지난해초 내놓은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제인 '직공모발력'과 태
평양제약의 탈모방지제인 '닥터모'가 선두다툼을 벌이고 있다.
벤처기업인 H & C사가 지난 99년 9월 개발, 판매 자회사인 ㈜모리가나를 통해 판매하고
있는 `모리가나'는 국내 시판 발모제중에서 유일하게 먹는 발모제로 일종의 건강식품이다.
참깨와 들깨, 검정콩, 호두, 미역, 다시다 등 자연식품이 주원료로 비타민 A와B, 불포화 지
방산, 미네랄 등의 성분이 풍부해 발모효과가 탁월하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으로 지난해 일
본에 500만달러, 미국에 150만달러어치를 수출했다.
이와 함께 화장품으로는 한독화장품이 자체개발, 지난해부터 자사의 탈모관리센터에서만 판
매하고 있는 '스펠라 707'가 인기를 얻고 있다.
동충하초와 황기, 인삼, 감초 등 12가지 생약추출물로 만든 이 제품은 서울대약리학교실의
실험결과 188명의 탈모환자가운데 57%가 발모효과를 보았다고 한독화장품은 설명했다.
LG산전, 베트남 변전소 기자재 500만달러 수주
LG산전은 최근 베트남 중부전력청이 발주한 빈닌변전소 등 7개변전소의 기자재 프로젝트를
수주, 500만달러 규모의 초고압기기와 배전반 설비를 오는 7월까지 공급하게 됐다고 31일
밝혔다.
LG산전은 이를 계기로 연간 7000만달러 규모의 베트남 전력설비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는
것을 포함해 동남아시장에서 모두 3000만달러의 매출을 올린다는 계획 아래 신제품설명회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LG산전은 베트남에 전력기기 생산 및 판매법인을 두고 작년 베트남 전력설비시장에서
11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 프랑스 알스톰에 이어 점유율 2위를 차지했다.
국제유가 상승세 반전
28~29일 이틀간 하락세를 보이던 국제 유가가 다
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31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29일(현지시각) 배럴당 23.49 달러로 전날보다 0.61달러 내렸던
두바이유 3월 인도분은 30일 0.23달러 상승해 23.72달러로 다시 올라섰다.
또 29일 26.86달러로 전날보다 0.57달러 내렸던 북해산 브렌트유 2월 인도분도 30일 0.49달
러 오른 27.35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다만 서부텍사스중질유(WTI) 3월 인도분은 전날보다 0.02달러 내린 29.07달러를 기록, 전날
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석유공사는 "30일 유가 반등은 28-29일 이틀간 유가가 하락한데 따른 기술적 반등의 성격이
크다"며 "이라크의 석유수출 차질도 국제유가의 강세요인으로 작용할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미국석유협회의 재고 발표에 의하면 미국 원유 재고는 당초 예상과 달리 전주에
비해 560만배럴이나 감소, 유가 강세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