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지리정보원(원장 신인기)은 인터넷 및 각종 지도간행물 등에 서로 다르게 표기돼 있는 전국 주요 산의 정상 위치와 높이의 통일 작업을 2005년 12월부터 본격 추진한다.
그 동안 산 높이의 표기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지도관련 간행물을 이용하는 등산객이나 관광객 등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했고, 최근에는 휴대용 GPS를 이용하는 등산객이 많아짐으로서 이에 대한 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산 높이 표기 세부기준을 마련해 축척 1/5000 국가기본도를 기준으로 전국 주요 산의 정상 위치 및 높이를 2006년 말까지 정비할 계획이다.
또한, 정비된 정상위치 및 높이를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해 민간부문에서 공급하는 각종 지도 및 국가기본도에 표기된 산 높이에 대한 일관성을 유지할 계획이다.
향후 산 높이 정비가 완료되면 우리나라 산과 국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기 위하여 산 명칭, 위치 및 높이, 유래 등을 집대성한 자료집을 발간할 예정이다.
/장병호 기자 bh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그 동안 산 높이의 표기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지도관련 간행물을 이용하는 등산객이나 관광객 등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했고, 최근에는 휴대용 GPS를 이용하는 등산객이 많아짐으로서 이에 대한 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산 높이 표기 세부기준을 마련해 축척 1/5000 국가기본도를 기준으로 전국 주요 산의 정상 위치 및 높이를 2006년 말까지 정비할 계획이다.
또한, 정비된 정상위치 및 높이를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해 민간부문에서 공급하는 각종 지도 및 국가기본도에 표기된 산 높이에 대한 일관성을 유지할 계획이다.
향후 산 높이 정비가 완료되면 우리나라 산과 국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기 위하여 산 명칭, 위치 및 높이, 유래 등을 집대성한 자료집을 발간할 예정이다.
/장병호 기자 bh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