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통화신용정책 방향을 ‘물가안정’에 맞출 전망이다.
2일 박 승 한은 총재는 신년사를 통해 “올해 물가는 하반기이후 그간의 비용상승압력이 현재화되면서 오름세가 빨라질 가능성이 있다”면서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물가안정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또 “지난 수년간의 제도운용 경험과 최근 달라진 물가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정책의 파급시차 등을 고려해 내년이후의 물가안정목표를 조기 설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금리정책은 성장과 안정의 균형을 유지하는 바탕 위에서 완화기조는 유지하되 완화정도는 점차 줄여 나가 경기회복을 뒷받침하고 자금배분의 효율화를 도모할 것”이라며 “단기화돼 있는 시중의 풍부한 유동성이 자산가격을 자극하거나 금융시장 불안을 초해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통화정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금융시장과의 대화의 폭을 넓히는 한편 시그널링을 활성화해 예측가능성을 한층 높여나갈 것”이라며 “정책파급경로와 효과에 대한 촘촘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중기적 시계에서 정책의 선제적 운용을 도모하겠다” 고 설명했다.
중소기업 지원의 실효성을 높이고 지역금융 활성화를 위한 총액한도대출 지원체제 조정 의사도 밝혔다. 통안증권의 증가압력을 억제하고 RP(환매조건부 채권)거래의 채권매매방식으로 변경 등 공개시장조작 운영체제도 개편하겠다고 제시했다.
대출과 지급준비제도 등 정책수단 운용의 개선방안을 전반적으로 검토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시장 안정방안으로는 △잠재적 시장교란요인 상시 점검 △외환거래 검사체제 확립위한 모니터링 대폭 강화 △한은금융망의 결제방식 개선 등을 내놓았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