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는 애완견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에만 5만마리가 버려져 2003년에 비해 3배나 늘었다.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애완견은 줄어드는 반면 유기견 수는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농림부에 따르면 2005년 한 해 동안 버려진 개와 고양이 등 애완동물은 모두 6만1000여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유기견은 5만마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버려진 애완동물을 포획하고 보호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마련한 예산만 57억여원으로 전년에 비해 2배가 늘어났다. 올해는 더 늘어날 것이라는 게 관계 당국의 판단이다.
◆전국 애완견 수는 260만마리 = 농림부 통계에 따르면 전국 애완견과 사육견 수는 9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해 2002년 294만8000마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듬해인 2003년 293만1000여마리, 2004년 262만2000마리 등으로 줄어들고 있다. 2005년 통계는 아직 집계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농림부는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애완견이 줄어드는 반면 유기견은 급증하고 있다.
2003년 1만7400마리였던 유기견은 2004년 3만8000여마리로 2배를 훌쩍 넘어섰고 2005년엔 5만여마리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해 서울에서만 1만6000여 마리의 애완견이 버려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유기견을 보호하기 위해 투입되는 관련 예산만 2004년 27억원에서 2005년에는 57억원으로 늘어났다. 1마리당 평균 9만3000원 가량이 소요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농림부 가축방역과 김규억 사무관은 “애완견을 구입해 기르다가도 치료에 비용이 많이 드는 병에 걸리거나 싫증이 나면 버리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면 “유기견 수는 경기상황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분양 희망자 없으면 안락사 = 지방자치단체장은 유기견이 발견되거나 주민 신고가 있을 경우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해야 한다. 관내 동물병원이나 동물구조관리협회 등에 위탁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위탁받은 동물병원이나 단체는 포획한 유기견을 1개월 동안 보호한다. 우선 동물을 치료한 뒤 주인이 나타나기를 기다리게 되는 것이다. 1개월이 지나도록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희망자들에게 분양을 하게 된다. 지난해 11월까지 서울에서 신고된 유기견 1만4000여마리 중 주인이 찾아간 경우는 560마리, 희망자에 분양된 경우는 480마리 정도였다. 분양되지 않은 나머지 유기견은 안락사 된다. 전체 유기견의 80% 가량에 달한다.
더구나 유기견이 많아지면서 민간이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자 경기도 부천과 평택, 광명을 비롯한 11개 지방자치단체는 별도 예산을 들여 자체 유기견보호소를 만들어 직영하고 있다. 민간에서 운영하는 일부 유기견보호소가 안락사 시켜야 하는 유기견을 빼돌려 ‘보신탕’ 집으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어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운용하는 유기견보호소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애완견 버리면 동물학대 = 동물보호법 상 애완견을 버리는 행위는 동물학대에 해당돼 적발되면 2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 과료 등이 부과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처벌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유기견 주인을 찾는다 하더라도 잃어버렸다며 개를 다시 가져가면 그만인데다 대부분은 주인을 찾을 수조차 없기 때문이다.
서울 근교 야산에서 들개떼가 심심찮게 목격되는 등 유기견이 야생화된 경우도 늘어나고 있어 안전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야생화된 들개라 하더라도 덩치가 큰 성인을 공격하지는 못하지만 어린이들을 공격할 가능성은 충분하기 때문이다. 최근 개에 물려 사망하거나 부상당한 어린이가 많다는 점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김원명 박사는 “개는 야생화되면 무리지어 사냥을 하는 본능이 살아난다”며 “실제 제주도에서는 고라니를 공격하는 들개떼가 카메라에 잡힌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농림부에 따르면 2005년 한 해 동안 버려진 개와 고양이 등 애완동물은 모두 6만1000여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유기견은 5만마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버려진 애완동물을 포획하고 보호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마련한 예산만 57억여원으로 전년에 비해 2배가 늘어났다. 올해는 더 늘어날 것이라는 게 관계 당국의 판단이다.
◆전국 애완견 수는 260만마리 = 농림부 통계에 따르면 전국 애완견과 사육견 수는 9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해 2002년 294만8000마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듬해인 2003년 293만1000여마리, 2004년 262만2000마리 등으로 줄어들고 있다. 2005년 통계는 아직 집계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농림부는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애완견이 줄어드는 반면 유기견은 급증하고 있다.
2003년 1만7400마리였던 유기견은 2004년 3만8000여마리로 2배를 훌쩍 넘어섰고 2005년엔 5만여마리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해 서울에서만 1만6000여 마리의 애완견이 버려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유기견을 보호하기 위해 투입되는 관련 예산만 2004년 27억원에서 2005년에는 57억원으로 늘어났다. 1마리당 평균 9만3000원 가량이 소요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농림부 가축방역과 김규억 사무관은 “애완견을 구입해 기르다가도 치료에 비용이 많이 드는 병에 걸리거나 싫증이 나면 버리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면 “유기견 수는 경기상황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분양 희망자 없으면 안락사 = 지방자치단체장은 유기견이 발견되거나 주민 신고가 있을 경우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해야 한다. 관내 동물병원이나 동물구조관리협회 등에 위탁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위탁받은 동물병원이나 단체는 포획한 유기견을 1개월 동안 보호한다. 우선 동물을 치료한 뒤 주인이 나타나기를 기다리게 되는 것이다. 1개월이 지나도록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희망자들에게 분양을 하게 된다. 지난해 11월까지 서울에서 신고된 유기견 1만4000여마리 중 주인이 찾아간 경우는 560마리, 희망자에 분양된 경우는 480마리 정도였다. 분양되지 않은 나머지 유기견은 안락사 된다. 전체 유기견의 80% 가량에 달한다.
더구나 유기견이 많아지면서 민간이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자 경기도 부천과 평택, 광명을 비롯한 11개 지방자치단체는 별도 예산을 들여 자체 유기견보호소를 만들어 직영하고 있다. 민간에서 운영하는 일부 유기견보호소가 안락사 시켜야 하는 유기견을 빼돌려 ‘보신탕’ 집으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어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운용하는 유기견보호소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애완견 버리면 동물학대 = 동물보호법 상 애완견을 버리는 행위는 동물학대에 해당돼 적발되면 2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 과료 등이 부과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처벌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유기견 주인을 찾는다 하더라도 잃어버렸다며 개를 다시 가져가면 그만인데다 대부분은 주인을 찾을 수조차 없기 때문이다.
서울 근교 야산에서 들개떼가 심심찮게 목격되는 등 유기견이 야생화된 경우도 늘어나고 있어 안전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야생화된 들개라 하더라도 덩치가 큰 성인을 공격하지는 못하지만 어린이들을 공격할 가능성은 충분하기 때문이다. 최근 개에 물려 사망하거나 부상당한 어린이가 많다는 점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김원명 박사는 “개는 야생화되면 무리지어 사냥을 하는 본능이 살아난다”며 “실제 제주도에서는 고라니를 공격하는 들개떼가 카메라에 잡힌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