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가가 하락하고 원사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등 회생의 가능성을 보여왔던 국내 화섬업
계가 유가상승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원면의 원료인 TPA는 유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제품. TPA의
주원료인 PX와 부원료인 MX는 최근 원유가 상승으로 가격이 들먹거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국내 일부 정유사가 PX 생산을 줄이고 있어 가격 상승요인이 발생할 전망이다.
실제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이 지난 19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연간 70만톤 가량의 PX를 생
산하는 SK(주)는 50% 감산에 들어간 상태이고 S-오일도 연산 60만톤의 PX생산을 전면 중
단했다.
또 현대정유와 LG정유도 설비보수(셧다운)와 겹쳐 생산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어 PX
가격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와 함께 AN의 경우도 가격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 화섬업체의 채산성 악화를 부채질하
고 있다. 올 2/4분기 평균 톤당 가격이 950달러선이었으나 3/4분기엔 980달러로 3.2% 상승
한 것. 99년 3월의 가격이 380달러, 6월의 가격이 390달러였던 것에 비하면 2∼3배의 상승률
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화섬업계의 관계자들은 올 중반 이후 회복세로 돌아선 업계경기가 최근 유가 상승으로 꺾일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계가 유가상승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원면의 원료인 TPA는 유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제품. TPA의
주원료인 PX와 부원료인 MX는 최근 원유가 상승으로 가격이 들먹거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국내 일부 정유사가 PX 생산을 줄이고 있어 가격 상승요인이 발생할 전망이다.
실제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이 지난 19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연간 70만톤 가량의 PX를 생
산하는 SK(주)는 50% 감산에 들어간 상태이고 S-오일도 연산 60만톤의 PX생산을 전면 중
단했다.
또 현대정유와 LG정유도 설비보수(셧다운)와 겹쳐 생산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어 PX
가격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와 함께 AN의 경우도 가격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 화섬업체의 채산성 악화를 부채질하
고 있다. 올 2/4분기 평균 톤당 가격이 950달러선이었으나 3/4분기엔 980달러로 3.2% 상승
한 것. 99년 3월의 가격이 380달러, 6월의 가격이 390달러였던 것에 비하면 2∼3배의 상승률
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화섬업계의 관계자들은 올 중반 이후 회복세로 돌아선 업계경기가 최근 유가 상승으로 꺾일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