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지역현안>21세기 성남발전의 키워드 판교계획개발
침단 및 디자인산업등 자족기능·친환경주거기능 확보코자
지역내일
2001-01-11
(수정 2001-01-11 오후 7:03:49)
성남시는 분당구 판교, 삼평동 일대 281만평에 대한 정부의 조속한 개발정책결정을 촉구하고 있다.
판교 일대는 76년 5월부터 현재까지 26년간 건축규제를 해 오고 있는 지역이며, 98년 5월 성남도시기
본계획 수립시 건설교통부로부터 개발예정용지로 승인 받은 지 4년째로 접어들고 있으며 이미 개발
이 예정된 용지다.
성남시는 99년에 이미 국토연구원에 '판교지구개발 타당성 검토 및 기본구상' 연구용역을 통해 판교
일대를 첨단산업 및 디자인산업의 연구 및 산업시설 등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에 맞는 특화된 자족기
능을 유치해 서울 테헤란벨리에서 수원 등 경기 남부권을 연결하는 벤처벨트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
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또한 이러한 자족기능의 배후주거역활과 기존 시가지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기능을 맡아갈 친환경적인 중밀도의 주거기능을 확보해 21세기형 도시모델을 만들고자 하는 야심찬
구상도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말 판교개발문제를 놓고 이견을 보이던 경기도, 건교부, 그리고 성남시간에 자족기능 중심의
도시를 만들되 주거기능을 고려하는 방안으로 의견접근을 보았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건교부, 민주당, 경기도 등이 판교개발에 대한 정책결정을 올해로 미룬 채 건축
허가만 1년을 연장시켰다.
70년대 서울지역 서민 이주정책의 일환으로 성남시 수정·중원구가 만들어지고, 90년대 2백만호 주택
공급 정책의 일환으로 분당신도시가 만들어 졌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보면 수정·중원구는 취약한 도시주거환경의 문제를 안고 있고, 분당신도시는
자족기능이 취약한 베드타운도시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성남의 근원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성남시는 판교계획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는 실정이다.
성남시는 판교개발을 통해 분당구의 취약한 자족기능을 종합적으로 확보하는 한편 수정·중원구 일
대의 주거지 재개발을 위해 판교지역에 20만평 규모의 가이주단지를 확보해 순환재개발방식으로 도
시재개발을 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성남시는 최근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인근지역의 난 개발과는 달리 판교개발은 선계획 후개
발에 의해 환경, 교통, 주거환경, 자족기능이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개발되는 미래형 첨단도시모델
을 만들어 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판교 일대는 76년 5월부터 현재까지 26년간 건축규제를 해 오고 있는 지역이며, 98년 5월 성남도시기
본계획 수립시 건설교통부로부터 개발예정용지로 승인 받은 지 4년째로 접어들고 있으며 이미 개발
이 예정된 용지다.
성남시는 99년에 이미 국토연구원에 '판교지구개발 타당성 검토 및 기본구상' 연구용역을 통해 판교
일대를 첨단산업 및 디자인산업의 연구 및 산업시설 등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에 맞는 특화된 자족기
능을 유치해 서울 테헤란벨리에서 수원 등 경기 남부권을 연결하는 벤처벨트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
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또한 이러한 자족기능의 배후주거역활과 기존 시가지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기능을 맡아갈 친환경적인 중밀도의 주거기능을 확보해 21세기형 도시모델을 만들고자 하는 야심찬
구상도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말 판교개발문제를 놓고 이견을 보이던 경기도, 건교부, 그리고 성남시간에 자족기능 중심의
도시를 만들되 주거기능을 고려하는 방안으로 의견접근을 보았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건교부, 민주당, 경기도 등이 판교개발에 대한 정책결정을 올해로 미룬 채 건축
허가만 1년을 연장시켰다.
70년대 서울지역 서민 이주정책의 일환으로 성남시 수정·중원구가 만들어지고, 90년대 2백만호 주택
공급 정책의 일환으로 분당신도시가 만들어 졌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보면 수정·중원구는 취약한 도시주거환경의 문제를 안고 있고, 분당신도시는
자족기능이 취약한 베드타운도시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성남의 근원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성남시는 판교계획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는 실정이다.
성남시는 판교개발을 통해 분당구의 취약한 자족기능을 종합적으로 확보하는 한편 수정·중원구 일
대의 주거지 재개발을 위해 판교지역에 20만평 규모의 가이주단지를 확보해 순환재개발방식으로 도
시재개발을 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성남시는 최근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인근지역의 난 개발과는 달리 판교개발은 선계획 후개
발에 의해 환경, 교통, 주거환경, 자족기능이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개발되는 미래형 첨단도시모델
을 만들어 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