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여론조사에 나타난 정당지지도만을 놓고 볼때 열린우리당의 2007년 대선 승리는 ‘기대난망’이란 게 중론이다. 여당 지지층조차 회의적이다.
작년 한해 한길리서치의 정기 여론조사에서 열린우리당 지지도는 내리막길을 걸은 반면, 야당인 한나라당은 상승 기류를 탔다. 2005년 1월 조사(14~15일)에서 우리당 26.1%, 한나라당 28.9%로 2.8%포인트 차이에 불과했던 양당간 격차는 12월 조사(16~17일)때 17.9%포인트(16.8% 대 34.7%)로 크게 벌어졌다.
우리당이 4·2전당대회 국면에 본격 돌입했던 3월 11~12일 조사때는 한나라당을 1%포인트 안쪽으로 따라잡기도 했지만 4월과 10월 두차례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참패 할 때마다 우리당의 정당지지도는 급락을 면치 못했다. 5월 조사(13~14일)에서 지지선을 가까스로 지켜냈던 20.2%의 지지도는 11월 조사(4~5일)때 무너지면서 19.0%로 내려앉았다. 같은 시기 한나라당은 각각 30.9%, 37.7%의 지지율을 확보했다.
한달 보름 뒤인 12월의 여당 지지도는 16.8%를 기록, 200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현재의 지표로는 우리당의 재집권 가능성이 낮다는 데 동의하지만 아직은 내년 대선까지 2년의 시간이 남아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당의 지지도 하락은 전통지지층의 이탈에 따른 것이지만, 이탈층이 한나라당 지지로 돌아선 게 아니라 무당층으로 빠져나가 관망하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2007년 대선 국면에서 우리당이 지지층을 결집시키고 중간층을 끌어들여 한나라당과 대치하는 전선을 그어낼 수 있다면 1997년, 2002년에 이어 또 한번 박빙의 승부가 펼쳐질 수 있다는 얘기다.
◆무당층으로 빠져나간 지지층 = 여당의 지지도 하락과 한나라당의 상승에 대해 정치권 안팎에서는 “여당에 대한 국민적 실망감이 한나라당의 반사이익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란 평가가 적지 않다. 이 결과 여당은 자신의 고정 지지층마저 잃게 됐고, 한나라당은 30%가량의 전통지지층 외에 40%의 중도층도 일부 끌어들이게 됐다. 한나라당 37.7%, 우리당 16.8%로 나타난 한길리서치의 지난 12월 정당지지도 조사결과에 담긴 의미다. 이 조사에서 ‘지지정당이 없다’고 답한 무당층이 31.8%나 됐다.
무당층의 규모 변화는 우리당의 재집권 전망과 관련, 주목할 만한 요소다. 2004년 4·15총선 열흘 뒤 실시한 조사에서 우리당은 41.7%, 한나라당은 24.6%의 지지를 얻었다. 민주노동당이 17.9%를 기록한 가운데 무당층은 12.7%에 불과했다. 지난해 4·30재·보선 이후인 5월 조사는 우리당의 지지도가 20.2%, 한나라당이 30.9%로 나타났고 무당층이 31.9%로 크게 늘었다. 우리당의 지지도가 20%대 초반으로 하향세를 뚜렷하게 드러낸 지난 해 5월 이후부터 무당층의 비율은 30%대를 넘나들고 있다.
우리당 지지를 철회한 응답층이 ‘지지정당 없음’이란 유보적 태도를 취하고 있음이 지표에서도 확인되는 것이다.
◆늘어나는 중도, 줄어드는 진보 = 국민들의 정당지지도 변화에서 나타난 몇가지 특징은 여당의 지지회복 노력에 어려움을 줄만한 요소다. 40대의 보수화 경향, 진보의 위기와 중도의 증가 등이 이런 요소로 꼽힌다.
2004년 12월 조사에서 21.8%를 기록했던 40대의 여당지지율은 1년 뒤 13%로 8.8%포인트 하락했다. 연령의 특성상 보수화 가치를 스스로 인식할 시기인데다 ‘먹고 살기’가 어려워지자 보수화 경향이 더 뚜렷해진 때문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정창교 수석연구위원은 “2002년 대선에서 40대의 노무현-이회창 후보 지지도는 50대50로 균형을 이뤘다”면서 “여당이 재집권을 위해서는 40대의 지지율 분포를 이 정도로 회복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진보의 위기와 중도의 증가도 현재까지 여론조사 지표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지난해 연말 몇몇 언론사 여론조사에서 중도는 적게는 33.6%(중앙일보)에서 많게는 45.7%(서울신문)까지로 나왔다. 이와 동시에 진보는 줄어들고 보수는 응집이 강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