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값은 올리고 배지는 지키고?
지방선거 예비후보 등록에 현역은 전무 한나라, 국회의원 예비후보 등록 엄금
지역내일
2006-01-31
(수정 2006-01-31 오전 9:14:40)
전국 16개 시도지사 등 광역단체장 예비 후보자 등록이 31일 시작돼 지방선거전이 본격 개막했다. 정치권의 관심은 과연 현역 국회의원들도 예비후보로 조기 등록할까에 쏠려있지만 현재까지는 이를 공언한 사람은 한 명도 없다. 현역 국회의원이 예비후보자로 등록하려면 의원직을 사퇴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은 선거법에 따른 공직 사퇴 시한까지 최대한 의원직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31일 열린우리당 의원 중 서울시장 출마를 밝힌 이계안 의원, 대전시장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권선택 의원 등은 “의원직을 포기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한나라당도 마찬가지. 홍준표 박 진 김문수 의원 등도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애초 예비후보를 등록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는 맹형규 의원은 정작 등록기간이 되자 결심을 주저하고 있다.
현역 의원들이 예비후보 등록을 꺼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의원직을 유지하는 편이 선거운동에도 이점이 있고, 혹시 정식 후보자로 선출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다.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은 “예비후보 등록제는 정치신인들을 위한 것”이라면서 “국회의원은 지금도 명함도 돌릴 수 있고 의정보고회도 마음대로 열 수 있는데 왜 의원직을 포기하면서 예비후보등록을 하겠느냐”고 말했다.
중앙당도 의석수 확보를 위해 만류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국회의원들이 예비후보로 등록하지 못하도록 하는 당론결정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현역 의원들이 실제 출마의지보다는 이름값만 올리고 나중에 빠지려는 속셈이 아니겠느냐는 비판도 나온다.
한편, 선관위에 등록을 마친 예비 후보는 곧바로 선거사무소와 현수막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 전자우편으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할 수 있고, 5인 이내의 선거사무원을 둘 수 있다. 홍보 명함을 제작해 배우자와 함께 배부할 수도 있고, 1회에 한해 홍보물을 발송하는 등 공식 선거기간 전에 제한적인 선거운동을 벌일 수 있다.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 예비후보 등록은 3월 19일부터다.
김형선 기자 egoh@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31일 열린우리당 의원 중 서울시장 출마를 밝힌 이계안 의원, 대전시장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권선택 의원 등은 “의원직을 포기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한나라당도 마찬가지. 홍준표 박 진 김문수 의원 등도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애초 예비후보를 등록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는 맹형규 의원은 정작 등록기간이 되자 결심을 주저하고 있다.
현역 의원들이 예비후보 등록을 꺼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의원직을 유지하는 편이 선거운동에도 이점이 있고, 혹시 정식 후보자로 선출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다.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은 “예비후보 등록제는 정치신인들을 위한 것”이라면서 “국회의원은 지금도 명함도 돌릴 수 있고 의정보고회도 마음대로 열 수 있는데 왜 의원직을 포기하면서 예비후보등록을 하겠느냐”고 말했다.
중앙당도 의석수 확보를 위해 만류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국회의원들이 예비후보로 등록하지 못하도록 하는 당론결정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현역 의원들이 실제 출마의지보다는 이름값만 올리고 나중에 빠지려는 속셈이 아니겠느냐는 비판도 나온다.
한편, 선관위에 등록을 마친 예비 후보는 곧바로 선거사무소와 현수막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 전자우편으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할 수 있고, 5인 이내의 선거사무원을 둘 수 있다. 홍보 명함을 제작해 배우자와 함께 배부할 수도 있고, 1회에 한해 홍보물을 발송하는 등 공식 선거기간 전에 제한적인 선거운동을 벌일 수 있다.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 예비후보 등록은 3월 19일부터다.
김형선 기자 egoh@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