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넓은 백사장과 수려한 자연 풍광을 가진 송도해수욕장 보전에 부산시가 적극 나선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해수욕장 가운데 최근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송정해수욕장(해운대구) 인근 지역 41만여㎡(12만4000여 평)와 송도해수욕장(서구) 인근 26만7000여 ㎡(8만7600여 평) 등에 대한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시는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도로의 확장이나 신설같은 기반시설 뿐 아니라 건축물의 건폐율 용적율 높이(고도제한) 색깔 등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관리를 할 방침이다.
3월 중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상반기 중에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마칠 예정이다.
해안경관은 부산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자원이라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시는 지난해 7월 5대 해수욕장(해운대, 광안리, 송정, 송도, 다대포) 인근 지역에 대해 ‘해안경관관리지침’을 발표했다. 하지만 지침은 법적인 효력이 없어 지주들의 개발 행위를 막는 데 한계가 있었다.
시 관계자는 “법적 효력을 가진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여 새롭게 개발할 여지가 많은 송정과 송도해수욕장이 무분별하게 개발되는 것을 막고 해안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안리해수욕장은 관할 구청에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고 있고 해운대해수욕장은 완료된 상태다.
한편, 부산시는 규제를 피하기 위해 지주들이 서둘러 개발에 나서는 것도 막겠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되기 전에 미리 개발을 시도하는 경우도 예상되지만 인·허가 과정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청과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산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를 위해 부산지역 해수욕장 가운데 최근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송정해수욕장(해운대구) 인근 지역 41만여㎡(12만4000여 평)와 송도해수욕장(서구) 인근 26만7000여 ㎡(8만7600여 평) 등에 대한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시는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도로의 확장이나 신설같은 기반시설 뿐 아니라 건축물의 건폐율 용적율 높이(고도제한) 색깔 등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관리를 할 방침이다.
3월 중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상반기 중에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마칠 예정이다.
해안경관은 부산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자원이라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시는 지난해 7월 5대 해수욕장(해운대, 광안리, 송정, 송도, 다대포) 인근 지역에 대해 ‘해안경관관리지침’을 발표했다. 하지만 지침은 법적인 효력이 없어 지주들의 개발 행위를 막는 데 한계가 있었다.
시 관계자는 “법적 효력을 가진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여 새롭게 개발할 여지가 많은 송정과 송도해수욕장이 무분별하게 개발되는 것을 막고 해안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안리해수욕장은 관할 구청에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고 있고 해운대해수욕장은 완료된 상태다.
한편, 부산시는 규제를 피하기 위해 지주들이 서둘러 개발에 나서는 것도 막겠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되기 전에 미리 개발을 시도하는 경우도 예상되지만 인·허가 과정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청과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산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