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이 내달 7일 뉴욕 회동을 갖고 위조지폐 및 금융제재 문제를 논의하기로 합의해 양측간 경색국면을 풀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이번 뉴욕 회동은 북한이 거부했다가 재수용해 열리는 것이고 미국이 이를 공표하고 나서 교착상태에 빠져 있는 6자회담의 3월말 또는 4월 개최로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을 낳고 있다. 여기에 4월말 후진타오 중국국가 주석의 첫 공식 백악관 방문을 앞두고 있는 중국과 미국이 6자회담을 재개시킬 필요성을 느끼고 있어 북한의 입장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북한과 미국은 내달 7일 뉴욕에서 접촉을 갖고 북한 위폐 문제 등을 논의한다고 미국무부가 23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이번 뉴욕 접촉에는 북한측에서 리근 외무성 미국 국장이 뉴욕을 방문, 참여하며 미국측 에서는 재무부, 국무부,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들이 참석한다고 미 국무부 애덤 어럴리 부대변인이 밝혔다.
어럴리 부대변인은 “이번 접촉이 북핵 6자회담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강조하고 “미재무부 관리가 주로 설명하는 기술 전문가간 논의”라고 지적했다.
어럴리 부대변인은 그러나 “불법 금융행위 문제와 6자회담을 연계시켜온 것은 북한이며 미국은 위폐 문제와는 상관없이 언제라도 6자회담을 재개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미 언론들은 이번 북미간 뉴욕 접촉을 계기로 북한의 위폐제조 및 미국의 금융제재 문제로 막혀온 6자회담이 일단 재개되는 방향을 잡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북한측은 3월 7일 뉴욕소재 유엔 북한 대표부에서 열리는 이번 접촉에서 위폐문제에 대한 미국측 주장과 요구를 모두 인정하고 수용할지 아직 미지수이지만 적어도 연계방침을 바꿀 가능성은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북한은 위폐관련 대북 금융제재조치를 설명해 주겠다는 미국측 제의를 지난해 11월에는 거부했다가 이번에 수용한 것이고 최근에는 위폐유통 차단 노력에 동참하겠다는 뜻까지 밝힌 바 있다.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han5907@ao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번 뉴욕 회동은 북한이 거부했다가 재수용해 열리는 것이고 미국이 이를 공표하고 나서 교착상태에 빠져 있는 6자회담의 3월말 또는 4월 개최로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을 낳고 있다. 여기에 4월말 후진타오 중국국가 주석의 첫 공식 백악관 방문을 앞두고 있는 중국과 미국이 6자회담을 재개시킬 필요성을 느끼고 있어 북한의 입장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북한과 미국은 내달 7일 뉴욕에서 접촉을 갖고 북한 위폐 문제 등을 논의한다고 미국무부가 23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이번 뉴욕 접촉에는 북한측에서 리근 외무성 미국 국장이 뉴욕을 방문, 참여하며 미국측 에서는 재무부, 국무부,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들이 참석한다고 미 국무부 애덤 어럴리 부대변인이 밝혔다.
어럴리 부대변인은 “이번 접촉이 북핵 6자회담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강조하고 “미재무부 관리가 주로 설명하는 기술 전문가간 논의”라고 지적했다.
어럴리 부대변인은 그러나 “불법 금융행위 문제와 6자회담을 연계시켜온 것은 북한이며 미국은 위폐 문제와는 상관없이 언제라도 6자회담을 재개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미 언론들은 이번 북미간 뉴욕 접촉을 계기로 북한의 위폐제조 및 미국의 금융제재 문제로 막혀온 6자회담이 일단 재개되는 방향을 잡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북한측은 3월 7일 뉴욕소재 유엔 북한 대표부에서 열리는 이번 접촉에서 위폐문제에 대한 미국측 주장과 요구를 모두 인정하고 수용할지 아직 미지수이지만 적어도 연계방침을 바꿀 가능성은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북한은 위폐관련 대북 금융제재조치를 설명해 주겠다는 미국측 제의를 지난해 11월에는 거부했다가 이번에 수용한 것이고 최근에는 위폐유통 차단 노력에 동참하겠다는 뜻까지 밝힌 바 있다.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han5907@ao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