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이 미국에서 입국하면서 에버랜드 CB 편법증여 관련 공모 여부 수사가 활기를 띄고 있다.
‘에버랜드 전환사채(CB) 편법 증여’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사부(정동민 부장검사)는 7일 이 회장의 장남 재용씨 4남매에게 에버랜드 CB가 넘겨지는 과정에 삼성 비서실이 개입한 진술을 확보하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르면 3월 이건희 회장의 소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날 “지난해 12월말 당시 비서실 관계자를 소환조사하는 과정에서 이 회장 자녀의 자산운용 관리를 비서실에서 해왔다는 진술을 확보했다”며 “에버랜드 CB 인수도 이전에 이재용 상무가 했다는 진술에서 ‘비서실이 관여했다’는 사실은 한단계 나아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전까지 삼성그룹 관계자들은 검찰 조사에서 삼성 비서실의 개입 여부에 대해 전면 부인하는 취지로 일관했다. 이들 관계자는 이건희 회장의 CB 편법 증여 사전인지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이 회장에게 보고한 바 없고 모든 것을 비서실에서 알아서 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검찰은 에버랜드 CB발행을 통해 삼성의 경영권을 이재용씨에게 넘겨주기 위해 비서실을 넘어 그룹 차원의 공모가 있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구체적인 물증 찾기에 주력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말 삼성그룹의 회계를 담당했던 회계법인 3곳에서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에버랜드 법인주주 8개사 및 주요 계열사들의 회계자료 분석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검찰은 현재 대검 중수부 산하의 회계분석팀의 지원을 받아 에버랜드 CB가 발행됐던 1996년 전후 시기 계열사들과 에버랜드의 재정실태 등을 정밀 분석 중이다.
검찰은 회계분석 작업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되는 3∼4월께 이건희 회장과 홍석현 당시 중앙일보 사장, 현명관 당시 비서실장 등 핵심 피고발인들을 출석시켜 경영권 승계를 위한 에버랜드 CB발행 공모 의혹을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이 회장의 입국 당시 “수사계획에 따라 차근차근 수사하고 있다”며 “회계분석 작업을 벌이는 이유는 이건희 회장의 소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최근 귀국한 이 회장의 출국금지에 대해 “1~2주안에 소환가능하다면 모르겠지만 인권침해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며 “그럴 단계가 아니기 때문에 출입국 규제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선일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에버랜드 전환사채(CB) 편법 증여’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사부(정동민 부장검사)는 7일 이 회장의 장남 재용씨 4남매에게 에버랜드 CB가 넘겨지는 과정에 삼성 비서실이 개입한 진술을 확보하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르면 3월 이건희 회장의 소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날 “지난해 12월말 당시 비서실 관계자를 소환조사하는 과정에서 이 회장 자녀의 자산운용 관리를 비서실에서 해왔다는 진술을 확보했다”며 “에버랜드 CB 인수도 이전에 이재용 상무가 했다는 진술에서 ‘비서실이 관여했다’는 사실은 한단계 나아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전까지 삼성그룹 관계자들은 검찰 조사에서 삼성 비서실의 개입 여부에 대해 전면 부인하는 취지로 일관했다. 이들 관계자는 이건희 회장의 CB 편법 증여 사전인지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이 회장에게 보고한 바 없고 모든 것을 비서실에서 알아서 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검찰은 에버랜드 CB발행을 통해 삼성의 경영권을 이재용씨에게 넘겨주기 위해 비서실을 넘어 그룹 차원의 공모가 있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구체적인 물증 찾기에 주력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말 삼성그룹의 회계를 담당했던 회계법인 3곳에서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에버랜드 법인주주 8개사 및 주요 계열사들의 회계자료 분석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검찰은 현재 대검 중수부 산하의 회계분석팀의 지원을 받아 에버랜드 CB가 발행됐던 1996년 전후 시기 계열사들과 에버랜드의 재정실태 등을 정밀 분석 중이다.
검찰은 회계분석 작업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되는 3∼4월께 이건희 회장과 홍석현 당시 중앙일보 사장, 현명관 당시 비서실장 등 핵심 피고발인들을 출석시켜 경영권 승계를 위한 에버랜드 CB발행 공모 의혹을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이 회장의 입국 당시 “수사계획에 따라 차근차근 수사하고 있다”며 “회계분석 작업을 벌이는 이유는 이건희 회장의 소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최근 귀국한 이 회장의 출국금지에 대해 “1~2주안에 소환가능하다면 모르겠지만 인권침해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며 “그럴 단계가 아니기 때문에 출입국 규제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선일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