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가 다음달 1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7일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총파업 일정을 이같이 결정했다고 8일 밝혔다.
노조는 이날 성명에서 “우리의 요구는 열차안전과 철도공공성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며 “철도를 돈벌이의 수단으로 전락시키는 상업화를 중단하라”고 밝혔다.
이들은 또 “정부와 공사가 철도정책의 실패를 시민과 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공공요금 할인축소 폐지를 중단하고 일방적 구조조정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노조는 또 67명에 달하는 철도노조 해고자의 복직과 비정규직의 차별을 철폐할 것도 요구했다.
노조는 다음달 1일 파업에 들어가기 앞서 오는 11일 8000여명이 참가하는 주요 권역별 집회와 함께 18일에는 철도, 지하철, 택시 등 노조원의 연대집회 등을 계획하고 있다.
한편 철도공사측은 8일 논평을 통해 “60여 차례의 교섭을 통해 대부분 근로조건과 관련된 사항은 잠정합의에 이르렀다”며 “노조가 주장하는 철도상업화 철회 및 해고자 복직, 비정규직 차별철폐 등은 교섭대상이 아니다”고 밝혔다.
공사는 “앞으로 진행될 교섭을 통해 단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겠다”며 “노조의 파업에 대비해 국민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운용하겠다”고 발표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노조는 이날 성명에서 “우리의 요구는 열차안전과 철도공공성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며 “철도를 돈벌이의 수단으로 전락시키는 상업화를 중단하라”고 밝혔다.
이들은 또 “정부와 공사가 철도정책의 실패를 시민과 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공공요금 할인축소 폐지를 중단하고 일방적 구조조정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노조는 또 67명에 달하는 철도노조 해고자의 복직과 비정규직의 차별을 철폐할 것도 요구했다.
노조는 다음달 1일 파업에 들어가기 앞서 오는 11일 8000여명이 참가하는 주요 권역별 집회와 함께 18일에는 철도, 지하철, 택시 등 노조원의 연대집회 등을 계획하고 있다.
한편 철도공사측은 8일 논평을 통해 “60여 차례의 교섭을 통해 대부분 근로조건과 관련된 사항은 잠정합의에 이르렀다”며 “노조가 주장하는 철도상업화 철회 및 해고자 복직, 비정규직 차별철폐 등은 교섭대상이 아니다”고 밝혔다.
공사는 “앞으로 진행될 교섭을 통해 단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겠다”며 “노조의 파업에 대비해 국민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운용하겠다”고 발표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