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률 8.7% … 신규취업자 32만명 증가
2월 실업률 4.1%
고용시장이 지표상으로는 다소 개선되는 모습이지만 내용면에선 여전히 답답한 실정이다.
특히 새 일자리 창출이 월평균 40만개에서 밑돌며 증가세도 주춤거리고 있고 실업자는 95만명대를 넘어섰다. 청년실업률은 다시 8%대를 크게 웃돌았고 구직단념자도 13만명선을 웃돌아 정부의 ‘버젓한 일자리’만들기 정책이 아직까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2월중 실업률은 4.1%로 전년동월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실업률수준 자체는 지난해 3월 4.1% 이후 가장 높았지만 전년동월대비로는 넉달째 하락했다. 전년동월대비 하락폭이 지난해 12월 0.3%포인트, 올 1월 0.5%포인트에 못미치는데다 연초 학생들의 구직활동 감소 등을 고려하면 1월에 보인 회복세는 둔화된 셈이다.
15~29세까지의 청년실업률도 8.7%로 전년동월대비 0.3%포인트 하락했지만, 경기 자체 요인보다는 학교 개학과 취업 준비 등으로 일자리를 찾는 수요 자체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 실제 계절조정 실업률의 경우 2월에 3.5%로 전월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취업자 역시 2월중 2241만2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5%, 32만7000명 증가했지만, 지난 1월 1.8%, 39만3000명에 비해서 증가세는 크게 둔화됐다.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가 418만4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7만1000명, 1.7% 줄어지난 2004년 12월 이후 1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난달 설연휴특수를 누리며 14개월만에 0.2% 상승으로 돌아섰던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은 다시 1.0% 하락세로 돌아서 취업자수 증가세 둔화에 큰 역할을 했다. 다만 건설업은 2월에도 2.4%의 증가세를 유지하며 두 달 연속 취업자수가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8월 3.9%를 기록한 이후 6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경제활동 참가율이 떨어지고 구직단념자가 늘어나는 모습도 나타났다. 2월 경제활동 참가율은 60.5%로 떨어졌고 특히 구직단념자는 13만8000명으로 지난해 8월의 14만8000명 이후 가장 많았다. 통계청은 “1월 고용동향이 워낙 좋았기 때문에 2월 수치가 다소 부진해 보이지만, 전체적인 수준에서는 지난해보다 훨씬 좋은 만큼 회복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2월들어 다소 주춤거리는 상황에 대해 당장 판단하긴 어렵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