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의 지방선거 핵심전략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20~22%선을 오르락내리락하는 낮은 정당 지지율에다 지역변수가 크게 작용하는 지방선거의 특성상 여당에 유리할 게 거의 없지만 ‘호락호락하게’ 당하진 않을 것이라는 각오만큼은 대단하다.
여당의 지방선거 전략을 간단히 정리하면 ‘당 지지층 복원’과 ‘인물을 통한 바람몰이’다. 정동영 당의장이 틈만 나면 외치는 ‘지방권력 심판론’을 통해 여당을 등졌던 예전 지지자들을 결집하고 강금실 전 장관과 같은 참신한 인물로 뭔가 새바람을 일으키겠다는 것이다.
◆개각파동·이해찬 사건, 당 지지도 발목 = 정당 지지율은 후보가 누구냐에 상관없이 선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다. 어느 지역에서 특정정당의 지지율이 높으면 후보의 됨됨이와는 거의 무관하게 지지율이 높은 정당의 후보가 당선된다.
그래서‘당 지지층의 복원’을 지방선거 핵심과제로 삼은 열린우리당의 전략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우리당 핵심 관계자는 “당 지지층 복원의 기준은 지난 대선이나 총선 때의 지지율이 아니라 과거 전통적인 ‘야당 성향의 지지층’을 의미한다”며 “우리는 당 지지율 28% 정도를 열린우리당이 복원할 수 있는 지지율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우리당은 전통적인 지지율이 왜 빠졌는지, 어디로 움직였는지 분석을 끝냈다”고 말했다.
현재 열린우리당 지지율은 20~22%선. 단순 계산대로라면 앞으로 70여일 남은 기간 동안 6~8%P 정도를 올리겠다는 게 우리당의 전략이다. 열린우리당은 올들어 당 지지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기회가 있었지만 외부요인으로 인해 그 기회를 상실했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말 사학법 국회통과 이후 강한 여당의 모습을 보였을 때 지지율이 상승했고 최연희 의원 성추행 사건으로 반사이익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연초 개각파동과 이해찬 전 총리 골프파문이라는 외부요인이 지지율 상승의 발목을 잡았다는 주장이다.
우리당의 28% 지지율 복원 기대와 달리 현실은 녹록치 않다는 게 선거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우리당의 말대로 전통적인 당 지지층 복원을 위해서는 민주당 지지층, 다시 말해 호남이라는 지역변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정창교 수석전문위원은 “단순하게 계산하면 열린우리당 지지율 22%와 민주당 지지율 6%를 합하면 28%”라면서 “과거 호남 지지층의 복원 없이 열린우리당이 당 지지율을 28%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진단했다.
◆지방권력 심판론 동의 29.2% = 과거에 열린우리당을 지지했다가 철회한 사람들 중 ‘그래도 한나라당은 싫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선거가 가까워질수록 열린우리당 지지로 돌아설 ‘핑계거리’를 찾고 있는지 모른다.
열린우리당이 생각하고 있는 그 핑계거리란 게 바로 선거 캠페인으로서의‘지방권력 심판론’과 ‘인물론’이다. 열린우리당은 지방권력 심판론이 시간이 갈수록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앞으로 ‘부패한 지방권력의 사례를 하나씩 터뜨릴 것’이라고 벼르고 있다. 우리당 핵심 관계자는 “당 지지율은 20%에 불과하지만 지방권력 심판론에 동의한다는 국민들 의견은 40%대에 육박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의 바람과 달리 지방권력 심판론은 그다지 국민들에게 어필하지 못하고 있다. 내일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 여론조사한 결과 이번 지방선거가 ‘지방권력을 심판하는 선거가 될 것’이라는 응답은 29.2%에 불과했다. 반면 중앙정부를 심판하는 선거가 될 것이라는 의견은 50.4%에 달했다.
◆당 지지율 뛰어넘는 강금실 지지율의 의미 = 지지층 복원의 ‘핑계거리’로 결국 남은 것은 인물이다. 한나라당이 정치인 위주로 광역단체장 후보를 내세운다면 열린우리당은 강금실 진대제와 같은 비정치인으로 승부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과거의 예를 보면 정치인보다 외부영입 인사들이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이기는 확률이 더 높았다. 예전 서울시장 선거에서 조순, 고건, 이명박 후보의 당선사례가 이를 말해준다.
서울시장 후보로 출마할 강금실 전 장관에 열린우리당이 거는 기대는 상상 이상이다. 20%선에 불과한 당 지지율에도 불구하고 강 전 장관의 개인 지지율은 거의 40%대에 육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내일신문 3월 13일자 참조)
강 전 장관의 지지율 40%는 강 전 장관이 현재 지지층 이외 열린우리당으로 부터 멀어진 사람들을 다시 불러올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했다. 당 지지층 결집의 근거를 여기서 찾은 것이다.
강 전 장관의 선전이 수도권에 영향을 미치고, 이 바람이 충청권과 광주 등에도 불어 서울 경기 광주 등 이른바 서부벨트에서 승리,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최소한 한나라당과 반분한다는 게 열린우리당의 계산이다.
/신창훈 기자 chuns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22%선을 오르락내리락하는 낮은 정당 지지율에다 지역변수가 크게 작용하는 지방선거의 특성상 여당에 유리할 게 거의 없지만 ‘호락호락하게’ 당하진 않을 것이라는 각오만큼은 대단하다.
여당의 지방선거 전략을 간단히 정리하면 ‘당 지지층 복원’과 ‘인물을 통한 바람몰이’다. 정동영 당의장이 틈만 나면 외치는 ‘지방권력 심판론’을 통해 여당을 등졌던 예전 지지자들을 결집하고 강금실 전 장관과 같은 참신한 인물로 뭔가 새바람을 일으키겠다는 것이다.
◆개각파동·이해찬 사건, 당 지지도 발목 = 정당 지지율은 후보가 누구냐에 상관없이 선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다. 어느 지역에서 특정정당의 지지율이 높으면 후보의 됨됨이와는 거의 무관하게 지지율이 높은 정당의 후보가 당선된다.
그래서‘당 지지층의 복원’을 지방선거 핵심과제로 삼은 열린우리당의 전략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우리당 핵심 관계자는 “당 지지층 복원의 기준은 지난 대선이나 총선 때의 지지율이 아니라 과거 전통적인 ‘야당 성향의 지지층’을 의미한다”며 “우리는 당 지지율 28% 정도를 열린우리당이 복원할 수 있는 지지율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우리당은 전통적인 지지율이 왜 빠졌는지, 어디로 움직였는지 분석을 끝냈다”고 말했다.
현재 열린우리당 지지율은 20~22%선. 단순 계산대로라면 앞으로 70여일 남은 기간 동안 6~8%P 정도를 올리겠다는 게 우리당의 전략이다. 열린우리당은 올들어 당 지지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기회가 있었지만 외부요인으로 인해 그 기회를 상실했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말 사학법 국회통과 이후 강한 여당의 모습을 보였을 때 지지율이 상승했고 최연희 의원 성추행 사건으로 반사이익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연초 개각파동과 이해찬 전 총리 골프파문이라는 외부요인이 지지율 상승의 발목을 잡았다는 주장이다.
우리당의 28% 지지율 복원 기대와 달리 현실은 녹록치 않다는 게 선거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우리당의 말대로 전통적인 당 지지층 복원을 위해서는 민주당 지지층, 다시 말해 호남이라는 지역변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정창교 수석전문위원은 “단순하게 계산하면 열린우리당 지지율 22%와 민주당 지지율 6%를 합하면 28%”라면서 “과거 호남 지지층의 복원 없이 열린우리당이 당 지지율을 28%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진단했다.
◆지방권력 심판론 동의 29.2% = 과거에 열린우리당을 지지했다가 철회한 사람들 중 ‘그래도 한나라당은 싫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선거가 가까워질수록 열린우리당 지지로 돌아설 ‘핑계거리’를 찾고 있는지 모른다.
열린우리당이 생각하고 있는 그 핑계거리란 게 바로 선거 캠페인으로서의‘지방권력 심판론’과 ‘인물론’이다. 열린우리당은 지방권력 심판론이 시간이 갈수록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앞으로 ‘부패한 지방권력의 사례를 하나씩 터뜨릴 것’이라고 벼르고 있다. 우리당 핵심 관계자는 “당 지지율은 20%에 불과하지만 지방권력 심판론에 동의한다는 국민들 의견은 40%대에 육박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의 바람과 달리 지방권력 심판론은 그다지 국민들에게 어필하지 못하고 있다. 내일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 여론조사한 결과 이번 지방선거가 ‘지방권력을 심판하는 선거가 될 것’이라는 응답은 29.2%에 불과했다. 반면 중앙정부를 심판하는 선거가 될 것이라는 의견은 50.4%에 달했다.
◆당 지지율 뛰어넘는 강금실 지지율의 의미 = 지지층 복원의 ‘핑계거리’로 결국 남은 것은 인물이다. 한나라당이 정치인 위주로 광역단체장 후보를 내세운다면 열린우리당은 강금실 진대제와 같은 비정치인으로 승부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과거의 예를 보면 정치인보다 외부영입 인사들이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이기는 확률이 더 높았다. 예전 서울시장 선거에서 조순, 고건, 이명박 후보의 당선사례가 이를 말해준다.
서울시장 후보로 출마할 강금실 전 장관에 열린우리당이 거는 기대는 상상 이상이다. 20%선에 불과한 당 지지율에도 불구하고 강 전 장관의 개인 지지율은 거의 40%대에 육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내일신문 3월 13일자 참조)
강 전 장관의 지지율 40%는 강 전 장관이 현재 지지층 이외 열린우리당으로 부터 멀어진 사람들을 다시 불러올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했다. 당 지지층 결집의 근거를 여기서 찾은 것이다.
강 전 장관의 선전이 수도권에 영향을 미치고, 이 바람이 충청권과 광주 등에도 불어 서울 경기 광주 등 이른바 서부벨트에서 승리,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최소한 한나라당과 반분한다는 게 열린우리당의 계산이다.
/신창훈 기자 chuns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