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본부 10기획관 61팀’ 체제로 대대적 조직개편
‘무역·산업’, ‘자원·에너지’ 보직관리 전문성 제고
산업자원부가 오는 5월쯤 본부·팀제를 도입해 조직개편에 나서는 등 대대적인 인사를 단행할 예정이다.
산자부는 3월31일~4월1일 경기 용인의 현대인재개발원에서 정세균 장관을 비롯 과장급 이상 간부가 참석한 혁신연찬회를 개최하고 행정혁신과 보다 나은 정책·서비스 제공을 위해 조직을 개편키로 했다고 밝혔다.
또 보직관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무역·산업’, ‘자원·에너지’로 보직을 2원화, 한 분야에서 최소 3년 이상 종사하도록 했다.
산자부는 이에 따라 실·국·과 단위의 조직체계를 8본부·10기획관·61팀 체제로 개편, 현재 5단계인 결제단계를 3단계로 간소화한다.
8본부는 정책홍보관리·기간산업·신성장서비스산업·무역투자·산업정책본부·에너지정책본부·에너지산업·에너지환경본부 등이다. 이중 정책홍보관리본부에는 재정기획관·정책홍보기획관이, 무역투자본부에는 대외전략기획관이, 산업정책본부에는 산업정책기획관·기술력혁신기획관·지역균형발전기획관 등이 포함된다.
에너지부문은 본부가 3개로 확대되지만 에너지정책본부에 에너지정책기획관이 배치될 뿐 나머지 본부는 팀장 직속으로 운영될 전망이다. 에너지개발부문은 해외자원개발의 필요성 등으로 본부급 격상 방안이 논의됐으나 최종 검토과정에서 팀으로 결정됐다.
무역위원회와 전기위원회는 현행처럼 별도 조직으로 남게 된다.
산자부 고위관계자는 “이미 조직개편의 밑그림은 그렸지만, 관계부처 협의·국무회의 의결까지 감안하면 5월초쯤 돼야 조직개편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대적인 자리이동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어 “공무원들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무역·산업’, ‘자원·에너지’로 보직을 2원화, 한 분야에서 최소 3년 이상 종사토록 할 방침”이라며 “전문분야와 교육훈련의 연계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산자부는 이를 위해 최근 전 직원을 상대로 희망보직 조사를 마쳤다.
이 관계자는 또 “과감한 권한 위임과 철저한 성과관리 체제를 구축, 직원 평가결과를 인사·성과급·예산배정에 반영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고 소개했다.
한편 정세균 장관은 지난 2월 취임직후 열린 간부회의에서 “아직 여러분들의 성향과 업무능력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며 “오는 7월 고위공무원단 운영 이전 큰 폭의 인사를 단행할 것이며, 그때까지 한 사람 한 사람 잘 지켜보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무역·산업’, ‘자원·에너지’ 보직관리 전문성 제고
산업자원부가 오는 5월쯤 본부·팀제를 도입해 조직개편에 나서는 등 대대적인 인사를 단행할 예정이다.
산자부는 3월31일~4월1일 경기 용인의 현대인재개발원에서 정세균 장관을 비롯 과장급 이상 간부가 참석한 혁신연찬회를 개최하고 행정혁신과 보다 나은 정책·서비스 제공을 위해 조직을 개편키로 했다고 밝혔다.
또 보직관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무역·산업’, ‘자원·에너지’로 보직을 2원화, 한 분야에서 최소 3년 이상 종사하도록 했다.
산자부는 이에 따라 실·국·과 단위의 조직체계를 8본부·10기획관·61팀 체제로 개편, 현재 5단계인 결제단계를 3단계로 간소화한다.
8본부는 정책홍보관리·기간산업·신성장서비스산업·무역투자·산업정책본부·에너지정책본부·에너지산업·에너지환경본부 등이다. 이중 정책홍보관리본부에는 재정기획관·정책홍보기획관이, 무역투자본부에는 대외전략기획관이, 산업정책본부에는 산업정책기획관·기술력혁신기획관·지역균형발전기획관 등이 포함된다.
에너지부문은 본부가 3개로 확대되지만 에너지정책본부에 에너지정책기획관이 배치될 뿐 나머지 본부는 팀장 직속으로 운영될 전망이다. 에너지개발부문은 해외자원개발의 필요성 등으로 본부급 격상 방안이 논의됐으나 최종 검토과정에서 팀으로 결정됐다.
무역위원회와 전기위원회는 현행처럼 별도 조직으로 남게 된다.
산자부 고위관계자는 “이미 조직개편의 밑그림은 그렸지만, 관계부처 협의·국무회의 의결까지 감안하면 5월초쯤 돼야 조직개편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대적인 자리이동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어 “공무원들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무역·산업’, ‘자원·에너지’로 보직을 2원화, 한 분야에서 최소 3년 이상 종사토록 할 방침”이라며 “전문분야와 교육훈련의 연계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산자부는 이를 위해 최근 전 직원을 상대로 희망보직 조사를 마쳤다.
이 관계자는 또 “과감한 권한 위임과 철저한 성과관리 체제를 구축, 직원 평가결과를 인사·성과급·예산배정에 반영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고 소개했다.
한편 정세균 장관은 지난 2월 취임직후 열린 간부회의에서 “아직 여러분들의 성향과 업무능력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며 “오는 7월 고위공무원단 운영 이전 큰 폭의 인사를 단행할 것이며, 그때까지 한 사람 한 사람 잘 지켜보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