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의 비자금 입출금 내역이 적힌 장부를 입수한 검찰이 비자금이 흘러간 경로 추적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6일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비자금의 사용처 규명과 관련 정몽구 현대차 회장과 아들 정의선 기아차 사장을 소환조사할 방침을 밝히는 등 수사에 상당한 진전이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검찰은 글로비스 비밀금고에서 나온 비자금 중 일부가 2002년 대선 당시 불법정치자금으로 사용됐을 개연성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어 정관계 로비의혹과 맞물려 수사가 확대될 전망이다.
채동욱 수사기획관은 이날 “(비자금 입출력 내역에는) 현대차그룹 밖으로 나간 것은 모르고 현대차 내의 비자금을 사용하는 쪽으로 갔을 것”이라며 “현대차그룹의 보관 책임자는 글로비스 이주은 사장이지만 조성과 집행 책임자는 따로 있다”고 밝혔다.
글로비스 비밀금고에 보관된 비자금이 현대차그룹 외부가 아닌 내부의 어딘가로 흘러갔을 것이라는 채 기획관의 발언은 2003년 대선자금 수사에서 현대차그룹의 비자금이 현대캐피탈에서 발견되기는 했지만 그 근원은 글로비스였을 것이라는 관측과 이어지는 대목이다.
◆대선자금 비자금 적발 시기와 겹쳐 = 검찰에 따르면 글로비스가 비자금을 조성했던 시기는 2001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로 현대차그룹이 지난 2002년 불법대선자금 100억원을 한나라당에 건넨 시기와 겹친다.
글로비스의 전신인 한국로지텍은 2001년 3월 설립됐으며 구속된 이주은 사장은 그 때부터 지금까지 사장을 맡아왔다.
이 사장은 2001년 12월부터 허위계산서 등을 발행하는 수법으로 올해 2월까지 모두 69억여원 상당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검찰 수사결과 드러났다.
기업의 불법자금을 뿌리 뽑는 대선자금 수사가 한창 진행 중일 때도 이 사장의 비자금 조성은 계속됐다는 것이다.
특히 이 사장은 74년 현대차그룹 계열인 현대차서비스에 입사해 91년 재무담당 이사로 승진하는 등 지금까지 줄곧 경리 업무만 맡았고 정 회장의 두터운 신임을 바탕으로 글로비스 사장에 임명됐다.
정 회장의 실질적인 자금관리인으로 현대차그룹의 재무를 담당했기 때문에 이 사장이 2002년 대선 당시 불법정치자금 조성에 개입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글로비스 비밀금고가 있었던 서울 원효로 건물은 현대차서비스의 모태인 현대차 정비공장 건물로 2002년 대선때도 이미 비밀금고가 자리잡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석연찮게 끝난 현대차 불법대선자금 수사 = 2004년 대검 중수부가 불법대선자금 수사를 마쳤을 때 현대차그룹에 대해서는 수사가 석연치 않았다는 지적이 많았다.
불법대선자금수사 당시 검찰은 현대차가 한나라당에 제공한 불법자금 100억원의 출처에 대해 20억원은 그룹 금융계열사인 현대캐피탈을 통해 조성된 비자금이고 나머지 80억원은 고 정주영 명예회장의 개인 돈으로 결론내렸다.
정 명예회장이 생전에 관리했던 자금으로 정 명예회장 타계 후 정 회장이 맡아 관리해온 돈이라는 것이다.
검찰은 20억원에 대해서는 현대캐피탈이 98년부터 자동차 할부와 관련된 공증수수료 중 일부를 모아 조성한 것을 밝혔지만 나머지 80억원에 대해서는 현대차 관계자들의 진술만을 토대로 결론 내려 그 정확한 조성경위를 밝혀내지 못했다.
특히 검찰은 80억원이 정 명예회장이 남긴 비자금이고 장자인 정 회장이 이 자금을 관리했는데도 검찰은 정 회장에 대해 조세포탈 또는 증여세 포탈 혐의를 적용하지 않았다.
이 자금이 정치권에 제공됐는데도 정 회장에 대해서는 소환조사 한번 없이 불입건 조치했고 당시 김동진 현대차그룹 총괄부회장을 정자법 위반 및 특가법상 횡령 혐의로 불구속 기소하는 선에서 사건을 마무리 지었다.
◆검찰, 정 회장 연루 단서 포착 = 정 회장은 2003년 불법대선자금 수사때 검찰의 칼끝을 피했지만 이번 수사에서는 검찰 포위망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비자금의 정관계 유입은 물론 검찰이 현대차그룹의 기업지배구조·경영권 승계 등에 관한 강도 높은 수사를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조성된 불법자금의 규모가 천문학적인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그룹 최고경영자의 관여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검찰은 지난 1월 김재록씨 자택과 인베스투스글로벌 사무실을 압수수색했을때 현대차그룹 경영권 승계와 관련된 보고서를 확보했고 보고서가 전달된 것으로 알려진 그룹 핵심부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검찰이 지난 2003년 불법대선자금수사에서 현대차 최고위층에 대한 수사를 진전시키지 못한 한계를 이번 수사에서 극복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이경기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6일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비자금의 사용처 규명과 관련 정몽구 현대차 회장과 아들 정의선 기아차 사장을 소환조사할 방침을 밝히는 등 수사에 상당한 진전이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검찰은 글로비스 비밀금고에서 나온 비자금 중 일부가 2002년 대선 당시 불법정치자금으로 사용됐을 개연성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어 정관계 로비의혹과 맞물려 수사가 확대될 전망이다.
채동욱 수사기획관은 이날 “(비자금 입출력 내역에는) 현대차그룹 밖으로 나간 것은 모르고 현대차 내의 비자금을 사용하는 쪽으로 갔을 것”이라며 “현대차그룹의 보관 책임자는 글로비스 이주은 사장이지만 조성과 집행 책임자는 따로 있다”고 밝혔다.
글로비스 비밀금고에 보관된 비자금이 현대차그룹 외부가 아닌 내부의 어딘가로 흘러갔을 것이라는 채 기획관의 발언은 2003년 대선자금 수사에서 현대차그룹의 비자금이 현대캐피탈에서 발견되기는 했지만 그 근원은 글로비스였을 것이라는 관측과 이어지는 대목이다.
◆대선자금 비자금 적발 시기와 겹쳐 = 검찰에 따르면 글로비스가 비자금을 조성했던 시기는 2001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로 현대차그룹이 지난 2002년 불법대선자금 100억원을 한나라당에 건넨 시기와 겹친다.
글로비스의 전신인 한국로지텍은 2001년 3월 설립됐으며 구속된 이주은 사장은 그 때부터 지금까지 사장을 맡아왔다.
이 사장은 2001년 12월부터 허위계산서 등을 발행하는 수법으로 올해 2월까지 모두 69억여원 상당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검찰 수사결과 드러났다.
기업의 불법자금을 뿌리 뽑는 대선자금 수사가 한창 진행 중일 때도 이 사장의 비자금 조성은 계속됐다는 것이다.
특히 이 사장은 74년 현대차그룹 계열인 현대차서비스에 입사해 91년 재무담당 이사로 승진하는 등 지금까지 줄곧 경리 업무만 맡았고 정 회장의 두터운 신임을 바탕으로 글로비스 사장에 임명됐다.
정 회장의 실질적인 자금관리인으로 현대차그룹의 재무를 담당했기 때문에 이 사장이 2002년 대선 당시 불법정치자금 조성에 개입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글로비스 비밀금고가 있었던 서울 원효로 건물은 현대차서비스의 모태인 현대차 정비공장 건물로 2002년 대선때도 이미 비밀금고가 자리잡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석연찮게 끝난 현대차 불법대선자금 수사 = 2004년 대검 중수부가 불법대선자금 수사를 마쳤을 때 현대차그룹에 대해서는 수사가 석연치 않았다는 지적이 많았다.
불법대선자금수사 당시 검찰은 현대차가 한나라당에 제공한 불법자금 100억원의 출처에 대해 20억원은 그룹 금융계열사인 현대캐피탈을 통해 조성된 비자금이고 나머지 80억원은 고 정주영 명예회장의 개인 돈으로 결론내렸다.
정 명예회장이 생전에 관리했던 자금으로 정 명예회장 타계 후 정 회장이 맡아 관리해온 돈이라는 것이다.
검찰은 20억원에 대해서는 현대캐피탈이 98년부터 자동차 할부와 관련된 공증수수료 중 일부를 모아 조성한 것을 밝혔지만 나머지 80억원에 대해서는 현대차 관계자들의 진술만을 토대로 결론 내려 그 정확한 조성경위를 밝혀내지 못했다.
특히 검찰은 80억원이 정 명예회장이 남긴 비자금이고 장자인 정 회장이 이 자금을 관리했는데도 검찰은 정 회장에 대해 조세포탈 또는 증여세 포탈 혐의를 적용하지 않았다.
이 자금이 정치권에 제공됐는데도 정 회장에 대해서는 소환조사 한번 없이 불입건 조치했고 당시 김동진 현대차그룹 총괄부회장을 정자법 위반 및 특가법상 횡령 혐의로 불구속 기소하는 선에서 사건을 마무리 지었다.
◆검찰, 정 회장 연루 단서 포착 = 정 회장은 2003년 불법대선자금 수사때 검찰의 칼끝을 피했지만 이번 수사에서는 검찰 포위망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비자금의 정관계 유입은 물론 검찰이 현대차그룹의 기업지배구조·경영권 승계 등에 관한 강도 높은 수사를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조성된 불법자금의 규모가 천문학적인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그룹 최고경영자의 관여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검찰은 지난 1월 김재록씨 자택과 인베스투스글로벌 사무실을 압수수색했을때 현대차그룹 경영권 승계와 관련된 보고서를 확보했고 보고서가 전달된 것으로 알려진 그룹 핵심부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검찰이 지난 2003년 불법대선자금수사에서 현대차 최고위층에 대한 수사를 진전시키지 못한 한계를 이번 수사에서 극복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이경기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