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경 칼럼><론스타>가 한 것을 우리는 왜 못해(2006.03.22)

지역내일 2006-03-22
<론스타>가 한 것을 우리는 왜 못해

<내일신문이>이 5회에 걸쳐 기획한 자본 시장 특집의 첫 회 분 기사의 제목은 “외국인이 국내 증시에서 104조를 챙길 동안 국내 자본은 해외서 겨우 4조원을 벌었다”였다(3월 7일자 참조). 신문의 첫 페이지 머리기사 제목으로 는 길어 처진 감이 없지 않았으나 독자에게 던지려는 메시지의 핵심은 정반대로 매우 간결하게 전달되었으리라 믿는다. 이 특집의 큰 줄기는 우리도 외국에 나가 적극적으로 투자하여 돈을 벌어보자는 것으로서 그것대로 음미할 가치가 있다. 하지만 특집 기사를 쭉 읽어 나가면서 나라 안 자본시장을 우리 자신이 더 뱃심 좋게 활용하여야 하지 않을까하는, 즉 외연 확대 (外延 擴大) 못지않게 내포 심화(內包 深化)를 기할 때가 왔다는데 생각이 미쳤다.
널리 알려진 대로 외환은행을 수 삼년 전 헐값으로 인수한 미국의 펀드 <론스타>가 자원금의 몇 배에 달하는 이익을 남기고 지금 매각하여야 할 시점에 도달한 때문이다. 외국 투자자 이를테면 <론스타>의 경우처럼 다른 나라에 가서 떼돈을 번다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다.1백 4조를 챙긴 유의 외국인들은 미국, 유럽, 그리고 일본의 경제 대국의 글자 그대로 ‘돈놀이에 이골이 난 고등 금융기술자’(high financier)들이다. 그들은 단순한 돈 장사가 아니라 외교-군사의 영향력을 동원하는 것은 말할 나위 없고 필요하다면 1997년의 저 흉흉했던 IMF 위기와 같은 것을 조성하거나 그 기회를 최대한 이용하는 정보력을 배경으로 암약하는 패거리들이다.
우리가 외국에 나가 미국 유럽 일본과 같은 외교-군사적 힘을 동원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일 진대 금융기술만으로 안정적 수익을 창출하려는 노력이 열이면 아홉 허황된 꿈으로 그치고 말 것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외연확대의 선행요건인 외교력 배양과 투자기회를 적절하게 포착할 국재 금융 노하우 습득이 가져올 효과에는 애시 당초 한계가 있었다고 보는 것이 옳다.
20-30년 전처럼 국제간의 외환 및 자본 거래가 엄격한 통제 하에 있을 때에는 외국자본이 국내증권시장에서 수익을 올리는 경우라도 과실송금을 뜻대로 할 수 없었던 까닭에 국내의 경제 활동주체들이 이 분야에는 신경을 꺼놓고 살아도 좋았다. 그러나 지금은 외국인들이 금융거래를 통해 얻은 소득을 즉시 본국 혹은 제3국으로의 송금이 가능하기 때문에 국부(國富)의 누출(漏出)은 일상화되어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러한 국제금융의 지각변동, 흔한 표현으로 자본의 지구화시대에는 나라 안의 시장을 우리스스로가 최대한 활용하는 특별히 세심한 금융정책을 수립하거나 아니면 금융정책상의 지도가 요구된다.
여기서 말하는 “국내 시장의 활용”은 국내 시장의 보호나 국내 시장의 폐쇄보다는 훨씬 약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지만 활용정도에 따라서는 외국에 나가 불확실한 금융투자를 일삼느니 보다 실익 면에서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 지금 만인의 화제로 떠오른 <론스타>의 화수분인 한국외환은행을 놓고 보자. 거대한 자금이 필요한 이 은행 인수에 외국 자본이 군침을 흘릴 것은 뻔하고 국내 은행들 사이에도 인수를 위한 각축이 한창인 모양이다. 경제계 일각에서는 국내 시장 활용의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재벌에 대한 은행업 개방을 주장하고 있는듯하다. 그러나 자본 잉여를 떵떵거린다하여 재벌들이 외환은행을 인수한다면 지난날의 관치 금융이상 심한 해악을 초래할 것이 불을 보듯 환하다. 그럼으로 재벌의 외환은행인수는 물론 논외다.
그렇다면 제3의 자금 동원 방법은 무엇일까. 이상론이지만 국민 저변에서 자금 조성운동을 벌려 공공성이 강한 외환은행만큼은 순수 국내자본으로 만드는 것인데 불행하게도 그 실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왜냐면 국내외 고금을 통하여 국민저변이 십시일반으로 거대한 자금을 모아 큰 은행을 만드는데 성공한 적이 없을 뿐더러 설사 성공한 경우라도 새롭게 탄생한 거대은행을 경영할 주체가 확립되지 못하여 변형된 관치은행으로 전락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이 참여하는 사모 펀드나 공공성이 짙은 각종 연기금을 동원하여 외환은행 인수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은 꽤 설득력이 있다. <하나은행>이 이런 방식으로 자금을 조성하여 외환은행을 인수하는 교섭을 벌린다고 들리지만 한 가지 안타까운 점은 <하나은행>의 이미 주식의 과반을 외국인이 보유한 사실이다. 그럼으로 <하나은행>이 사모펀드와 연기금으로 외환은행을 인수할 때는 <한국외환은행>의 주식 50% 이상을 민족계 자본이 점하도록 내부 가이드라인을 정하였으면 한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