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 일본·인도 대중국군사동맹 뜰까
부 : 일본 언론 “일·인 군사협력, 대중국견제 시동” /중국 언론 “인도, 중국견제 안 나설 것”
중국을 견제하는 미국·일본·인도의 ‘대 중국 3각 동맹’이 이뤄질 것인가.
일본과 인도가 군사분야 협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미국을 포함한 3국 관계가 대중국 포위 군사동맹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두고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일본과 인도는 전통적으로 경제관계가 주를 이뤘지만 최근 2~3년 사이 고위관료 간 상호방문이 늘어나는 등 정치·군사 분야에서 교류가 눈에 띄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 3개월 남짓 기간 동안 양국간에 활발한 정치·군사교류가 진행되고 있다.
1월 3일 일본 외상 아소 다로가 인도를 방문했고 2월 10일 일본 해상자위대 참모장, 3월 6일에는 육상자위대 참모장이 인도를 방문했다.
3월 하순에는 무케르지 인도 국방장관이 일본을 방문했으며 4월에는 일본 항공자위대 참모장이 인도를 방문할 예정이다.
인도 외교부장이 4월중 임명된다면 곧 일본·인도 외무장관 회담이 열릴 계획이며 이를 이어 6~7월쯤 싱 인도총리가 일본을 공식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교류를 두고 대중국 견제를 위한 ‘3각 동맹’이 실현되는 것으로 보는 측은 주로 일본이나 한국의 보수언론이다.
일본 측에서는 “경제·무역관계에 치우쳤던 양국관계가 정치·안보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며 “한 발로 뛰다가 양 다리로 성큼성큼 내달리는 ‘3단계 도약’을 실현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지난달 6일 인도 국방장관의 일본 방문은 “국방력의 공동 강화를 통해 중국 견제를 현실화할 것이다”고 논평했다.
한국의 보수언론도 “중국의 국방전력을 견제하기 위한 포석으로 일본과 인도가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맞은 편 당사자인 중국의 반응은 다르다. 인도가 미국과 일본의 의도대로 대중국 견제를 위한 군사협력에 적극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다.
중국 국제 전문잡지 <환치우(환구)> 인터넷판은 30일 “인도는 경제분야와 핵에너지분야에서 일본의 협조를 필요로 하지만 중국 견제에 쉽게 나서지는 않을 것이다”며 “인도에게 있어 중국과 안정적인 경제협력은 이익만 있을 뿐 해롭지는 않은 일이다”고 지적했다.
강대국의 구애를 받고 있는 인도는 뚜렷한 입장을 보이지 않는 가운데 현 상황에서 국익을 최대한 증진시키기 위해 몰두하고 있다.
인도는 일단 미국에게 핵에너지협력을 얻어냈으며 일본에게서 한해 1120억 엔에 이르는 막대한 경제원조를 받아내고 있다. 오랜 숙적인 중국으로부터도 경제분야와 국경문제 등에서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한 긍정적 신호를 받고 있다.
국익을 위해 지역적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인도는 현재 상황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동맹파트너 결정을 최대한 미룰 것으로 보인다.
연제호 리포터 news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환치우(환구)>산케이신문>
부 : 일본 언론 “일·인 군사협력, 대중국견제 시동” /중국 언론 “인도, 중국견제 안 나설 것”
중국을 견제하는 미국·일본·인도의 ‘대 중국 3각 동맹’이 이뤄질 것인가.
일본과 인도가 군사분야 협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미국을 포함한 3국 관계가 대중국 포위 군사동맹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두고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일본과 인도는 전통적으로 경제관계가 주를 이뤘지만 최근 2~3년 사이 고위관료 간 상호방문이 늘어나는 등 정치·군사 분야에서 교류가 눈에 띄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 3개월 남짓 기간 동안 양국간에 활발한 정치·군사교류가 진행되고 있다.
1월 3일 일본 외상 아소 다로가 인도를 방문했고 2월 10일 일본 해상자위대 참모장, 3월 6일에는 육상자위대 참모장이 인도를 방문했다.
3월 하순에는 무케르지 인도 국방장관이 일본을 방문했으며 4월에는 일본 항공자위대 참모장이 인도를 방문할 예정이다.
인도 외교부장이 4월중 임명된다면 곧 일본·인도 외무장관 회담이 열릴 계획이며 이를 이어 6~7월쯤 싱 인도총리가 일본을 공식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교류를 두고 대중국 견제를 위한 ‘3각 동맹’이 실현되는 것으로 보는 측은 주로 일본이나 한국의 보수언론이다.
일본 측에서는 “경제·무역관계에 치우쳤던 양국관계가 정치·안보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며 “한 발로 뛰다가 양 다리로 성큼성큼 내달리는 ‘3단계 도약’을 실현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지난달 6일 인도 국방장관의 일본 방문은 “국방력의 공동 강화를 통해 중국 견제를 현실화할 것이다”고 논평했다.
한국의 보수언론도 “중국의 국방전력을 견제하기 위한 포석으로 일본과 인도가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맞은 편 당사자인 중국의 반응은 다르다. 인도가 미국과 일본의 의도대로 대중국 견제를 위한 군사협력에 적극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다.
중국 국제 전문잡지 <환치우(환구)> 인터넷판은 30일 “인도는 경제분야와 핵에너지분야에서 일본의 협조를 필요로 하지만 중국 견제에 쉽게 나서지는 않을 것이다”며 “인도에게 있어 중국과 안정적인 경제협력은 이익만 있을 뿐 해롭지는 않은 일이다”고 지적했다.
강대국의 구애를 받고 있는 인도는 뚜렷한 입장을 보이지 않는 가운데 현 상황에서 국익을 최대한 증진시키기 위해 몰두하고 있다.
인도는 일단 미국에게 핵에너지협력을 얻어냈으며 일본에게서 한해 1120억 엔에 이르는 막대한 경제원조를 받아내고 있다. 오랜 숙적인 중국으로부터도 경제분야와 국경문제 등에서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한 긍정적 신호를 받고 있다.
국익을 위해 지역적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인도는 현재 상황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동맹파트너 결정을 최대한 미룰 것으로 보인다.
연제호 리포터 news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환치우(환구)>산케이신문>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