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공무원 구조조정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시는 정부의 공무원 구조조정 방침에 따라 지난 98년 7월부터 오는 2002년 7월까지 465명의 직원을 퇴
출해야 하지만 지난해 90명을 퇴직시킨 것을 비롯, 지금까지 368명을 내보내는데 그쳐 목표 시한인
2002년 7월까지 97명을 추가로 줄여야 할 형편이다.
그러나 현 단체장의 임기가 1년여밖에 남지않은데다 선거까지 겹쳐 퇴출대상자들이 버티기로 나올
경우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한다는 점에서 고민이 가중되고 있다.
이 때문에 포항시는 명퇴대상으로 거론되는 직원들의 자발적인 결단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지난 1월
의 명퇴및 조기퇴직신청결과 6급 직원 1명만이 신청하는등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포항시는 목표치에 미달할 경우 정부의 역인센티브 방침에 따라 각종 보조금이 줄어드는등 불이익
이 예상됨에 따라 3월5일부터 10일까지 3월 퇴직희망신청을 받기로 하는등 매월 퇴직희망신청을 받기
로 했다.
포항시 총무과 인력관리담당 관계자는 “포항시의 경우 타시·도 보다 공무원 평균 연령이 낮아 자
연감소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등 타 시·군보다 구조조정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정기인사가
지연되고 조직이 활력이 떨어지는 등 구조조정 지연에 따른 각종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어 직원들
의 용퇴가 아쉬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명퇴· 조퇴신청대상은 20년 이상 근속한 일반직 기능직 등 경력직 공무원으로 정년 퇴직일전 1
년 이상 기간 중에 자진 퇴직하고자 하는 직원이다. 조기퇴직은 1년 이상 20년 미만 근속한 자로 조직
개편으로 인해 과원이 발생한 직렬 및 직급에 한한다.
주로 거론되는 퇴직대상은 43년 생과 46년 생 사이 공무원으로 43년 생 국장급 2명을 비롯 과장급 7명
6급 이하 9명 등 18명이다.
포항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시는 정부의 공무원 구조조정 방침에 따라 지난 98년 7월부터 오는 2002년 7월까지 465명의 직원을 퇴
출해야 하지만 지난해 90명을 퇴직시킨 것을 비롯, 지금까지 368명을 내보내는데 그쳐 목표 시한인
2002년 7월까지 97명을 추가로 줄여야 할 형편이다.
그러나 현 단체장의 임기가 1년여밖에 남지않은데다 선거까지 겹쳐 퇴출대상자들이 버티기로 나올
경우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한다는 점에서 고민이 가중되고 있다.
이 때문에 포항시는 명퇴대상으로 거론되는 직원들의 자발적인 결단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지난 1월
의 명퇴및 조기퇴직신청결과 6급 직원 1명만이 신청하는등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포항시는 목표치에 미달할 경우 정부의 역인센티브 방침에 따라 각종 보조금이 줄어드는등 불이익
이 예상됨에 따라 3월5일부터 10일까지 3월 퇴직희망신청을 받기로 하는등 매월 퇴직희망신청을 받기
로 했다.
포항시 총무과 인력관리담당 관계자는 “포항시의 경우 타시·도 보다 공무원 평균 연령이 낮아 자
연감소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등 타 시·군보다 구조조정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정기인사가
지연되고 조직이 활력이 떨어지는 등 구조조정 지연에 따른 각종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어 직원들
의 용퇴가 아쉬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명퇴· 조퇴신청대상은 20년 이상 근속한 일반직 기능직 등 경력직 공무원으로 정년 퇴직일전 1
년 이상 기간 중에 자진 퇴직하고자 하는 직원이다. 조기퇴직은 1년 이상 20년 미만 근속한 자로 조직
개편으로 인해 과원이 발생한 직렬 및 직급에 한한다.
주로 거론되는 퇴직대상은 43년 생과 46년 생 사이 공무원으로 43년 생 국장급 2명을 비롯 과장급 7명
6급 이하 9명 등 18명이다.
포항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