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이면도로 주차구획선 확충과 일방통행제 실시 등을 골자로 주차난 해소와 교통체계 개선을 위해 추진중인 주차문화시범지구 및 지구교통개선사업이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은 시의 용역을 받아 사업 시행지역의 545가구를 대상으로 지난해 9∼10월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불법주차율이 사업시행전에 비해 45%가 줄었다. 또 주차분쟁 등으로 인한 차량파손 경험이 68%에서 32%로 줄었으며 이웃간 분쟁도 47%에서 10%로 감소했다.
해당지역 시민들은 설문조사를 통해 주택가 이면도로에 주차구획선을 확충하고 유료화하는 방안에 대해 70%가 찬성한다고 답했으며 개선사업 시행이후 운전자의 교통사고 불안감과 주차차량에 의한 주행장애도 감소했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한편 시정개발연구원은 이들 사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방문차량 주차공간 미비 △심야시간대 불법·부정주차 단속활동 미흡 △주차수요의 지속적 증가에 대비한 중·장기 대책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주차장을 블록별로 구획·운영해 방문자에게 유료로 제공하는 방식을 검토하는 등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15일 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은 시의 용역을 받아 사업 시행지역의 545가구를 대상으로 지난해 9∼10월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불법주차율이 사업시행전에 비해 45%가 줄었다. 또 주차분쟁 등으로 인한 차량파손 경험이 68%에서 32%로 줄었으며 이웃간 분쟁도 47%에서 10%로 감소했다.
해당지역 시민들은 설문조사를 통해 주택가 이면도로에 주차구획선을 확충하고 유료화하는 방안에 대해 70%가 찬성한다고 답했으며 개선사업 시행이후 운전자의 교통사고 불안감과 주차차량에 의한 주행장애도 감소했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한편 시정개발연구원은 이들 사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방문차량 주차공간 미비 △심야시간대 불법·부정주차 단속활동 미흡 △주차수요의 지속적 증가에 대비한 중·장기 대책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주차장을 블록별로 구획·운영해 방문자에게 유료로 제공하는 방식을 검토하는 등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