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영빈관(구 도지사 공관)의 매각방침을 철회하는 대신 외국인학교 설립부지로 활용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0일 전북도는 지난 1980년 7월 건립된 후 1993년까지 지사의
공관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대통령의 지역 방문시 숙소로 사용했던 이른바 '지방 청와대'인
영빈관을 외국인학교 부지로 제공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북도 영빈관은 지난해 5월 별다른 활용방안을 찾지 못해 매각방침을 세우고 도의회의 동
의를 구했었다. 그러나 6214㎡(1883평)의 부지위에 건물만 1313㎡(약 400평)에 이르는 대형
주택으로 공시지가가 23억원에 달해 매각 자체가 어렵다는 지적과 함께, 도의회가 '매각 대신
다른 활용방안을 찾으라'고 주문해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태.
전북도 관계자는 "외국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필수적인 외국인학교 설립이 절실한 상황에서
영빈관을 학교부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최적의 교육환경을
갖추고 있어 학교부지로 활용할 경우 올 9월에 학교를 개교할 수 있다"는 것.
특히 3억원이면 개보수가 가능해 30억원 정도로 예상되는 신규설립에 비해 경제성 크다는 점을 강조
하고 있다.
전북도는 광주와 부산에서 외국인학교 설립을 위해 자치단체에서 건물과 부지를 지원한 사
례가 있다는 점을 들어 도의회의 동의를 구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한편 전북도 영빈관은 93년 이후 외국인사의 환영행사장이나 예술회관 분원으로 활용하기
도 했으나 건물구조가 복잡해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을 받아 왔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0일 전북도는 지난 1980년 7월 건립된 후 1993년까지 지사의
공관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대통령의 지역 방문시 숙소로 사용했던 이른바 '지방 청와대'인
영빈관을 외국인학교 부지로 제공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북도 영빈관은 지난해 5월 별다른 활용방안을 찾지 못해 매각방침을 세우고 도의회의 동
의를 구했었다. 그러나 6214㎡(1883평)의 부지위에 건물만 1313㎡(약 400평)에 이르는 대형
주택으로 공시지가가 23억원에 달해 매각 자체가 어렵다는 지적과 함께, 도의회가 '매각 대신
다른 활용방안을 찾으라'고 주문해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태.
전북도 관계자는 "외국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필수적인 외국인학교 설립이 절실한 상황에서
영빈관을 학교부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최적의 교육환경을
갖추고 있어 학교부지로 활용할 경우 올 9월에 학교를 개교할 수 있다"는 것.
특히 3억원이면 개보수가 가능해 30억원 정도로 예상되는 신규설립에 비해 경제성 크다는 점을 강조
하고 있다.
전북도는 광주와 부산에서 외국인학교 설립을 위해 자치단체에서 건물과 부지를 지원한 사
례가 있다는 점을 들어 도의회의 동의를 구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한편 전북도 영빈관은 93년 이후 외국인사의 환영행사장이나 예술회관 분원으로 활용하기
도 했으나 건물구조가 복잡해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을 받아 왔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