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지역 동보임대아파트 입주민 1500여세대의 세입자들을 비롯 전국 동보아파트임차인들은 20일 오전 10시께 서울 국회 의사당앞에서 파산법 개정 등을 통한 입주민 보호대책을 촉구하며 <전국동보아파트주민공동대책위> 발족과 공동선언식을 갖었다.
이들은 "임대아파트를 건설한 동보건설이 파산선고를 받아 입주민들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됐다"며 "파산법에 임차인 보호 조항을 신설해 입주민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대책위는 "동보건설 파산선고에 따라 2백억원의 근저당을 설정한 주택은행이 우선순위를 갖고 있어 실질적으로 세입자들에게 돌아올 몫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해 12월21일 법원이 우성건설을 비롯해 동보건설에 대한 파산선고이후 전국 각 지역 동보아파트 임차인들은 지역별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이날 공동대책위원회를 결성했다.
공동대책위는 최근 지역별 채권신고를 마친 후 지역 세입자 대책위와 연대 변호사를 선임해 공동으로 임대보증금 반환투쟁을 전개할 예정이며 차선책으로 아파트를 저가로 매입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천안아산 박종민 기자 jmpark@naeil.com
전국동보아파트주민공동대책위>
이들은 "임대아파트를 건설한 동보건설이 파산선고를 받아 입주민들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됐다"며 "파산법에 임차인 보호 조항을 신설해 입주민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대책위는 "동보건설 파산선고에 따라 2백억원의 근저당을 설정한 주택은행이 우선순위를 갖고 있어 실질적으로 세입자들에게 돌아올 몫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해 12월21일 법원이 우성건설을 비롯해 동보건설에 대한 파산선고이후 전국 각 지역 동보아파트 임차인들은 지역별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이날 공동대책위원회를 결성했다.
공동대책위는 최근 지역별 채권신고를 마친 후 지역 세입자 대책위와 연대 변호사를 선임해 공동으로 임대보증금 반환투쟁을 전개할 예정이며 차선책으로 아파트를 저가로 매입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천안아산 박종민 기자 jmpark@naeil.com
전국동보아파트주민공동대책위>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