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발전, 제주도·부산·서남해안 사업여건 조사
바닷바람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해상풍력사업이 우리나라에서도 구체화되고 있어 관심이다.
국내 최초로 풍력발전 상업화에 성공한 한국남부발전(주)(사장 김상갑)은 최근 들어 해상풍력발전사업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다.
남부발전은 20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최익수)과 ‘해상풍력 자원 및 타당성조사 연구’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체결로 두 기관은 제주도·부산·서남해안 연안에 대한 해상풍력 건설 여건과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개발 사업성 여부 등 세부적인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는 약 15억원을 투자해 올 6월부터 2009년 6월까지 3년간 진행되며, 제주대·인하대·해양대 등 국내 대학 및 해외 전문연구기관과 공동 수행한다. 남부발전은 타당성 조사결과 사업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해당 지자체와 함께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축,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 건설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남부발전은 지난해 정부가 추진하는 ‘해상풍력 실증단지 조성’사업에 발전회사 중 유일하게 참여한데 이어 올 3월 부산시와 해상풍력발전단지 개발을 위한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국내 해상풍력 개발에 있어서도 선두주자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중 풍력발전을 미래 전략사업으로 중점 추진해온 남부발전은 현재 제주 한경풍력 1단계(6MW)를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2008년까지 총 1628억원을 투자, 국내 최대의 단위기 용량인 3MW급 5기를 설치하는 한경풍력 2단계(15MW)와 성산풍력(20MW 규모) 등 총 120MW 규모의 풍력사업을 추진 중이다.
한편 해상풍력은 육상에 비해 풍력자원 및 부지확보가 양호해 대규모 풍력단지 조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고, 또 육상과 달리 국내 경험이 없는 등 시공 및 운영상의 리스크로 인해 향후 전력요금 차액지원이나 송전 연계망 건설지원 등 보완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