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식교육, 생활폐기물 58% 재활용
2008년 시군 공공재활용기반시설 갖춰
지난 2001년 현재 경기도민 한 사람이 배출하는 생활폐기물은 하루 0.91kg. 이 수치는 2003년에는 0.90kg, 지난해에는 0.86kg으로 해마다 줄고 있다.
재활용 비율은 정반대 양상을 보인다. 2001년에는 8743톤 가운데 44.3%인 3868톤만 재활용됐지만 이 비율은 날이 갈수록 늘고 있다. 생활폐기물 재활용 비율은 2003년 48.6%, 지난해 57.9%까지 높아졌다.
‘쓰레기는 줄이고 재활용은 늘린다’는 경기도 환경정책의 단면을 보여주는 수치들이다.
◆땅에 묻은 음식쓰레기 1% 불과 = 생활 폐기물 가운데 25%를 차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쓰레기 종량제가 도입된 직후인 1996년 경기도에서 ‘분리수거’된 음식물 쓰레기 대부분은 땅속으로 들어갔다. 매립 비율 87%. 남긴 음식이나 음식 찌꺼기가 곧 2차 환경오염 원인이 됐던 것이다.
10년만에 상황이 몰라보게 달라졌다. 2005년에 땅에 묻은 음식물 쓰레기는 1%에 불과했다. 소각한 쓰레기는 7%로 96년 9%와 비슷했다. 반면 ‘자원’으로 바뀐 쓰레기가 92%나 된다. 96년에는 4%에 불과하던 게 23배나 늘어난 것이다. 경기도내 100개 ‘자원화시설’에서 매일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 2678톤 가운데 2640톤을 사료와 퇴비로 바꿔내고 있다.
음식물을 제외한 재활용품은 하루 2926톤. 종이류(995톤) 병류(592톤) 플라스틱(388톤) 고철류(493톤) 등 대부분은 음식물 쓰레기처럼 다시 태어난다. 경기도 내 31개 시군에서 34개 공공 재활용 선별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덕이다. 집집마다 사업장마다 쏟아낸 폐기물을 시설로 옮겨와 선별하고 압축하고 때론 부수어 ‘재활용’한다.
경기도는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선별시설 여섯곳을 새로 설치한 데 이어 올해 말까지 다섯곳을 추가할 계획이다. 내년에도 세곳을 늘린다. 경기도청 환경자원과 담당자는 “재활용이 가능한 품목을 최대한 분리·수거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작업”이라며 “2008년까지는 개별 시군 모두 자원 재활용 기반시설을 갖추게 된다”고 말했다.
◆재활용품 많이 수거하면 보상금 더 줘 = 재활용 비율을 높이려면 재활용 가능한 물품이 많아져야 한다. 경기도가 실시하고 있는 일종의 ‘당근’정책이 제법 효과를 내고 있다는 평이다. 쓰레기 배출량이 많으면 그만큼 부담할 비용이 많아지는 종량제를 보완해 재활용품을 많이 수거하면 보상금을 더 주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꼽히는 게 농촌지역 폐비닐 수거 보상금. 다른 지자체 보상금이 폐비닐 1kg당 20~100원인데 반해 경기도는 100~300원이다. 도청 환경자원과 관계자는 “땅속에 묻었던 비닐은 비닐하우스처럼 철거가 쉬운 비닐보다 보상금을 높게 책정해 수거를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민들이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을 대신 판매하기도 한다. 이 제도가 가장 잘 정착됐다고 평가받는 곳은 과천시. 공동주택에서 부녀회 등이 분리수거를 담당하면 공공기관은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한 뒤 팔아서 그 금액을 주민들에게 전액 돌려주는 형태로 역할을 나누고 있다.
안양시는 아파트나 단독주택 지역에서 생활쓰레기 분리배출 상태를 평가해 시상하는 제도를 자체 도입했다. 지난해에만 174개 아파트와 95개 단독주택 지역에서 동참했다.
경기도 아름다운 가게라 할 수 있는 ‘경기그물코 센터’는 이같은 재활용 개념을 생활속에 정착시키는 도구다. 도는 2003년 아름다운 가게와 운영협약을 맺고 도비 18억원을 들여 안양시 만안구에 지하1층 지상3층 규모의 ‘경기그물코 센터’를 열었다. 센터는 재사용품 생산기지이자 재활용 의식교육을 위한 근거지인 셈이다.
일상에서 쉽게 버려지는 재활용품을 이용한 ‘재활용품 공모전’과 우수작품 전시회 역시 재사용을 촉진시키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
◆쓰레기 발생억제가 최우선 = “생산 유통 소비 등 경제활동 과정과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쓰레기를 줄이는 일이 가장 우선돼야 한다.”
경기도청 환경정책과 담당자는 “그 다음이 재활용 기반구축과 폐기물을 보다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 세가지가 경기도가 내건 폐기물 관리의 기본 방향이다.
1회용품 사용억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운동, 종량제 정착 등 끊임없이 시민 참여를 호소하는 활동은 기본. 재활용품을 보다 많이 걸러내는 작업도 필요하다. 2차 환경오염원인 소각이나 매립은 최후의 수단이어야 하는데도 재활용 쓰레기 절반 분량(하루 2558.9톤)은 불에 태운다. 또 소각 쓰레기 반 분량(하루 1353.1톤)은 땅에 묻는다.
환경자원과 관계자는 “대부분 지자체에서 재활용품을 분리배출하고 있지만 실제 수거는 혼합해서 하는 실정”이라며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분리 배출된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과 플라스틱류 자동선별기 도입을 통한 공공 재활용 선별장 효율 높이기 등을 계획하고 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8년 시군 공공재활용기반시설 갖춰
지난 2001년 현재 경기도민 한 사람이 배출하는 생활폐기물은 하루 0.91kg. 이 수치는 2003년에는 0.90kg, 지난해에는 0.86kg으로 해마다 줄고 있다.
재활용 비율은 정반대 양상을 보인다. 2001년에는 8743톤 가운데 44.3%인 3868톤만 재활용됐지만 이 비율은 날이 갈수록 늘고 있다. 생활폐기물 재활용 비율은 2003년 48.6%, 지난해 57.9%까지 높아졌다.
‘쓰레기는 줄이고 재활용은 늘린다’는 경기도 환경정책의 단면을 보여주는 수치들이다.
◆땅에 묻은 음식쓰레기 1% 불과 = 생활 폐기물 가운데 25%를 차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쓰레기 종량제가 도입된 직후인 1996년 경기도에서 ‘분리수거’된 음식물 쓰레기 대부분은 땅속으로 들어갔다. 매립 비율 87%. 남긴 음식이나 음식 찌꺼기가 곧 2차 환경오염 원인이 됐던 것이다.
10년만에 상황이 몰라보게 달라졌다. 2005년에 땅에 묻은 음식물 쓰레기는 1%에 불과했다. 소각한 쓰레기는 7%로 96년 9%와 비슷했다. 반면 ‘자원’으로 바뀐 쓰레기가 92%나 된다. 96년에는 4%에 불과하던 게 23배나 늘어난 것이다. 경기도내 100개 ‘자원화시설’에서 매일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 2678톤 가운데 2640톤을 사료와 퇴비로 바꿔내고 있다.
음식물을 제외한 재활용품은 하루 2926톤. 종이류(995톤) 병류(592톤) 플라스틱(388톤) 고철류(493톤) 등 대부분은 음식물 쓰레기처럼 다시 태어난다. 경기도 내 31개 시군에서 34개 공공 재활용 선별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덕이다. 집집마다 사업장마다 쏟아낸 폐기물을 시설로 옮겨와 선별하고 압축하고 때론 부수어 ‘재활용’한다.
경기도는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선별시설 여섯곳을 새로 설치한 데 이어 올해 말까지 다섯곳을 추가할 계획이다. 내년에도 세곳을 늘린다. 경기도청 환경자원과 담당자는 “재활용이 가능한 품목을 최대한 분리·수거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작업”이라며 “2008년까지는 개별 시군 모두 자원 재활용 기반시설을 갖추게 된다”고 말했다.
◆재활용품 많이 수거하면 보상금 더 줘 = 재활용 비율을 높이려면 재활용 가능한 물품이 많아져야 한다. 경기도가 실시하고 있는 일종의 ‘당근’정책이 제법 효과를 내고 있다는 평이다. 쓰레기 배출량이 많으면 그만큼 부담할 비용이 많아지는 종량제를 보완해 재활용품을 많이 수거하면 보상금을 더 주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꼽히는 게 농촌지역 폐비닐 수거 보상금. 다른 지자체 보상금이 폐비닐 1kg당 20~100원인데 반해 경기도는 100~300원이다. 도청 환경자원과 관계자는 “땅속에 묻었던 비닐은 비닐하우스처럼 철거가 쉬운 비닐보다 보상금을 높게 책정해 수거를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민들이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을 대신 판매하기도 한다. 이 제도가 가장 잘 정착됐다고 평가받는 곳은 과천시. 공동주택에서 부녀회 등이 분리수거를 담당하면 공공기관은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한 뒤 팔아서 그 금액을 주민들에게 전액 돌려주는 형태로 역할을 나누고 있다.
안양시는 아파트나 단독주택 지역에서 생활쓰레기 분리배출 상태를 평가해 시상하는 제도를 자체 도입했다. 지난해에만 174개 아파트와 95개 단독주택 지역에서 동참했다.
경기도 아름다운 가게라 할 수 있는 ‘경기그물코 센터’는 이같은 재활용 개념을 생활속에 정착시키는 도구다. 도는 2003년 아름다운 가게와 운영협약을 맺고 도비 18억원을 들여 안양시 만안구에 지하1층 지상3층 규모의 ‘경기그물코 센터’를 열었다. 센터는 재사용품 생산기지이자 재활용 의식교육을 위한 근거지인 셈이다.
일상에서 쉽게 버려지는 재활용품을 이용한 ‘재활용품 공모전’과 우수작품 전시회 역시 재사용을 촉진시키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
◆쓰레기 발생억제가 최우선 = “생산 유통 소비 등 경제활동 과정과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쓰레기를 줄이는 일이 가장 우선돼야 한다.”
경기도청 환경정책과 담당자는 “그 다음이 재활용 기반구축과 폐기물을 보다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 세가지가 경기도가 내건 폐기물 관리의 기본 방향이다.
1회용품 사용억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운동, 종량제 정착 등 끊임없이 시민 참여를 호소하는 활동은 기본. 재활용품을 보다 많이 걸러내는 작업도 필요하다. 2차 환경오염원인 소각이나 매립은 최후의 수단이어야 하는데도 재활용 쓰레기 절반 분량(하루 2558.9톤)은 불에 태운다. 또 소각 쓰레기 반 분량(하루 1353.1톤)은 땅에 묻는다.
환경자원과 관계자는 “대부분 지자체에서 재활용품을 분리배출하고 있지만 실제 수거는 혼합해서 하는 실정”이라며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분리 배출된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과 플라스틱류 자동선별기 도입을 통한 공공 재활용 선별장 효율 높이기 등을 계획하고 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