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은 시큰둥, 이 회장은 소환 임박
답답한 삼성
삼성그룹이 8000억원 사회헌납 등 대규모 사회공헌을 발표한 지 5개월이 지났다. 그동안 삼성그룹은 국민에게 한 약속을 착실히 이행해왔지만 삼성을 둘러싼 상황은 그다지 나아지지 못한 모습이다.
삼성그룹은 지난 2월 7일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이건희 회장 일가의 8000억원 사회 헌납 △공정거래법에 대한 헌법소원 등 관계 소송 취하 △구조조정본부 기능조정 및 계열사 독립성 강화 △사회책임 확대 및 자원봉사센터 창단 △삼성을 지켜보는 모임 운영 등을 약속했고, 이를 하나씩 실천에 옮겼다.
삼성은 우선 SDS 신주인수권부 사채 증여세 부과소송과 공정거래법 헌법소원 등 관계 소송을 취하했고, 구조조정본부도 전략기획실로 명칭을 바꾸고 147명 인원을 99명으로 줄이는 등 축소 개편했다. 또 삼성법률봉사단과 자원봉사센터를 잇따라 창단하는 등 사회공헌활동 확대를 위한 노력도 지속했다.
이와 함께 학계와 시민단체 등 각계 인사들로 ‘삼성을 지켜보는 모임’을 구성해 지난달 첫 회의를 열기도 했다.
8000억원 사회헌납도 지난 5월 이건희 회장과 이재용 상무의 삼성전자 주식을 이건희장학재단으로 이전하고 고 윤형씨가 보유하고 있던 삼성에버랜드, 삼성 SDS, 삼성네트웍스 주식을 이건희장학재단과 교육부에 이전 및 기부함으로써 일단락됐다.
하지만 삼성의 이같은 노력에도 여론은 그다지 우호적이지 못하다.
선진경영연구소가 지난달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삼성과 현대차의 사회공헌 동기에 대해 ‘법적 처벌을 면제받기 위해’(34.7%), ‘회사에 대한 사회적 비난을 누그러뜨리기 위해’(29.9%) 등 사회공헌활동의 순수성을 의심하는 답변이 3분의 2에 달한 반면 ‘기업의 이미지를 개선해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라는 응답은 28.0%였으며 ‘기업의 이익을 사회에 돌려주기 위해’라는 반응은 6.5%에 불과했다.
또 삼성의 거액 기부 이후 해당기업 이미지를 묻는 질문에 ‘좋아졌다’는 응답은 17.4%로 ‘나빠졌다’는 응답 15%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건희 회장에 대한 검찰 소환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검찰은 최근 에버랜드 전환사채 편법증여 의혹사건과 관련해 “사안이 복잡해 서면조사는 적절치 않다”며 “이건희 회장 등 남은 피고발인 전부를 소환조사할 방침”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8000억원 재산헌납 절차에 대해서도 아직 불완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참여연대 최한수 경제개혁팀장은 “이건희 장학재단이 삼성그룹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단으로 주식을 이전한 것은 단순한 명의 이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번에 이건희장학재단으로 이전된 주식 중에는 삼성그룹 소유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삼성에버랜드를 비롯한 삼성그룹 계열사 주식이 포함돼 있어 삼성그룹이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할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참여연대측은 우려하고 있다.
삼성도 이같은 우려를 의식하고 있지만 정작 사회헌납 자산을 맡아 운용하기로 한 교육인적자원부가 명확한 방침을 전달해오지 않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답답한 상황이다.
삼성그룹 한 임원은 “아무런 대가없이 8000억원 사회헌납과 대규모 사회공헌활동을 발표했지만 삼성에 대한 여론이 나아지지 않겠느냐는 기대가 있었던 게 사실”이라며 “삼성은 국민에게 한 약속을 착실히 이행했지만 여론은 여전히 좋지 못한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답답한 삼성
삼성그룹이 8000억원 사회헌납 등 대규모 사회공헌을 발표한 지 5개월이 지났다. 그동안 삼성그룹은 국민에게 한 약속을 착실히 이행해왔지만 삼성을 둘러싼 상황은 그다지 나아지지 못한 모습이다.
삼성그룹은 지난 2월 7일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이건희 회장 일가의 8000억원 사회 헌납 △공정거래법에 대한 헌법소원 등 관계 소송 취하 △구조조정본부 기능조정 및 계열사 독립성 강화 △사회책임 확대 및 자원봉사센터 창단 △삼성을 지켜보는 모임 운영 등을 약속했고, 이를 하나씩 실천에 옮겼다.
삼성은 우선 SDS 신주인수권부 사채 증여세 부과소송과 공정거래법 헌법소원 등 관계 소송을 취하했고, 구조조정본부도 전략기획실로 명칭을 바꾸고 147명 인원을 99명으로 줄이는 등 축소 개편했다. 또 삼성법률봉사단과 자원봉사센터를 잇따라 창단하는 등 사회공헌활동 확대를 위한 노력도 지속했다.
이와 함께 학계와 시민단체 등 각계 인사들로 ‘삼성을 지켜보는 모임’을 구성해 지난달 첫 회의를 열기도 했다.
8000억원 사회헌납도 지난 5월 이건희 회장과 이재용 상무의 삼성전자 주식을 이건희장학재단으로 이전하고 고 윤형씨가 보유하고 있던 삼성에버랜드, 삼성 SDS, 삼성네트웍스 주식을 이건희장학재단과 교육부에 이전 및 기부함으로써 일단락됐다.
하지만 삼성의 이같은 노력에도 여론은 그다지 우호적이지 못하다.
선진경영연구소가 지난달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삼성과 현대차의 사회공헌 동기에 대해 ‘법적 처벌을 면제받기 위해’(34.7%), ‘회사에 대한 사회적 비난을 누그러뜨리기 위해’(29.9%) 등 사회공헌활동의 순수성을 의심하는 답변이 3분의 2에 달한 반면 ‘기업의 이미지를 개선해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라는 응답은 28.0%였으며 ‘기업의 이익을 사회에 돌려주기 위해’라는 반응은 6.5%에 불과했다.
또 삼성의 거액 기부 이후 해당기업 이미지를 묻는 질문에 ‘좋아졌다’는 응답은 17.4%로 ‘나빠졌다’는 응답 15%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건희 회장에 대한 검찰 소환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검찰은 최근 에버랜드 전환사채 편법증여 의혹사건과 관련해 “사안이 복잡해 서면조사는 적절치 않다”며 “이건희 회장 등 남은 피고발인 전부를 소환조사할 방침”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8000억원 재산헌납 절차에 대해서도 아직 불완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참여연대 최한수 경제개혁팀장은 “이건희 장학재단이 삼성그룹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단으로 주식을 이전한 것은 단순한 명의 이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번에 이건희장학재단으로 이전된 주식 중에는 삼성그룹 소유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삼성에버랜드를 비롯한 삼성그룹 계열사 주식이 포함돼 있어 삼성그룹이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할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참여연대측은 우려하고 있다.
삼성도 이같은 우려를 의식하고 있지만 정작 사회헌납 자산을 맡아 운용하기로 한 교육인적자원부가 명확한 방침을 전달해오지 않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답답한 상황이다.
삼성그룹 한 임원은 “아무런 대가없이 8000억원 사회헌납과 대규모 사회공헌활동을 발표했지만 삼성에 대한 여론이 나아지지 않겠느냐는 기대가 있었던 게 사실”이라며 “삼성은 국민에게 한 약속을 착실히 이행했지만 여론은 여전히 좋지 못한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