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 14일 조선왕조실록 오대산본 47책이 약탈자의 품을 떠나 고국으로 돌아온다. 지난 1913년 당시 조선총독 데라우찌에 의해 도쿄대로 강제 반출된 이후 93년만의 일이다. .
조선왕조실록환수위원회(공동의장 정념, 철안 스님)와 문화재청 그리고 서울대는 27일 오후 3시 서울 여의도에서 만나 실록이 돌아오는 일정과 반환 이후 처리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들은 회의에서 소장처는 문화재청이 결정하기로 하고 반환에 따른 축하행사는 원래 소장처인 강원도 평창군 소재 월정사에서 갖기로 합의했다.
서울대 이태수 대학원장은 “도쿄대가 실록을 서울대에 기증하겠다고 한 것은 반환운동을 추진해 온 환수위원회의 절대적 공로”라며 환수위측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 원장은 “실록 오대산본의 반환은 민간운동의 성과”라며 서울대는 실록 반환창구역할을 담당한다고 말했다.
환수위측은 “반환되는 실록은 고궁박물관, 독립기념관, 또는 월정사 등 역사적 의미가 분명히 드러나는 곳에서 관리하는 것이 좋겠다”고 밝혔다. 다만 서울대 보관에 대해서는 약탈자가 소장처를 지정하는 선례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유흥준 문화재청장은 “문화재 환수를 위해 정부가 나설 수 없는 부분은 민간이 계속 맡아주기 바란다”며 “정부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실록 반환 이끌어낸 환수위원회
월정사(강원도 평창) 주지 정념스님과 봉선사(경기도 남양주) 주지 철안스님 등은 지난 3월 3일 서울 견지동 불교역사기념박물관에서 일제가 약탈해간 조선왕조실록 오대산본의 환수를 위해 ‘환수위원회’를 결성, 일본대사관에 반환요청서를 전달했다.
환수위는 3월 15일 이후 도쿄대와 세 차례에 걸쳐 실록 반환을 위한 협상을 진행했다. 또 실록 반환을 위해 국회의원 모임을 결성하고 해외동포들의 지지와 연대도 이끌어 냈다. 5월 31일 협상을 마지막으로 도쿄대를 상대로 소송을 진행하기로 하고 이춘희 김순식 등 재일동포 변호사를 선임해 소장 작성 및 법률검토도 마쳤다.
이런 노력의 결과 도쿄대는 지난 5월 31일 자신들이 소장하고 있던 오대산본 47책을 서울대에 기증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조선왕조실록환수위원회(공동의장 정념, 철안 스님)와 문화재청 그리고 서울대는 27일 오후 3시 서울 여의도에서 만나 실록이 돌아오는 일정과 반환 이후 처리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들은 회의에서 소장처는 문화재청이 결정하기로 하고 반환에 따른 축하행사는 원래 소장처인 강원도 평창군 소재 월정사에서 갖기로 합의했다.
서울대 이태수 대학원장은 “도쿄대가 실록을 서울대에 기증하겠다고 한 것은 반환운동을 추진해 온 환수위원회의 절대적 공로”라며 환수위측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 원장은 “실록 오대산본의 반환은 민간운동의 성과”라며 서울대는 실록 반환창구역할을 담당한다고 말했다.
환수위측은 “반환되는 실록은 고궁박물관, 독립기념관, 또는 월정사 등 역사적 의미가 분명히 드러나는 곳에서 관리하는 것이 좋겠다”고 밝혔다. 다만 서울대 보관에 대해서는 약탈자가 소장처를 지정하는 선례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유흥준 문화재청장은 “문화재 환수를 위해 정부가 나설 수 없는 부분은 민간이 계속 맡아주기 바란다”며 “정부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실록 반환 이끌어낸 환수위원회
월정사(강원도 평창) 주지 정념스님과 봉선사(경기도 남양주) 주지 철안스님 등은 지난 3월 3일 서울 견지동 불교역사기념박물관에서 일제가 약탈해간 조선왕조실록 오대산본의 환수를 위해 ‘환수위원회’를 결성, 일본대사관에 반환요청서를 전달했다.
환수위는 3월 15일 이후 도쿄대와 세 차례에 걸쳐 실록 반환을 위한 협상을 진행했다. 또 실록 반환을 위해 국회의원 모임을 결성하고 해외동포들의 지지와 연대도 이끌어 냈다. 5월 31일 협상을 마지막으로 도쿄대를 상대로 소송을 진행하기로 하고 이춘희 김순식 등 재일동포 변호사를 선임해 소장 작성 및 법률검토도 마쳤다.
이런 노력의 결과 도쿄대는 지난 5월 31일 자신들이 소장하고 있던 오대산본 47책을 서울대에 기증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