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내년부터 지진이나 미사일 발사와 같은 긴급정보를 수초~수십초 만에 전국 지자체로 동시 발령하는 ‘전국순간경보시스템(J-ALERT)’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12일 <마이니치신문> 보도에 따르면 일본은 지난 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때 정보전달에 시간이 걸렸다는 지적에 따라 통신위성을 이용, 순식간에 전국 동시경보를 발령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한다. 일본 소방청은 이 시스템 구축을 위해 내년도 예산책정시때 약 2억엔을 증액할 방침이다.
현재 일본의 방재무선은 중앙정부에서 보낸 정보를 팩스 등을 이용해 전달받은 뒤 지자체 직원이 경보를 울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지난 5일 오전 3시 반경 북한 미사일 첫 발이 발사됐고, 내각부 내각관방으로부터 이 정보를 전달받은 소방청이 전국 각 도도부현(광역지자체)에 팩스로 송신한 시간은 오전 6시 반이었으며, 지자체로 정보가 도착했음을 전화로 확인한 시간은 무려 4시간이 지난 오전 7시 반경이었다.
그러나 새로운 시스템을 갖추게 되면 통신위성을 이용해 자동적으로 순식간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소방청이 올해 1~3월에 31개 지자체에서 이 시스템을 실험한 결과, 소방청의 정보발신에서부터 무선방송까지의 소요시간은 불과 6~25초에 지나지 않았다.
/이동희 리포터 89juliet@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마이니치신문>
현재 일본의 방재무선은 중앙정부에서 보낸 정보를 팩스 등을 이용해 전달받은 뒤 지자체 직원이 경보를 울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지난 5일 오전 3시 반경 북한 미사일 첫 발이 발사됐고, 내각부 내각관방으로부터 이 정보를 전달받은 소방청이 전국 각 도도부현(광역지자체)에 팩스로 송신한 시간은 오전 6시 반이었으며, 지자체로 정보가 도착했음을 전화로 확인한 시간은 무려 4시간이 지난 오전 7시 반경이었다.
그러나 새로운 시스템을 갖추게 되면 통신위성을 이용해 자동적으로 순식간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소방청이 올해 1~3월에 31개 지자체에서 이 시스템을 실험한 결과, 소방청의 정보발신에서부터 무선방송까지의 소요시간은 불과 6~25초에 지나지 않았다.
/이동희 리포터 89juliet@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마이니치신문>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