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지역학교급식네크워크(이하 네트워크)’는 최근 발생한 대규모 급식사고와 관련, 부천시와 부천시의회가 주민청구로 이뤄진 ‘부천시학교급식지원조례’를 폐기하는 등 안일한 자세로 대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네트워크는 27일 보도자료를 내 “부천시와 부천시의회가 지난 16일 시민 염원이 담긴 학교급식조례를 폐기하는가 하면, 사회적 책임의 목소리가 높은 지금도 수수방관의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네트워크는 “전국 112개 지자체는 이미 급식조례를 제정해 안전한 식재료공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부천시는 이를 교육부 책임이라며 조례안 부결을 주도, 결국 1년6개월 만에 폐기됐다”고 주장했다.
네트워크는 지난 2004년 10월 학교급식을 위한 모임을 발족시킨뒤 1만3000여명의 시민 서명을 받아 조례제정을 청원했으나 부천시의회에서 부결됐다. 그 후 부천시가 관련조례안을 상정했으나 보류됐다가 지난 16일 3대 시의회 마지막 회의에서도 보류돼 자동폐기됐다.
네트워크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다시한번 직영급식확대·우수농산물사용·무상급식확대 등 4대 원칙이 담긴 ‘부천시학교급식지원조례’제정에 시와 시의회가 앞장서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한편 부천의 경우 초등학교 53곳은 모두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중학교는 전체 29곳 중 부천·소명여중만, 고등학교는 24곳 중 중원고·경기예고·상동고 등 3곳만 직영으로 운영하고, 나머지는 모두 위탁급식을 시행하고 있다.
‘부천지역학교급식네트워크’에는 부천여성의전화 부천경실련 부천학부모연대 등 부천지역 25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부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네트워크는 27일 보도자료를 내 “부천시와 부천시의회가 지난 16일 시민 염원이 담긴 학교급식조례를 폐기하는가 하면, 사회적 책임의 목소리가 높은 지금도 수수방관의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네트워크는 “전국 112개 지자체는 이미 급식조례를 제정해 안전한 식재료공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부천시는 이를 교육부 책임이라며 조례안 부결을 주도, 결국 1년6개월 만에 폐기됐다”고 주장했다.
네트워크는 지난 2004년 10월 학교급식을 위한 모임을 발족시킨뒤 1만3000여명의 시민 서명을 받아 조례제정을 청원했으나 부천시의회에서 부결됐다. 그 후 부천시가 관련조례안을 상정했으나 보류됐다가 지난 16일 3대 시의회 마지막 회의에서도 보류돼 자동폐기됐다.
네트워크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다시한번 직영급식확대·우수농산물사용·무상급식확대 등 4대 원칙이 담긴 ‘부천시학교급식지원조례’제정에 시와 시의회가 앞장서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한편 부천의 경우 초등학교 53곳은 모두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중학교는 전체 29곳 중 부천·소명여중만, 고등학교는 24곳 중 중원고·경기예고·상동고 등 3곳만 직영으로 운영하고, 나머지는 모두 위탁급식을 시행하고 있다.
‘부천지역학교급식네트워크’에는 부천여성의전화 부천경실련 부천학부모연대 등 부천지역 25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부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