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다시 한번 ‘마이 웨이’를 선언했다.
노 대통령은 정치권의 반대로 총리임명이 좌절됐던 김병준 전 청와대 정책실장을 교육부총리에 앉힐 예정이다. 김 실장 후임으로 임명된 지 얼마되지 않는 권오규 정책실장은 경제부총리로 임명된다.
노 대통령은 두 부총리 기용을 통해 기존의 국정운영방향을 바꾸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힌 셈이다. 정치권 안팎에선 이번 개각은 노 대통령이 친정체제 강화를 넘어서 ‘직할통치’를 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노 대통령이 “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고 했지만 이는 ‘말 뿐’이라는 비판여론이 비등하다.
◆노대통령 ‘직할정치’로 = 두 사람이 임명될 경우 국무위원 20명 가운데 8명이 청와대 출신이다. 비서실장을 지낸 김우석 과기 부총리를 비롯해 이종석 통일부 장관(NSC 사무차장), 반기문 외교부 장관(외교보좌관), 윤광웅 국방부 장관(국방보좌관), 이용섭 행자부 장관(혁신수석), 김성진 해양수산부 장관(산업정책비서관) 등이 이미 대통령 참모를 하다 나간 사람들이다. 천정배 법무, 유시민 보건복지, 이상수 노동, 정세균 산자부장관 등 여당 출신까지 합치면 내각의 대부분이 사실상 ‘노무현 사람들’로 채워지게 된다.
‘직할 통치’로 해석되는 이번 개각은 사실 예견돼 온 것이다.
노 대통령은 지방선거 참패에도 불구하고 ‘멀리보고 가자’며 기존의 정책기조를 변경할 뜻이 없음을 여러차례 밝혀왔다. 다만 이런 완강한 태도에 대해 여당 내 반발기류가 거세지고 여론의 역풍이 거세지자 “선거에 나타난 민심을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한 발 물러섰지만 결국 결론은 ‘친정체제 강화’로 나타났다.
노 대통령이 선거결과에 괘념치 않겠다는 것은 두 사람 기용을 선거 전부터 구상해 왔고 이를 그대로 관철한데서 알 수 있다.
노 대통령은 김 전 실장을 이해찬 전 총리 후임으로 염두에 둬왔고 정치권의 반발로 이 카드가 무산됐지만 이미 ‘입각 언질’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권오규 실장 역시 김 전 실장 후임으로 앉힌 것도 경제부총리 기용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해석이다.
◆민심 역풍 불 듯 = 노 대통령은 이번 개각을 통해 임기후반기 ‘직할 통치’의지를 분명히 밝힌 셈이다. 이해찬 전 총리 시절 대부분의 내치를 총리에 맡긴 것과는 달리 자신의 의중을 직접 전달할 사람들로 내각 진용이 짜여진 것.
노 대통령의 이런 인사흐름은 여당을 비롯해, 여론의 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정후반기 선거로 완전히 돌아앉은 민심을 확인한 터에 개각이 더 불을 지르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앞으로 예상되는 또 한번의 개각은 이런 논란을 더욱 불러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노 대통령은 정치권의 반대로 총리임명이 좌절됐던 김병준 전 청와대 정책실장을 교육부총리에 앉힐 예정이다. 김 실장 후임으로 임명된 지 얼마되지 않는 권오규 정책실장은 경제부총리로 임명된다.
노 대통령은 두 부총리 기용을 통해 기존의 국정운영방향을 바꾸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힌 셈이다. 정치권 안팎에선 이번 개각은 노 대통령이 친정체제 강화를 넘어서 ‘직할통치’를 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노 대통령이 “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고 했지만 이는 ‘말 뿐’이라는 비판여론이 비등하다.
◆노대통령 ‘직할정치’로 = 두 사람이 임명될 경우 국무위원 20명 가운데 8명이 청와대 출신이다. 비서실장을 지낸 김우석 과기 부총리를 비롯해 이종석 통일부 장관(NSC 사무차장), 반기문 외교부 장관(외교보좌관), 윤광웅 국방부 장관(국방보좌관), 이용섭 행자부 장관(혁신수석), 김성진 해양수산부 장관(산업정책비서관) 등이 이미 대통령 참모를 하다 나간 사람들이다. 천정배 법무, 유시민 보건복지, 이상수 노동, 정세균 산자부장관 등 여당 출신까지 합치면 내각의 대부분이 사실상 ‘노무현 사람들’로 채워지게 된다.
‘직할 통치’로 해석되는 이번 개각은 사실 예견돼 온 것이다.
노 대통령은 지방선거 참패에도 불구하고 ‘멀리보고 가자’며 기존의 정책기조를 변경할 뜻이 없음을 여러차례 밝혀왔다. 다만 이런 완강한 태도에 대해 여당 내 반발기류가 거세지고 여론의 역풍이 거세지자 “선거에 나타난 민심을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한 발 물러섰지만 결국 결론은 ‘친정체제 강화’로 나타났다.
노 대통령이 선거결과에 괘념치 않겠다는 것은 두 사람 기용을 선거 전부터 구상해 왔고 이를 그대로 관철한데서 알 수 있다.
노 대통령은 김 전 실장을 이해찬 전 총리 후임으로 염두에 둬왔고 정치권의 반발로 이 카드가 무산됐지만 이미 ‘입각 언질’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권오규 실장 역시 김 전 실장 후임으로 앉힌 것도 경제부총리 기용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해석이다.
◆민심 역풍 불 듯 = 노 대통령은 이번 개각을 통해 임기후반기 ‘직할 통치’의지를 분명히 밝힌 셈이다. 이해찬 전 총리 시절 대부분의 내치를 총리에 맡긴 것과는 달리 자신의 의중을 직접 전달할 사람들로 내각 진용이 짜여진 것.
노 대통령의 이런 인사흐름은 여당을 비롯해, 여론의 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정후반기 선거로 완전히 돌아앉은 민심을 확인한 터에 개각이 더 불을 지르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앞으로 예상되는 또 한번의 개각은 이런 논란을 더욱 불러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