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지역 교수·교사 등으로 구성된 역사 탐험대가 중국 실크로드 탐험에 들어갔다.
‘2006년 실크로드 역사 탐험대’는 내달 21일까지 중국내 실크로드 구간을 차량으로 탐험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역사탐험은 국산 사륜구동 차량을 이용하여 중국 톈진을 출발 베이징-타이원-시안-무웨이-주취엔-둔황-하미-투루판-쿠처-카슈가르-호탄-민풍-노창-치에머-더링하-시닝-란주-은촨-훅허하오터-베이징을 거쳐 톈진으로 돌아오는 일정이다.
탐험대원 이은권(46·ULS어학원장)씨는 “비행기나 기차가 아닌 자동차를 이용함으로써 기원전부터 동서문명교류의 장이었던 실크로드 구간을 제대로 답사 고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위해 고대 대상들의 이동로인 감숙성 내 고비사막 구간을 횡단하고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타클라마칸 사막을 일주한다”고 밝혔다.
한편 오창학 탐험대장(35ㆍ대전중앙고등학교 교사, 역사소설가)은 “시안에서 카스까지 이어지는 혜초의 서역귀환로와 안서도호부 유적 쿠차를 중심으로 한 고선지의 활동 루트, 키질석굴을 중심으로 한 조선족 화가 한락연의 흔적을 답사함으로써 실크로드의 종착점이 중국의 서안이 아니라 바로 한반도의 경주라는 사실을 고증하려한다”고 설명했다.
탐험대는 오창학, 이은권, 이은주(여·33·성덕중학교 교사), 박재익(46·시인), 황인덕(52·충남대 국문과 교수), 이광태(40·해외장정오프로드 전문가), 안해성(45·정비사, 아마추어무선사)로 구성되어 있다.
탐험단은 신문과 단행본, 논문 작성 등을 통해 탐험성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대전 윤덕중 리포터 dayo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6년 실크로드 역사 탐험대’는 내달 21일까지 중국내 실크로드 구간을 차량으로 탐험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역사탐험은 국산 사륜구동 차량을 이용하여 중국 톈진을 출발 베이징-타이원-시안-무웨이-주취엔-둔황-하미-투루판-쿠처-카슈가르-호탄-민풍-노창-치에머-더링하-시닝-란주-은촨-훅허하오터-베이징을 거쳐 톈진으로 돌아오는 일정이다.
탐험대원 이은권(46·ULS어학원장)씨는 “비행기나 기차가 아닌 자동차를 이용함으로써 기원전부터 동서문명교류의 장이었던 실크로드 구간을 제대로 답사 고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위해 고대 대상들의 이동로인 감숙성 내 고비사막 구간을 횡단하고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타클라마칸 사막을 일주한다”고 밝혔다.
한편 오창학 탐험대장(35ㆍ대전중앙고등학교 교사, 역사소설가)은 “시안에서 카스까지 이어지는 혜초의 서역귀환로와 안서도호부 유적 쿠차를 중심으로 한 고선지의 활동 루트, 키질석굴을 중심으로 한 조선족 화가 한락연의 흔적을 답사함으로써 실크로드의 종착점이 중국의 서안이 아니라 바로 한반도의 경주라는 사실을 고증하려한다”고 설명했다.
탐험대는 오창학, 이은권, 이은주(여·33·성덕중학교 교사), 박재익(46·시인), 황인덕(52·충남대 국문과 교수), 이광태(40·해외장정오프로드 전문가), 안해성(45·정비사, 아마추어무선사)로 구성되어 있다.
탐험단은 신문과 단행본, 논문 작성 등을 통해 탐험성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대전 윤덕중 리포터 dayo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