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집어보는 뉴스
“북한이 무슨 구멍가게냐”
넷째 부인에게 권력 쏠린다고? 북한을 너무 모르는 소리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004년 부인 고영희씨가 사망한 이후 비서출신의 김 옥씨를 새 부인으로 맞아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향후 김정일 위원장의 후계구도와 북한의 권력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 언론은 23~24일 복수의 대북 소식통을 인용, “현재 김 위원장과 동거하고 있는 김씨는 사실상 북한의 퍼스트 레이디”라며 “김정일-김옥 사이의 2세가 향후 김 위원장 후계구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북한을 ‘권력승계=세습’이라는 구도로 바라볼 경우 지나치게 평면적으로 이해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정통한 대북 소식통은 “김정일 위원장과 김옥씨 사이에 자녀가 있다 하더라도 김정일 차기 권력구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김 위원장은 김일성 주석으로부터 권력을 ‘넘겨받은’ 것이 아니라 ‘투쟁을 겪으며 쟁취했다’”며 “자신의 2세라고 함부로 권력세습을 할 경우 이는 곧 그 2세를 죽음으로 모는 일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북한의 정부 수립후 정규교육을 받은 1세대다. 그 전 세대는 전쟁통에 제대로된 교육을 받을 수 없었다. 전쟁영웅 등 숱한 경쟁자들이 있었지만 김 위원장이 상대적 우위를 점할 수 있었던 이유다. 김 위원장이 8살이나 많은 김용순 전 노동당 비서(사망) 등을 스스럼없이 친구 대하듯 했던 것도 동문수학한 ‘동기’라는 인식 때문이었다.
김 위원장은 1974년 2월(당시 33세) 당 후계자로 지명됐지만 철저히 스스로를 감춰두고 권력강화에 힘썼다. 오진우 무력부장을 후견인으로 삼는 한편 자신이 나온 만경대 혁명학원 출신을 대거 기용, 군내 지지기반을 구축했다.
북한은 1980년까지 <노동신문> 등을 통해 김 위원장을 ‘당 중앙’으로만 지칭하며 “당 중앙을 중심으로 일치 단결하자” 등 모호한 표현만 썼다. 1980년 6차 당대회에서 권력의 전면에 부상, ‘친애하는 지도자동지’로 호칭이 바뀔 때가지 우리 정보기관도 △실제 당 중앙을 얘기하는 것인지 △제3의 인물을 지칭하는 것인지 ‘당 중앙’에 대한 해석으로 애를 먹었다는 후문이다.
김 위원장은 1991년 최고사령관, 1993년 국방위원장에 추대돼 군권을 완전 장악했지만 1994년 김일성 주석이 사망하고도 ‘주석제’를 폐지하고 권력 전반을 손아귀에 넘는데 추가로 4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결국 1974년부터 28년이 걸려 ‘북조선인민공화국’을 온전히 자신의 휘하에 두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지금도 수시로 군대시찰 등 군부를 다독이고 사단장급 간부에게 선물을 하사, 환심을 사는 등 권력누수를 막기 위해 애쓰고 있다. 김 위원장도 지난해 말 김기남 노동당 비서, 박재경 군 대장 등 측근들에게 3대 세습이 국제사회에서 웃음거리가 될 수 있다며 후계논의 금지령을 내린 바 있다. 이 역시 단순히 창피를 염려했다기보다 후계논의 자체가 ‘예비 후계자’를 위험으로 내몬다는 사실을 김 위원장이 잘 알기 때문이다.
결국 김 위원장의 가족 관계에 사소한 변화가 발생했다고 해서 이를 권력구도 변화로 직결한다는 것은 북한 사회를 ‘과소평가’해 객관적 대응을 어렵게 만든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노동신문>
“북한이 무슨 구멍가게냐”
넷째 부인에게 권력 쏠린다고? 북한을 너무 모르는 소리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004년 부인 고영희씨가 사망한 이후 비서출신의 김 옥씨를 새 부인으로 맞아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향후 김정일 위원장의 후계구도와 북한의 권력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 언론은 23~24일 복수의 대북 소식통을 인용, “현재 김 위원장과 동거하고 있는 김씨는 사실상 북한의 퍼스트 레이디”라며 “김정일-김옥 사이의 2세가 향후 김 위원장 후계구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북한을 ‘권력승계=세습’이라는 구도로 바라볼 경우 지나치게 평면적으로 이해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정통한 대북 소식통은 “김정일 위원장과 김옥씨 사이에 자녀가 있다 하더라도 김정일 차기 권력구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김 위원장은 김일성 주석으로부터 권력을 ‘넘겨받은’ 것이 아니라 ‘투쟁을 겪으며 쟁취했다’”며 “자신의 2세라고 함부로 권력세습을 할 경우 이는 곧 그 2세를 죽음으로 모는 일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북한의 정부 수립후 정규교육을 받은 1세대다. 그 전 세대는 전쟁통에 제대로된 교육을 받을 수 없었다. 전쟁영웅 등 숱한 경쟁자들이 있었지만 김 위원장이 상대적 우위를 점할 수 있었던 이유다. 김 위원장이 8살이나 많은 김용순 전 노동당 비서(사망) 등을 스스럼없이 친구 대하듯 했던 것도 동문수학한 ‘동기’라는 인식 때문이었다.
김 위원장은 1974년 2월(당시 33세) 당 후계자로 지명됐지만 철저히 스스로를 감춰두고 권력강화에 힘썼다. 오진우 무력부장을 후견인으로 삼는 한편 자신이 나온 만경대 혁명학원 출신을 대거 기용, 군내 지지기반을 구축했다.
북한은 1980년까지 <노동신문> 등을 통해 김 위원장을 ‘당 중앙’으로만 지칭하며 “당 중앙을 중심으로 일치 단결하자” 등 모호한 표현만 썼다. 1980년 6차 당대회에서 권력의 전면에 부상, ‘친애하는 지도자동지’로 호칭이 바뀔 때가지 우리 정보기관도 △실제 당 중앙을 얘기하는 것인지 △제3의 인물을 지칭하는 것인지 ‘당 중앙’에 대한 해석으로 애를 먹었다는 후문이다.
김 위원장은 1991년 최고사령관, 1993년 국방위원장에 추대돼 군권을 완전 장악했지만 1994년 김일성 주석이 사망하고도 ‘주석제’를 폐지하고 권력 전반을 손아귀에 넘는데 추가로 4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결국 1974년부터 28년이 걸려 ‘북조선인민공화국’을 온전히 자신의 휘하에 두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지금도 수시로 군대시찰 등 군부를 다독이고 사단장급 간부에게 선물을 하사, 환심을 사는 등 권력누수를 막기 위해 애쓰고 있다. 김 위원장도 지난해 말 김기남 노동당 비서, 박재경 군 대장 등 측근들에게 3대 세습이 국제사회에서 웃음거리가 될 수 있다며 후계논의 금지령을 내린 바 있다. 이 역시 단순히 창피를 염려했다기보다 후계논의 자체가 ‘예비 후계자’를 위험으로 내몬다는 사실을 김 위원장이 잘 알기 때문이다.
결국 김 위원장의 가족 관계에 사소한 변화가 발생했다고 해서 이를 권력구도 변화로 직결한다는 것은 북한 사회를 ‘과소평가’해 객관적 대응을 어렵게 만든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노동신문>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