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당, 김병준에 ‘충분한 해명후 명예로운 퇴진’ 요구 관철
우리당이 내놓을 ‘수정된 정책’과 청와대 어젠다 충돌 불가피
김병준 부총리 내정 때는 청와대가 열린우리당당의 기세를 눌렀지만 김 부총리 사퇴에서는 열린우리당이 청와대를 꺾었다. 김병준 부총리를 둘러싼 당청간 기싸움 전적은 1승 1패.
‘기싸움’은 치열했다. 지난달 3일 노무현 대통령이 김병준 청와대 정책실장을 교육부총리로 내정할 때 열린우리당은 “민심을 거스르는 인사”라며 강력 반발했다. 하지만 노 대통령은 그대로 밀어붙였고, 관철시켰다. 그 과정에서 열린우리당 김근태 의장은 ‘김병준 교육부총리 내정반대’라는 당내 기류를 노 대통령에게 전하지 못해 당 안팎으로부터 리더십을 의심 받았다. 당시 노 대통령과 당과의 소통통로는 사실상 당의장 이외엔 없었다.
하지만 이번엔 달랐다. 지난달 28일부터 ‘김병준 사퇴불가피론’이 퍼진 이후 열린우리당 지도부는 기민하게 움직였다. 김근태 의장은 ‘결단할 것은 결단해야 한다’ ‘명예롭게 사퇴해야 한다’며 김 부총리의 자진 사퇴 요구의 톤을 높였고, 한명숙 총리는 노 대통령과 오찬회동을 가지면서 ‘김 부총리의 경질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전했다.
‘당에서 간’ 한 총리는 철저하게 열린우리당과 보조를 맞췄다. 민심의 흐름과 당의 요구를 대통령에게 전하는 ‘소통’의 역할을 한 총리가 수행한 것이다.
김 부총리의 자진 사퇴 이전 당 관계자들의 말과 분위기를 보면 김 부총리는 ‘충분한 해명 후 명예로운 퇴진’이라는 시나리오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
국회 교육위 전체회의가 있던 지난 1일 우리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김 부총리가 자진해서 물러날 것인지 묻는 질문에 “김 부총리가 교육위에서 자신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충분하게 해명한 후 바로 명예롭게 퇴진할 것이다. 31일날 김근태 의장, 김한길 원내대표, 한명숙 총리, 이병완 청와대 비서실장이 만나 그렇게 정리했다며 김 부총리의 자진사퇴를 기정사실화했다. 이 관계자의 말대로 2일 김 부총리는 2일 오전 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고, 활짝 웃는 모습으로 기자들을 대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여권내 힘의 관계가 열린우리당 쪽으로 쏠렸다고 보긴 아직 이르지만, 당청은 앞으로 각종 현안을 두고 더욱 치열하게 기싸움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당장 법무부 장관 인선 때 노 대통령이 ‘문재인 카드’를 꺼내들면 당청간 충돌은 불가피하다.
우리당 김근태 의장은 2일 저녁 일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개인적으로는 법무부 장관으로 문재인 전 수석만한 인물이 없다”고 전제하면서도 “하지만 국민들이 (법무부 장관으로 문 전 수석을) 적합하다고 보지는 않는 것 같다”고 선을 그었다.
우리당의 한 관계자는 “만일 노 대통령이 문재인 법무부 장관을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면 이참에 당청관계를 끝장내자는 뜻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며 “그러면 당청관계는 전면전”이라는 말까지 했다.
당청간 충돌요소는 인사문제뿐 이외에도 곳곳에 숨어 있다. 앞으로 우리당이 제시할 ‘수정된 정책’과 청와대 어젠다가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지난 2일 우리당 서민경제회복추진위원회가 대통령 소속 자문위원회를 대폭 정비하겠다고 밝힌 것만 봐도 당청간 긴장의 강도가 얼마나 센지 알 수 있다. 당청갈등이 단순한 기싸움의 수준을 넘어 결별수순을 밟고 있다는 관측이 나올만한 대목이다.
우리당의 한 관계자는 “당과 청와대가 가장 아름답게 결별하는 방법은 정책을 두고 한바탕 크게 부딪히고 헤어지는 것”이라며 “법무부 장관 인선 등 인사문제가 해결되면 ‘정책’이 당청관계 정리의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창훈 기자 chuns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우리당이 내놓을 ‘수정된 정책’과 청와대 어젠다 충돌 불가피
김병준 부총리 내정 때는 청와대가 열린우리당당의 기세를 눌렀지만 김 부총리 사퇴에서는 열린우리당이 청와대를 꺾었다. 김병준 부총리를 둘러싼 당청간 기싸움 전적은 1승 1패.
‘기싸움’은 치열했다. 지난달 3일 노무현 대통령이 김병준 청와대 정책실장을 교육부총리로 내정할 때 열린우리당은 “민심을 거스르는 인사”라며 강력 반발했다. 하지만 노 대통령은 그대로 밀어붙였고, 관철시켰다. 그 과정에서 열린우리당 김근태 의장은 ‘김병준 교육부총리 내정반대’라는 당내 기류를 노 대통령에게 전하지 못해 당 안팎으로부터 리더십을 의심 받았다. 당시 노 대통령과 당과의 소통통로는 사실상 당의장 이외엔 없었다.
하지만 이번엔 달랐다. 지난달 28일부터 ‘김병준 사퇴불가피론’이 퍼진 이후 열린우리당 지도부는 기민하게 움직였다. 김근태 의장은 ‘결단할 것은 결단해야 한다’ ‘명예롭게 사퇴해야 한다’며 김 부총리의 자진 사퇴 요구의 톤을 높였고, 한명숙 총리는 노 대통령과 오찬회동을 가지면서 ‘김 부총리의 경질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전했다.
‘당에서 간’ 한 총리는 철저하게 열린우리당과 보조를 맞췄다. 민심의 흐름과 당의 요구를 대통령에게 전하는 ‘소통’의 역할을 한 총리가 수행한 것이다.
김 부총리의 자진 사퇴 이전 당 관계자들의 말과 분위기를 보면 김 부총리는 ‘충분한 해명 후 명예로운 퇴진’이라는 시나리오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
국회 교육위 전체회의가 있던 지난 1일 우리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김 부총리가 자진해서 물러날 것인지 묻는 질문에 “김 부총리가 교육위에서 자신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충분하게 해명한 후 바로 명예롭게 퇴진할 것이다. 31일날 김근태 의장, 김한길 원내대표, 한명숙 총리, 이병완 청와대 비서실장이 만나 그렇게 정리했다며 김 부총리의 자진사퇴를 기정사실화했다. 이 관계자의 말대로 2일 김 부총리는 2일 오전 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고, 활짝 웃는 모습으로 기자들을 대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여권내 힘의 관계가 열린우리당 쪽으로 쏠렸다고 보긴 아직 이르지만, 당청은 앞으로 각종 현안을 두고 더욱 치열하게 기싸움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당장 법무부 장관 인선 때 노 대통령이 ‘문재인 카드’를 꺼내들면 당청간 충돌은 불가피하다.
우리당 김근태 의장은 2일 저녁 일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개인적으로는 법무부 장관으로 문재인 전 수석만한 인물이 없다”고 전제하면서도 “하지만 국민들이 (법무부 장관으로 문 전 수석을) 적합하다고 보지는 않는 것 같다”고 선을 그었다.
우리당의 한 관계자는 “만일 노 대통령이 문재인 법무부 장관을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면 이참에 당청관계를 끝장내자는 뜻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며 “그러면 당청관계는 전면전”이라는 말까지 했다.
당청간 충돌요소는 인사문제뿐 이외에도 곳곳에 숨어 있다. 앞으로 우리당이 제시할 ‘수정된 정책’과 청와대 어젠다가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지난 2일 우리당 서민경제회복추진위원회가 대통령 소속 자문위원회를 대폭 정비하겠다고 밝힌 것만 봐도 당청간 긴장의 강도가 얼마나 센지 알 수 있다. 당청갈등이 단순한 기싸움의 수준을 넘어 결별수순을 밟고 있다는 관측이 나올만한 대목이다.
우리당의 한 관계자는 “당과 청와대가 가장 아름답게 결별하는 방법은 정책을 두고 한바탕 크게 부딪히고 헤어지는 것”이라며 “법무부 장관 인선 등 인사문제가 해결되면 ‘정책’이 당청관계 정리의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창훈 기자 chuns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