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식 검증하면 앞으로 교수출신은 절대 장관 할 수 없다"
“주요대학도 100% 중복게재했다...나는 오히려 중복논문 적다"
“(박사논문 지도 할 때) CEO에겐 심사위원들이 이심전심으로 조금 관대”
교수사회가 동요하고 있다. 김병준 부총리를 둘러싼 논란이 전체 교수사회를 부도덕한 집단으로 몰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교수들은 김 부총리가 자신을 둘러싼 의혹을 해명하면서 대학사회 전체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현상처럼 표현하는데 대해 서운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외활동을 자제하고 연구와 학생지도에 주력하는 한 교수는 “대외활동에 적극적이고 용역 많이 따는 교수들의 문제에 왜 다수 교수를 끌어들이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김 부총리는 표절 의혹이 제기되자 “이런 식으로 (각주까지 들이대며) 검증하면 앞으로 교수 출신은 절대 장관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교수사회에는 나만한 도덕성을 가진 사람은 없다는 말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는 대목이다.
김 부총리는 또 1일 국회 교육위원회에 출석해 BK21 1단계사업 실적보고 당시 논문실적을 부풀린 잘못을 인정하면서 “확인해 보니까 주요 대학들도 거의 100% 중복 게재했다”며 자신은 오히려 중복논문이 적다고 해명했다. 이 덕분에 BK21 참가교수들은 모두가 ‘실적 부풀리기’를 하는 집단으로 비춰지게 됐다.
직장을 다니며 박사학위를 받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는 늦깎기 학생들과 이들을 지도하는 교수들도 힘이 빠지기는 마찬가지다. 김 부총리는 교육위에서 성북구청 용역을 둘러싼 논란을 해명하며 “경력을 가진 CEO에겐 심사위원들이 이심전심으로 조금 관대한 일반적 기준이 가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의 발언으로 많은 대학과 교수들이 ‘자의적 잣대’로 논문을 평가하고 있다는 눈총을 받게 됐다. 또 학위를 받고 자랑스러워했던 경력직 학위취득자들도 뜨거운 주위의 시선을 무시하거나 해명해야 하는 입장이 됐다.
교육 부총리는 교수, 교사 등 교육가족의 사기를 진작시켜야 하는 교육계의 수장이다. 진퇴여부를 떠나 김 부총리는 자신의 발언으로 인해 자존심과 도덕성에 타격을 받은 교육가족들을 어떻게 대할지 걱정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주요대학도 100% 중복게재했다...나는 오히려 중복논문 적다"
“(박사논문 지도 할 때) CEO에겐 심사위원들이 이심전심으로 조금 관대”
교수사회가 동요하고 있다. 김병준 부총리를 둘러싼 논란이 전체 교수사회를 부도덕한 집단으로 몰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교수들은 김 부총리가 자신을 둘러싼 의혹을 해명하면서 대학사회 전체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현상처럼 표현하는데 대해 서운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외활동을 자제하고 연구와 학생지도에 주력하는 한 교수는 “대외활동에 적극적이고 용역 많이 따는 교수들의 문제에 왜 다수 교수를 끌어들이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김 부총리는 표절 의혹이 제기되자 “이런 식으로 (각주까지 들이대며) 검증하면 앞으로 교수 출신은 절대 장관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교수사회에는 나만한 도덕성을 가진 사람은 없다는 말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는 대목이다.
김 부총리는 또 1일 국회 교육위원회에 출석해 BK21 1단계사업 실적보고 당시 논문실적을 부풀린 잘못을 인정하면서 “확인해 보니까 주요 대학들도 거의 100% 중복 게재했다”며 자신은 오히려 중복논문이 적다고 해명했다. 이 덕분에 BK21 참가교수들은 모두가 ‘실적 부풀리기’를 하는 집단으로 비춰지게 됐다.
직장을 다니며 박사학위를 받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는 늦깎기 학생들과 이들을 지도하는 교수들도 힘이 빠지기는 마찬가지다. 김 부총리는 교육위에서 성북구청 용역을 둘러싼 논란을 해명하며 “경력을 가진 CEO에겐 심사위원들이 이심전심으로 조금 관대한 일반적 기준이 가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의 발언으로 많은 대학과 교수들이 ‘자의적 잣대’로 논문을 평가하고 있다는 눈총을 받게 됐다. 또 학위를 받고 자랑스러워했던 경력직 학위취득자들도 뜨거운 주위의 시선을 무시하거나 해명해야 하는 입장이 됐다.
교육 부총리는 교수, 교사 등 교육가족의 사기를 진작시켜야 하는 교육계의 수장이다. 진퇴여부를 떠나 김 부총리는 자신의 발언으로 인해 자존심과 도덕성에 타격을 받은 교육가족들을 어떻게 대할지 걱정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