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능시험은 11월 16일 실시되며 응시원서 접수는 8월29일부터 9월13일(토·일 제외)까지 이뤄진다. 또 성적은 12월13일 개인별로 통지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이런 내용의 ‘2007학년도 수능시험 시행계획’을 7일 공고했다.
이에 따르면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작년처럼 쉽게 출제되며 교육방송(EBS) 수능강의 내용이 상당부분 나올 전망이다.
정강정 평가원장은 “올해 수능시험 문제도 작년처럼 쉽게 낼 것”이라며 “학교수업을 충실히 한 수험생과 EBS 강의를 들은 수험생이 풀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탐구영역과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선택과목은 난이도 조절에 중점을 둬 선택과목에 따른 점수 차이를 줄이겠다”며 “지난해 만점자가 많아 변별력 논란을 빚었던 언어영역도 의도적으로 난이도를 높이지는 않겠다”고 덧붙였다.
EBS 수능강의의 활용 방식은 △지문의 확장·축소(언어) △도형·삽화·그림활용(탐구) △상황 활용(외국어) △중요 지식·개념·원리·어휘 활용 등이다.
◆원서접수 등 일정 = 원서교부 및 접수기간은 8월 29일부터 9월 13일까지다.
지난해 열린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정상회담 때문에 평년보다 일주일 늦춰졌던 수능시험일이 올해는 예년처럼 11월 16일로 다시 환원됐다.
시험일에는 각 교시가 끝날 때마다 문제와 정답이 평가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되고 시험이 끝난 직후부터 20일까지 5일간 문제·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아 심사를 거쳐 11월 29일 오전 11시 홈페이지에 정답을 확정 발표한다.
시험은 오전 8시40분 시작돼 1교시 언어(90분), 2교시 수리(100분), 3교시 외국어(70분), 4교시 사회/과학/직업탐구(126분), 5교시 제2외국어/한문(40분) 순으로 치러진다. 5교시까지 선택하면 오후 6시15분에 끝난다.
특히 4교시 탐구영역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자신이 선택한 과목을 풀어야 하며 30분이 지날 때마다 2분씩 시험을 본 과목의 문제지를 회수한다.
영역별로 언어와 외국어(영어)는 예전처럼 출제범위를 특정 과목에 한정하지 않고 범교과적 소재를 활용하고 수리 ‘가’형은 수학Ⅰ에서 12문항이, 수학Ⅱ에서 13문항이 각각 출제된다. 수리 ‘나’형은 수학Ⅰ에서 30문항이 나온다
사회탐구영역은 윤리와 국사,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등 11개 과목 중 최대 4개 과목을, 과학탐구영역에서도 최대 4개 과목을 각각 선택할 수 있다.
12월 13일 교부될 성적통지표에는 수험생이 응시한 언어, 수리, 외국어(영어), 사회/과학/직업탐구, 제2외국어/한문 등으로 영역을 구분해 표기되고 수리 ‘가’형, 탐구, 제2외국어/한문은 지난해까지와 달리 선택과목명도 표기된다.
수리 ‘가’형 선택과목 간 점수는 지난해 사회/과학탐구와 같은 방법으로 표준점수를 조정한다.
표준점수와 백분위는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정수로 표기되고 영역/과목별 등급도 지난해와 같이 9등급제를 유지한다.
수능성적표에는 작년처럼 영역·선택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9등급)만 기재된다.
◆주의사항 =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시험실당 수험생수를 28명 이하로 했고 시험실당 감독관도 2명(단 탐구영역은 3명)으로 해서 교시별로 교체키로 했다.
가급적 같은 학교 학생이 동일 시험장내 전후나 좌우 좌석에 배치되지 않도록 수험번호를 부여하고 동일 시험장 및 시험실에 같은 학교 출신 응시자가 몰리지 않게 한다.
특히 복도 감독관에게 휴대용 금속탐지기를 제공, 시험시간에 화장실에 가거나 시험실 감독관이 부정행위 움직임을 감지했을 때 조사할 수 있도록 하고 불응 땐 부정행위로 간주키로 했다.
대리시험을 막기 위해 답안지에 짧은 시구(詩句)나 금언(金言)을 자필로 쓰는 필적 확인란을 마련, 필요시 필적감정을 할 예정이다.
휴대전화와 카메라 펜 등 통신장비 반입을 막기 위해 시험당국에서 제공하지 않는 필기구 사용 등이 금지된다.
응시 수수료는 선택한 영역 수에 따라 3개영역 이하 3만7000원, 4개영역 4만2000원, 5개영역 4만7000원이다.
부정행위가 적발되면 그 시험은 무효 처리되고 최장 2년간 응시할 수 없으며 부정행위자 명단은 각 시.도교육청과 대학에 통보된다.
자세한 내용은 평가원 홈페이지(www.kice.re.kr)를 참조하면 된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이런 내용의 ‘2007학년도 수능시험 시행계획’을 7일 공고했다.
이에 따르면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작년처럼 쉽게 출제되며 교육방송(EBS) 수능강의 내용이 상당부분 나올 전망이다.
정강정 평가원장은 “올해 수능시험 문제도 작년처럼 쉽게 낼 것”이라며 “학교수업을 충실히 한 수험생과 EBS 강의를 들은 수험생이 풀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탐구영역과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선택과목은 난이도 조절에 중점을 둬 선택과목에 따른 점수 차이를 줄이겠다”며 “지난해 만점자가 많아 변별력 논란을 빚었던 언어영역도 의도적으로 난이도를 높이지는 않겠다”고 덧붙였다.
EBS 수능강의의 활용 방식은 △지문의 확장·축소(언어) △도형·삽화·그림활용(탐구) △상황 활용(외국어) △중요 지식·개념·원리·어휘 활용 등이다.
◆원서접수 등 일정 = 원서교부 및 접수기간은 8월 29일부터 9월 13일까지다.
지난해 열린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정상회담 때문에 평년보다 일주일 늦춰졌던 수능시험일이 올해는 예년처럼 11월 16일로 다시 환원됐다.
시험일에는 각 교시가 끝날 때마다 문제와 정답이 평가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되고 시험이 끝난 직후부터 20일까지 5일간 문제·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아 심사를 거쳐 11월 29일 오전 11시 홈페이지에 정답을 확정 발표한다.
시험은 오전 8시40분 시작돼 1교시 언어(90분), 2교시 수리(100분), 3교시 외국어(70분), 4교시 사회/과학/직업탐구(126분), 5교시 제2외국어/한문(40분) 순으로 치러진다. 5교시까지 선택하면 오후 6시15분에 끝난다.
특히 4교시 탐구영역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자신이 선택한 과목을 풀어야 하며 30분이 지날 때마다 2분씩 시험을 본 과목의 문제지를 회수한다.
영역별로 언어와 외국어(영어)는 예전처럼 출제범위를 특정 과목에 한정하지 않고 범교과적 소재를 활용하고 수리 ‘가’형은 수학Ⅰ에서 12문항이, 수학Ⅱ에서 13문항이 각각 출제된다. 수리 ‘나’형은 수학Ⅰ에서 30문항이 나온다
사회탐구영역은 윤리와 국사,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등 11개 과목 중 최대 4개 과목을, 과학탐구영역에서도 최대 4개 과목을 각각 선택할 수 있다.
12월 13일 교부될 성적통지표에는 수험생이 응시한 언어, 수리, 외국어(영어), 사회/과학/직업탐구, 제2외국어/한문 등으로 영역을 구분해 표기되고 수리 ‘가’형, 탐구, 제2외국어/한문은 지난해까지와 달리 선택과목명도 표기된다.
수리 ‘가’형 선택과목 간 점수는 지난해 사회/과학탐구와 같은 방법으로 표준점수를 조정한다.
표준점수와 백분위는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정수로 표기되고 영역/과목별 등급도 지난해와 같이 9등급제를 유지한다.
수능성적표에는 작년처럼 영역·선택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9등급)만 기재된다.
◆주의사항 =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시험실당 수험생수를 28명 이하로 했고 시험실당 감독관도 2명(단 탐구영역은 3명)으로 해서 교시별로 교체키로 했다.
가급적 같은 학교 학생이 동일 시험장내 전후나 좌우 좌석에 배치되지 않도록 수험번호를 부여하고 동일 시험장 및 시험실에 같은 학교 출신 응시자가 몰리지 않게 한다.
특히 복도 감독관에게 휴대용 금속탐지기를 제공, 시험시간에 화장실에 가거나 시험실 감독관이 부정행위 움직임을 감지했을 때 조사할 수 있도록 하고 불응 땐 부정행위로 간주키로 했다.
대리시험을 막기 위해 답안지에 짧은 시구(詩句)나 금언(金言)을 자필로 쓰는 필적 확인란을 마련, 필요시 필적감정을 할 예정이다.
휴대전화와 카메라 펜 등 통신장비 반입을 막기 위해 시험당국에서 제공하지 않는 필기구 사용 등이 금지된다.
응시 수수료는 선택한 영역 수에 따라 3개영역 이하 3만7000원, 4개영역 4만2000원, 5개영역 4만7000원이다.
부정행위가 적발되면 그 시험은 무효 처리되고 최장 2년간 응시할 수 없으며 부정행위자 명단은 각 시.도교육청과 대학에 통보된다.
자세한 내용은 평가원 홈페이지(www.kice.re.kr)를 참조하면 된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