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응하고 있는 대표적인 한국기업이며 삼성의 이 같은 도약은 이건희 회장의 리더십 덕분이라고 일본 언론이 지적했다.
삼성에 따르면 일본의 경제주간지 주간이코노미스트 최신호(11일자)는 ‘글로벌 재벌 삼성의 강점’이라는 칼럼에서 “성공적인 한국 기업들은 재벌 형태를 유지하면서 글로벌 스탠더드의 경영방식에 부응하고 있다”면서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삼성의 강점을 분석했다.
교토가쿠엔 대학 경영학부 하세가와 타나시 교수가 기고한 이 칼럼은 “삼성은 이건희 회장의 리더십에 의해 1997년 외환위기 이전부터 주주중시 경영, 회계 투명성 제고, 능력주의 인사제도, 연봉제 도입 등 혁신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변신했다”고 소개했다.
칼럼은 “삼성은 ‘정보기술(IT) 버블’이 붕괴된 2000년 이후부터 시가총액에서 일본의 소니를 추월하는 등 일본 전자업체들의 부진 속에서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했다”면서 그 비결로 △이 회장이 주도한 신경영 △구조조정본부(현 전략기획실)의 관제탑 역할 △강도 높은 구조조정 △선택과 집중을 통한 경영효율화 △체계적 교육제도 등을 들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