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과 화해 위한 대전 산내학살사건 진상규명
금 홍 섭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회개혁실천국장)
1950년 6월 25일은 한국전쟁이 시작되었던 날이다. 많은 이들이 초등학교 교과서를 통해 1950년 9월 인민군에 의해 자행된 대전형무소 우물 학살 사건은 기억하고 있으나, 당해 7월 2일부터 보름간 군인과 경찰에 의해 자행된 대전산내학살 사건에 대해 알고 있는 이는 거의 없다. 대전산내학살 사건은 대전형무소 재소자를 중심으로 대전산내 골령골에서 군인과 경찰에 의해 자행된 학살사건으로 한국전쟁전후 최대 규모의 민간인학살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미국립문서보관소에서 비밀문서(2급)로 분류돼오다 1999년 12월 16일 비밀 해제된 문서에는 ‘처형명령은 의심할 바 없이 최상부(최고위층)로부터 내려진 것…’이라고 적고 있다. 학살규모만도 적게는 1800명에서 많게는 7000여명에 이를 정도로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규모로는 최대다.
학살이 자행된 지 56주년이 되는 아직까지도 유족들은 왜 아버지가, 어머니가, 형이 산내 골령골에서 억울하게 총 맞아 죽어갔는지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대전산내학살 사건에 대한 정확한 진상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당시 대전형무소 수형인 명부나 민간인 학살규모, 학살명령 체계가 속 시원히 밝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가운데 과거사법이 지난해 5월 3일 국회를 통과하였다. 과거사법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 희생사건을 포함, 국가폭력에 희생된 각종 인권침해 사례의 진상을 밝히고자 제정되었던 만큼 대전산내학살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바라는 많은 유족들은 기대에 차 있다. 그런데도 대전산내학살 사건 당시의 참혹한 실상들이 잇따라 드러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방자치단체나 정부의 태도는 매우 불성실하다.
그동안 여섯 차례에 걸쳐 대전산내학살 희생자 위령제가 유족 및 시민사회단체 중심으로 치러졌음에도 불구하고 대전시나 동구청의 지원은커녕, 위령제 행사에 참석조차 하지 않고 있다.
반면 경북 문경 등 다른 지역 유사 사건의 경우 위령제에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은 물론 경찰서장이 직접 참석하여 조사를 읽거나 행사비 전액을 지원하는 등의 상생과 화해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국가 권력에 의해 저질러진 최대 규모의 민간인 학살사건에 대해 56년이 지난 지금까지 우리 정부가 침묵하는 것은 역사에 대한 또 하나의 죄악이다. 당시 비극적인 상황에 대해 있는 그대로 밝히는 일이 유족들의 상처를 아물게 하고 상생과 화해의 수순임을 행정기관이 모르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여수·순천 반란사건 가해자와 피해자 유족대표가 서로의 위령제에 참석하여 서로를 격려하고 추모하고 있음의 의미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금 홍 섭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회개혁실천국장)
1950년 6월 25일은 한국전쟁이 시작되었던 날이다. 많은 이들이 초등학교 교과서를 통해 1950년 9월 인민군에 의해 자행된 대전형무소 우물 학살 사건은 기억하고 있으나, 당해 7월 2일부터 보름간 군인과 경찰에 의해 자행된 대전산내학살 사건에 대해 알고 있는 이는 거의 없다. 대전산내학살 사건은 대전형무소 재소자를 중심으로 대전산내 골령골에서 군인과 경찰에 의해 자행된 학살사건으로 한국전쟁전후 최대 규모의 민간인학살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미국립문서보관소에서 비밀문서(2급)로 분류돼오다 1999년 12월 16일 비밀 해제된 문서에는 ‘처형명령은 의심할 바 없이 최상부(최고위층)로부터 내려진 것…’이라고 적고 있다. 학살규모만도 적게는 1800명에서 많게는 7000여명에 이를 정도로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규모로는 최대다.
학살이 자행된 지 56주년이 되는 아직까지도 유족들은 왜 아버지가, 어머니가, 형이 산내 골령골에서 억울하게 총 맞아 죽어갔는지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대전산내학살 사건에 대한 정확한 진상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당시 대전형무소 수형인 명부나 민간인 학살규모, 학살명령 체계가 속 시원히 밝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가운데 과거사법이 지난해 5월 3일 국회를 통과하였다. 과거사법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 희생사건을 포함, 국가폭력에 희생된 각종 인권침해 사례의 진상을 밝히고자 제정되었던 만큼 대전산내학살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바라는 많은 유족들은 기대에 차 있다. 그런데도 대전산내학살 사건 당시의 참혹한 실상들이 잇따라 드러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방자치단체나 정부의 태도는 매우 불성실하다.
그동안 여섯 차례에 걸쳐 대전산내학살 희생자 위령제가 유족 및 시민사회단체 중심으로 치러졌음에도 불구하고 대전시나 동구청의 지원은커녕, 위령제 행사에 참석조차 하지 않고 있다.
반면 경북 문경 등 다른 지역 유사 사건의 경우 위령제에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은 물론 경찰서장이 직접 참석하여 조사를 읽거나 행사비 전액을 지원하는 등의 상생과 화해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국가 권력에 의해 저질러진 최대 규모의 민간인 학살사건에 대해 56년이 지난 지금까지 우리 정부가 침묵하는 것은 역사에 대한 또 하나의 죄악이다. 당시 비극적인 상황에 대해 있는 그대로 밝히는 일이 유족들의 상처를 아물게 하고 상생과 화해의 수순임을 행정기관이 모르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여수·순천 반란사건 가해자와 피해자 유족대표가 서로의 위령제에 참석하여 서로를 격려하고 추모하고 있음의 의미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