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닫는 투자자문사 늘고 있다

2달만에 9개사 폐지 … 영업환경 악화로 영업폐지업체 늘듯

지역내일 2001-03-06

올해 들어 스스로 문을 닫는 투자자문사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부터 증권사에 랩어카운트가 허용된 이후 영업기반이 취약한 투자자문사들이 금융감독원에 폐지신청하는 건수가 부쩍 늘고 있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원업투자자문(대표이사 이상오) 골든힐투자자문(대표이사 박원영) 스마트머니투자자문이 이날 금감원에 폐지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미 폐지신청을 한 프라임투자자문 케이에스투자자문 에이엠지투자자문 한강투자자문 에이엠투자자문 리더스투자자문 등을 합쳐 올 들어서만 9개사이다. 이들 투자자문사는 리더스와 골든힐을 제외하면 모두 자본금이 10억원 미만인 업체다. 이중 에이엠지와 에이엠투자자문은 시세조종 등의 행위로 금감원으로부터 영업정지조치를 받아 영업을 자진 폐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본금이 작고 운용전문인력을 제대로 충원하지 못한 자문사들이 바뀐 영업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문을 닫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계자는“증권사에 랩어카운트가 허용되는 등 자문사들의 영업환경이 점점 나빠지고 있다”면서 “98년 이후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자문사들은 이제부터 시장원리대로 구조조정 과정을 거치게 될것”이라고 지적했다.
관계자는 또 “영업부진으로 운용인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자문사들이 늘고 있다”면서 “검사과정에서 이들 자문사가 제대로 인력을 확보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출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문을 닫은 자문사는 시그넘투자자문 에플투자자문 제논투자자문 에드에셋투자자문 지에프지투자자문 삼립에셋투자자문 중앙투자자문 엠엔비투자자문 충일투자자문 등 9개다. 올들어 2개월만에 지난해만큼 문을 닫았다. 현재 영업중인 투자자문사는 총 114개사. 이 가운데 자본금이 10억원 미만인 업체는 28개에 달한다.
현재 영업을 하고 있는 업체 중 자본금이 50억원 이상인 자문사는 대우투자자문 한셋투자자문 우신투자자문 IMM투자자문 다임인베스트먼트 한가람투자자문 B&F투자자문 CBF투자자문 메리츠투자자문 등 9개사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