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제한 등 사업성 없어 10년 장기 방치
해운대구청 용역 결과 아파트 2500세대 추진
사업자측 “2500세대로는 사업성 낮다” 난색
2년 넘게 끌어오던 부산 해운대 수영만 매립지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가속도가 붙었다. 해운대구청은 그동안 특혜시비 논란에 휩싸여 사업자측이 낸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행정처리를 미뤄오다 ‘아파트 추가 허용이 필요하다’는 부산발전연구원 용역 결과가 제출됨에 따라 주민공청회 등의 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부산발전연구원은 최근 수영만 매립지 상업용지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을 연구 용역한 결과 아파트를 2000~2500세대까지 허용하고 층수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해운대구 우동 수영만 매립지 내 상업용지 3만5000여평은 그동안 신규 아파트 세대수를 놓고 해운대구청과 건설 시행사인 현대산업개발과 대원플러스측이 팽팽히 맞서왔다. 해운대구청은 수영만 매립지를 아파트 500세대, 그 외는 상업지역으로 개발하는 당초 매립 계획을 고수했고, 시행사측은 학교용지를 제공하는 대신 사업성을 고려해 4000세대 이상의 아파트 건립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부발연의 연구 용역 결과에 대해서는 서로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지역환경단체들은 “특혜소지가 있다”며 여전히 반대 입장이지만 지역주민들은 “그대로 두면 오히려 난개발을 부추길 수 있다”며 조속한 지구단위계획입안을 주장하고 있다.
2500세대라는 용역결과도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해운대 구청측은 시행사측에 “용역결과에 맞춰 기존 계획을 변경해 자료를 제출하라”고 주문한 반면 시행사측은 “2500세대로는 사업성이 없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할 태세다.
지역 부동산 전문가들은 아파트 2500세대로는 사업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대형 건설업체 부산 분양소장 정 모씨는 “이미 수영만 매립지는 슬럼화돼 있다. 부산지역 아파트 분양 시장 상황을 봤을 때 주상복합을 지어야 하는 매립지에 2500세대 정도의 아파트는 갈증을 해소하기에 부족하다”고 말했다.
부산지역 부동산 경기를 볼 때 대부분 건설업체들이 주상복합 상가 분양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고 아파트 분양 역시 전국 최하위권을 기록하고 있기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부발연이 해운대구청에 제출한 ‘수영만 매립지 지구단위계획 변경안 타당 성 및 발전방향 검토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최고높이를 60~70층으로 제한하면서 공동주택 2000세대 추가허용 △최고높이를 100층으로 높이고 공동주택 1500세대 추가허용 △최고높이를 150층으로 허용하되 공동주택을 추가로 허용 않는 방안 등 3개 안이 제시됐다.
이에 대해 배덕광 해운대구청장은 “수영만 매립지 아파트 추가 허용은 구청 입장에서 추진하면 특혜 의혹이 제기되고, 불가 입장을 세우면 수영만 개발이 장기화되는 어려운 처지였다. 이번 부발연에 연구 용역 결과에 따라 개발 방향 수립이 빠른 시간내에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해운대구청은 시행사측과의 조율과 전문가 견해, 주민공청회 등을 거쳐 지구단위계획을 입안할 계획이다. 입안된 계획은 부산시 도시계획위원회의 최종 승인을 받아야 한다.
부산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해운대구청 용역 결과 아파트 2500세대 추진
사업자측 “2500세대로는 사업성 낮다” 난색
2년 넘게 끌어오던 부산 해운대 수영만 매립지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가속도가 붙었다. 해운대구청은 그동안 특혜시비 논란에 휩싸여 사업자측이 낸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행정처리를 미뤄오다 ‘아파트 추가 허용이 필요하다’는 부산발전연구원 용역 결과가 제출됨에 따라 주민공청회 등의 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부산발전연구원은 최근 수영만 매립지 상업용지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을 연구 용역한 결과 아파트를 2000~2500세대까지 허용하고 층수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해운대구 우동 수영만 매립지 내 상업용지 3만5000여평은 그동안 신규 아파트 세대수를 놓고 해운대구청과 건설 시행사인 현대산업개발과 대원플러스측이 팽팽히 맞서왔다. 해운대구청은 수영만 매립지를 아파트 500세대, 그 외는 상업지역으로 개발하는 당초 매립 계획을 고수했고, 시행사측은 학교용지를 제공하는 대신 사업성을 고려해 4000세대 이상의 아파트 건립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부발연의 연구 용역 결과에 대해서는 서로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지역환경단체들은 “특혜소지가 있다”며 여전히 반대 입장이지만 지역주민들은 “그대로 두면 오히려 난개발을 부추길 수 있다”며 조속한 지구단위계획입안을 주장하고 있다.
2500세대라는 용역결과도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해운대 구청측은 시행사측에 “용역결과에 맞춰 기존 계획을 변경해 자료를 제출하라”고 주문한 반면 시행사측은 “2500세대로는 사업성이 없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할 태세다.
지역 부동산 전문가들은 아파트 2500세대로는 사업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대형 건설업체 부산 분양소장 정 모씨는 “이미 수영만 매립지는 슬럼화돼 있다. 부산지역 아파트 분양 시장 상황을 봤을 때 주상복합을 지어야 하는 매립지에 2500세대 정도의 아파트는 갈증을 해소하기에 부족하다”고 말했다.
부산지역 부동산 경기를 볼 때 대부분 건설업체들이 주상복합 상가 분양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고 아파트 분양 역시 전국 최하위권을 기록하고 있기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부발연이 해운대구청에 제출한 ‘수영만 매립지 지구단위계획 변경안 타당 성 및 발전방향 검토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최고높이를 60~70층으로 제한하면서 공동주택 2000세대 추가허용 △최고높이를 100층으로 높이고 공동주택 1500세대 추가허용 △최고높이를 150층으로 허용하되 공동주택을 추가로 허용 않는 방안 등 3개 안이 제시됐다.
이에 대해 배덕광 해운대구청장은 “수영만 매립지 아파트 추가 허용은 구청 입장에서 추진하면 특혜 의혹이 제기되고, 불가 입장을 세우면 수영만 개발이 장기화되는 어려운 처지였다. 이번 부발연에 연구 용역 결과에 따라 개발 방향 수립이 빠른 시간내에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해운대구청은 시행사측과의 조율과 전문가 견해, 주민공청회 등을 거쳐 지구단위계획을 입안할 계획이다. 입안된 계획은 부산시 도시계획위원회의 최종 승인을 받아야 한다.
부산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