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의 다세대 주택이 화재의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어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요즘 ‘화재 공
포’에 떨고 있다.
“불난 집이 우리 집으로 무너졌으면 나도 이 세상 사람이 아니다. 다른 옆집도 위험했는데
마침 바람이 거꾸로 불어서 화를 면했다.” 소방관 6명의 목숨을 앗아간 서울 홍제동 화재현장 바로
앞집에 사는 유연봉(56)씨는 당시 상황을 떠올리며 치를 떨었다.
서울 은평구 불광3동은 지난해 한 동네에서 3번이나 불이 났다. 이 동네에서 3년째 산다는 최규순(여
·50)씨는 “지난해 뒷집에서 불이 났다. 다행히 출근시간 이후라 소방차가 쉽게 들어와 불을 껐다.
밤이나 새벽에 불이 나면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벌어졌을 것”이라며 불안해 했다. 불광동 일대도
빌라 또는 다세대 주택이 몰려 있는 지역이다.
또 다른 다세대주택 밀집지역인 관악구에서는 지난 1월 한달 동안 봉천7동 다세대 주택을
비롯, 세 군데서 불이 나 집은 불타고 주민 3명이 중화상을 입었다.
◇화재건수·인명피해 주택지가 1위= 화재는 주택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인명피해 또
한 크다. 서울 소방방재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총 7058건의 화재가 발생했는데 이 가운데 가
장 많은 1591건이 주택에서 발생했다. 1000여건의 차량화재를 제외하면 주택지 화재가 차지하는 비율
은 더 높아진다. 화재로 사망한 100명 가운데 절반인 50명
이 주택화재로 인한 것이었다.
◇화재예방 사각지대= 사정이 이럼에도 연립, 다세대 및 다가구 주택 등은 소방시설 등에
대한 의무규정이 전혀 없다. 불이 난 홍제동 골목 인근의 10여군데 다가구주택 어디에
도 가정용 소화기라도 비치된 곳은 없었다. 소방점검 대상도 아니다. 다른 지역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그나마 100m 마다 설치키로 돼 있는 도로 지하 소방전이 조기진화
에 자주 이용되고 있으나 서울시 전체 필요양의 66%에 불과하다.
◇불 나면 끄기 힘들다= 다세대, 다가구 주택이 몰려 있는 지역은 일단 불이 나면 소방차
등이 접근하기 힘들고 이로 인해 화재피해가 커진다.
문제의 홍제1동 불난 집 주변도 연립이나 다가구 주택들이 빼곡이 들어서 있다. 도로라고
해야 겨우 폭이 6m다. 그나마 야간이면 늘어선 차량으로 아예 소방차는 화재현장에 가지도
못한다. 집이 무너져 소방대원들이 깔렸지만 포크레인 등 장비가 들어가지 못해 시각을 다
투는 구조작업이 늦어졌다. 홍제1동 전체 세대수는 5800여세대에 달하지만 확보된 주차공간
이라야 모두 231대 분량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모두 불법 무단주차인 셈이다.
특히 다가구 주택지역은 초기 진압이 이뤄지지 않으면 다닥다닥 붙어 있는 이웃집으로 불이
옮겨 붙어 대형화재의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도심 난개발이 원인= 다세대 주택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90년 이후.
당시 서울시는 ‘주택난 해소’를 명분으로 건폐율 등 각종 규제를 완화했다. 단독주택 소
유자 또는 부동산업자들은 너도나도 다세대·다가구 주택을 지었다. 물론 주차공간이나 이
면도로 확보 등은 관심 밖이었다.
서울시에 따르면 2000년 11월말 현재 서울시 전체 206만8053호 가운데 24%인 49만4771호가
연립·다가구·다세대 주택이다.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포’에 떨고 있다.
“불난 집이 우리 집으로 무너졌으면 나도 이 세상 사람이 아니다. 다른 옆집도 위험했는데
마침 바람이 거꾸로 불어서 화를 면했다.” 소방관 6명의 목숨을 앗아간 서울 홍제동 화재현장 바로
앞집에 사는 유연봉(56)씨는 당시 상황을 떠올리며 치를 떨었다.
서울 은평구 불광3동은 지난해 한 동네에서 3번이나 불이 났다. 이 동네에서 3년째 산다는 최규순(여
·50)씨는 “지난해 뒷집에서 불이 났다. 다행히 출근시간 이후라 소방차가 쉽게 들어와 불을 껐다.
밤이나 새벽에 불이 나면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벌어졌을 것”이라며 불안해 했다. 불광동 일대도
빌라 또는 다세대 주택이 몰려 있는 지역이다.
또 다른 다세대주택 밀집지역인 관악구에서는 지난 1월 한달 동안 봉천7동 다세대 주택을
비롯, 세 군데서 불이 나 집은 불타고 주민 3명이 중화상을 입었다.
◇화재건수·인명피해 주택지가 1위= 화재는 주택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인명피해 또
한 크다. 서울 소방방재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총 7058건의 화재가 발생했는데 이 가운데 가
장 많은 1591건이 주택에서 발생했다. 1000여건의 차량화재를 제외하면 주택지 화재가 차지하는 비율
은 더 높아진다. 화재로 사망한 100명 가운데 절반인 50명
이 주택화재로 인한 것이었다.
◇화재예방 사각지대= 사정이 이럼에도 연립, 다세대 및 다가구 주택 등은 소방시설 등에
대한 의무규정이 전혀 없다. 불이 난 홍제동 골목 인근의 10여군데 다가구주택 어디에
도 가정용 소화기라도 비치된 곳은 없었다. 소방점검 대상도 아니다. 다른 지역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그나마 100m 마다 설치키로 돼 있는 도로 지하 소방전이 조기진화
에 자주 이용되고 있으나 서울시 전체 필요양의 66%에 불과하다.
◇불 나면 끄기 힘들다= 다세대, 다가구 주택이 몰려 있는 지역은 일단 불이 나면 소방차
등이 접근하기 힘들고 이로 인해 화재피해가 커진다.
문제의 홍제1동 불난 집 주변도 연립이나 다가구 주택들이 빼곡이 들어서 있다. 도로라고
해야 겨우 폭이 6m다. 그나마 야간이면 늘어선 차량으로 아예 소방차는 화재현장에 가지도
못한다. 집이 무너져 소방대원들이 깔렸지만 포크레인 등 장비가 들어가지 못해 시각을 다
투는 구조작업이 늦어졌다. 홍제1동 전체 세대수는 5800여세대에 달하지만 확보된 주차공간
이라야 모두 231대 분량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모두 불법 무단주차인 셈이다.
특히 다가구 주택지역은 초기 진압이 이뤄지지 않으면 다닥다닥 붙어 있는 이웃집으로 불이
옮겨 붙어 대형화재의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도심 난개발이 원인= 다세대 주택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90년 이후.
당시 서울시는 ‘주택난 해소’를 명분으로 건폐율 등 각종 규제를 완화했다. 단독주택 소
유자 또는 부동산업자들은 너도나도 다세대·다가구 주택을 지었다. 물론 주차공간이나 이
면도로 확보 등은 관심 밖이었다.
서울시에 따르면 2000년 11월말 현재 서울시 전체 206만8053호 가운데 24%인 49만4771호가
연립·다가구·다세대 주택이다.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