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여전히 바닥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안기부 예산 불법 전
용 사건’ 이후 여권이 2개월째 국정주도권을 잡고 있고, 지난해 말의 경제위기에 대한 불안감이 상
당히 가라앉았음에도 불구하고 김 대통령의 지지율은 20%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다.
3월 4~5일 조사에서 김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29.6%. 지난 1월 월례조사 때와 비교하면 0.9% 포인
트 오르는데 그쳤다. 부산·경남, 대구·경북 지역의 경우는 오히려 0.7% 포인트, 2.5% 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호남지역의 지지도는 14.1% 포인트나 올랐다(1월 45.2%에서 3월 59.3%로). 김 대
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오차범위 안에서 상승한 것조차도 호남지역의 지지도 상승에 힘입었다는
얘기가 된다.
이와 관련, 한길리서치연구소 홍형식 소장은 “‘안기부 사건’ 등으로 국정운영에 대한 안정을 찾
은 것은 호남지역 지지도 상승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영남지역의 지지도 하락의 원인이 됐
다”고 분석했다.
경제위기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을 되찾았지만 4대부문 구조조정의 후유증으로 실업자 수가 늘어나
고, 민생문제가 해결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도 김 대통령의 지지도 상승을 가로막는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세부 지표를 들여다보면 이러한 현상은 두드러진다. 성별 지지도 분포를 보면 남성층의 지지도
는 지난 1월에 비해 3.9% 포인트 올랐다. 반면 ‘장바구니 경제’를 담당하고 있는 여성층의 지지도
는 0.5% 포인트 떨어졌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김대중 대통령 지지도를 떠받치던 가장 중요한 연령층인 20대의 지지도는 4.6% 포
인트나 떨어졌다. 직업별 분포를 봐도 마찬가지. 중요한 김 대통령 지지층이던 생산·기술직과 학생
층의 지지도가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생산·기술직의 경우 14.0% 포인트, 학생층의 경우 4.5% 포인
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에 대한 공포가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김 대통령은 지난 1일 ‘국민과의 대화’ 시간의 2/3을 경제문제에 할애했다. 특히 노사문제와 실업
대책에 대해서 “노동자만 희생시키는 일은 결코 없을 것” “정보산업 분야 일손부족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대통령의 장담이 국정에는 어떻게 반영될지, 그것이 김 대통령의 지지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 여론조사는 3월 4~5일 양일간 전국의 성인남녀 93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
본오차 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2%이다.
용 사건’ 이후 여권이 2개월째 국정주도권을 잡고 있고, 지난해 말의 경제위기에 대한 불안감이 상
당히 가라앉았음에도 불구하고 김 대통령의 지지율은 20%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다.
3월 4~5일 조사에서 김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29.6%. 지난 1월 월례조사 때와 비교하면 0.9% 포인
트 오르는데 그쳤다. 부산·경남, 대구·경북 지역의 경우는 오히려 0.7% 포인트, 2.5% 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호남지역의 지지도는 14.1% 포인트나 올랐다(1월 45.2%에서 3월 59.3%로). 김 대
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오차범위 안에서 상승한 것조차도 호남지역의 지지도 상승에 힘입었다는
얘기가 된다.
이와 관련, 한길리서치연구소 홍형식 소장은 “‘안기부 사건’ 등으로 국정운영에 대한 안정을 찾
은 것은 호남지역 지지도 상승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영남지역의 지지도 하락의 원인이 됐
다”고 분석했다.
경제위기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을 되찾았지만 4대부문 구조조정의 후유증으로 실업자 수가 늘어나
고, 민생문제가 해결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도 김 대통령의 지지도 상승을 가로막는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세부 지표를 들여다보면 이러한 현상은 두드러진다. 성별 지지도 분포를 보면 남성층의 지지도
는 지난 1월에 비해 3.9% 포인트 올랐다. 반면 ‘장바구니 경제’를 담당하고 있는 여성층의 지지도
는 0.5% 포인트 떨어졌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김대중 대통령 지지도를 떠받치던 가장 중요한 연령층인 20대의 지지도는 4.6% 포
인트나 떨어졌다. 직업별 분포를 봐도 마찬가지. 중요한 김 대통령 지지층이던 생산·기술직과 학생
층의 지지도가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생산·기술직의 경우 14.0% 포인트, 학생층의 경우 4.5% 포인
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에 대한 공포가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김 대통령은 지난 1일 ‘국민과의 대화’ 시간의 2/3을 경제문제에 할애했다. 특히 노사문제와 실업
대책에 대해서 “노동자만 희생시키는 일은 결코 없을 것” “정보산업 분야 일손부족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대통령의 장담이 국정에는 어떻게 반영될지, 그것이 김 대통령의 지지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 여론조사는 3월 4~5일 양일간 전국의 성인남녀 93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
본오차 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2%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