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이순신’ 관광 상품화 ‘치열’
전남·경남, 대형프로젝트 추진..... 고증도 안 된 사업마저 진행
서남해안 자치단체들이 ‘충무공 이순신’을 소재로 한 대규모 관광 프로젝트를 경쟁적으로 추진하면서 ‘주도권 싸움’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특히 전남과 경남도가 비슷한 시기에 각각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 국비 확보 과정에서 지역 간 대립마저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선 이순신 장군을 소재로 한 사업들이 역사적 고증이나 사업타당성 분석조차 거치지 않고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전남·경남, 2000억원 사업 추진 = 경남도는 지난해 12월부터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이순신 장군 유적을 복원하고, 관광 상품화하는 ‘이순신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총2000억원 규모를 투입하는 이순신 프로젝트는 △이순신 장군 세계화 사업 △유적 관리 및 복원 △축제 및 체험사업 등을 담고 있다. 경남 사천시는 이 계획에 따라 임진왜란 ‘패전 및 수난지구’ ‘승전지구’로 각각 나눠 유적 탐방 및 체험 사업 등을 추진한다.
전남도는 이에 맞서 이순신 장군과 장보고 대사를 한데 묶은 ‘세계 해양영웅 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최종 용역 보고서가 내년 3월 제출되는 ‘세계 해양영웅 공원’은 두 인물의 유적지를 복원하고, ‘청소년 교육장’과 ‘세계 해양영웅 테마공원’ 등을 조성한데는 2000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하지만 양 자치단체가 비슷한 시기에 사업 성격마저 유사한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 예산 확보 과정에서 치열한 주도권 다툼을 예고하고 있다.
전남도 한 관계자는 “양 사업이 겹치는 부분이 많고 사업 타당성도 부족해 예산 확보과정에서 사업 규모가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증도 안 된 사업 ‘졸속’ 추진 = 이런 와중에 전국 자치단체들이 이순신 장군을 소재로 한 사업을 고증도 거치지 않고 추진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달 24일 ‘명량대첩 현창사업’ 최종 용역결과를 보고하면서 해남과 진도군 일대에서 명랑대첩을 체험하는 거북선 운항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라 실제 거북선의 1.25배인 길이 43m, 폭 13m, 승선인원 200명 규모인 거북선을 제작할 계획이다.
이 같은 용역 결과가 발표되자 전남도의회와 전남 동부지역 향토 학자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정흥수 (사)진남제전보존회 이사장은 “거북선은 명량대첩 이전에 모두 완파돼 명량대첩 때는 참전도 못했다”고 전남도의 무원칙한 사업을 꼬집었다.
서일용 전남도의원도 “서울시도 지난 1990년 역사적 고증 없이 거북선을 제작, 한강에 띄었다”며 “이제라도 충무공에 대한 제대로 된 고증과 발굴·복원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남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전남·경남, 대형프로젝트 추진..... 고증도 안 된 사업마저 진행
서남해안 자치단체들이 ‘충무공 이순신’을 소재로 한 대규모 관광 프로젝트를 경쟁적으로 추진하면서 ‘주도권 싸움’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특히 전남과 경남도가 비슷한 시기에 각각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 국비 확보 과정에서 지역 간 대립마저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선 이순신 장군을 소재로 한 사업들이 역사적 고증이나 사업타당성 분석조차 거치지 않고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전남·경남, 2000억원 사업 추진 = 경남도는 지난해 12월부터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이순신 장군 유적을 복원하고, 관광 상품화하는 ‘이순신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총2000억원 규모를 투입하는 이순신 프로젝트는 △이순신 장군 세계화 사업 △유적 관리 및 복원 △축제 및 체험사업 등을 담고 있다. 경남 사천시는 이 계획에 따라 임진왜란 ‘패전 및 수난지구’ ‘승전지구’로 각각 나눠 유적 탐방 및 체험 사업 등을 추진한다.
전남도는 이에 맞서 이순신 장군과 장보고 대사를 한데 묶은 ‘세계 해양영웅 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최종 용역 보고서가 내년 3월 제출되는 ‘세계 해양영웅 공원’은 두 인물의 유적지를 복원하고, ‘청소년 교육장’과 ‘세계 해양영웅 테마공원’ 등을 조성한데는 2000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하지만 양 자치단체가 비슷한 시기에 사업 성격마저 유사한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 예산 확보 과정에서 치열한 주도권 다툼을 예고하고 있다.
전남도 한 관계자는 “양 사업이 겹치는 부분이 많고 사업 타당성도 부족해 예산 확보과정에서 사업 규모가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증도 안 된 사업 ‘졸속’ 추진 = 이런 와중에 전국 자치단체들이 이순신 장군을 소재로 한 사업을 고증도 거치지 않고 추진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달 24일 ‘명량대첩 현창사업’ 최종 용역결과를 보고하면서 해남과 진도군 일대에서 명랑대첩을 체험하는 거북선 운항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라 실제 거북선의 1.25배인 길이 43m, 폭 13m, 승선인원 200명 규모인 거북선을 제작할 계획이다.
이 같은 용역 결과가 발표되자 전남도의회와 전남 동부지역 향토 학자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정흥수 (사)진남제전보존회 이사장은 “거북선은 명량대첩 이전에 모두 완파돼 명량대첩 때는 참전도 못했다”고 전남도의 무원칙한 사업을 꼬집었다.
서일용 전남도의원도 “서울시도 지난 1990년 역사적 고증 없이 거북선을 제작, 한강에 띄었다”며 “이제라도 충무공에 대한 제대로 된 고증과 발굴·복원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남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