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가 전국 처음으로 인공위성을 활용, 각 지역을 1㎡ 단위로 촬영할 수 있는 ‘위성영상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해 도정에 톡톡히 활용하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 2004년부터 사업비 10억5300만원을 투입,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GIS’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인공위성으로 전남 전역을 1㎡ 단위로 촬영한 영상에 갖가지 지도와 시설물 정보를 추가, 지역개발, 도시설계, 관광 안내 등에 활용할수 있도록 구축됐다.
특히 전남 전역을 마치 비행기를 타고 둘러보는 것 같은 3차원 기능과 각 지역별 용도 현황과 여러가지 통계 정보를 함께 수록, 활용분야가 넓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남도는 실제 이 시스템을 활용, 각 지역에 흩어져있는 미등록 토지 55만평을 발굴 등록하고 재정경제부로부터 토지 8만평을 양여 받았다.
또 지난 3월 행자부가 주최한 ‘2006 지역정보화 국비지원 사업’에 응모, 우수 과제로 선정돼 국비 3억4000만원을 지원 받았다.
전남도는 올 연말까지 GIS 활용범위를 도내 22개 시·군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내년부터는 일반인이 GIS를 활용해 특정지역에 사진이나 여행후기 등을 올릴 수 있도록 활용할 방침이다.
나도팔 전남도 토지관리과장은 “투자유치, 관광·레저산업 활성화를 위해 새로운 콘텐츠를 지속 개발할 예정”이며 “아리랑 2호를 활용한 수신체계도 구축할 방침”이라고 이후 계획을 설명했다.
/무안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전남도는 지난 2004년부터 사업비 10억5300만원을 투입,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GIS’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인공위성으로 전남 전역을 1㎡ 단위로 촬영한 영상에 갖가지 지도와 시설물 정보를 추가, 지역개발, 도시설계, 관광 안내 등에 활용할수 있도록 구축됐다.
특히 전남 전역을 마치 비행기를 타고 둘러보는 것 같은 3차원 기능과 각 지역별 용도 현황과 여러가지 통계 정보를 함께 수록, 활용분야가 넓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남도는 실제 이 시스템을 활용, 각 지역에 흩어져있는 미등록 토지 55만평을 발굴 등록하고 재정경제부로부터 토지 8만평을 양여 받았다.
또 지난 3월 행자부가 주최한 ‘2006 지역정보화 국비지원 사업’에 응모, 우수 과제로 선정돼 국비 3억4000만원을 지원 받았다.
전남도는 올 연말까지 GIS 활용범위를 도내 22개 시·군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내년부터는 일반인이 GIS를 활용해 특정지역에 사진이나 여행후기 등을 올릴 수 있도록 활용할 방침이다.
나도팔 전남도 토지관리과장은 “투자유치, 관광·레저산업 활성화를 위해 새로운 콘텐츠를 지속 개발할 예정”이며 “아리랑 2호를 활용한 수신체계도 구축할 방침”이라고 이후 계획을 설명했다.
/무안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