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힐 차관보 한미정상회담 내용 공개
국회 동의 필요사항… 청와대는 부인
노무현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에서 ‘한국군 이라크 파병 연장’을 약속했는지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27일(현지시간) 워싱턴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CSIS와 조선일보 공동주최 세미나에 참석, “한미정상회담에서 이라크 상황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며 “이라크에 한국군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한국의 (그동안의) 지속적인 약속에 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노 대통령이 ‘쉬운 게 아니었지만 그 당시 그 결정을 했고, 계속 이를 지지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는 노 대통령이 파병연장을 약속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이라크 파병기간은 올해로 끝나 이를 연장하려면 국회동의가 필요하다. 최근 여야 국회의원 5명은 한국군 파병지역인 이라크 아르빌 현지에 다녀와서 ‘연장반대’의사를 밝히는 등 파병연장을 둘러싸고 정치권과 시민단체들 사이에서 찬반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힐 차관보는 또 한국의 레바논 평화유지군 참여 문제가 논의됐으며, 이에 따라 한국이 조만간 레바논에 조사팀을 파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미정상회담 당시 미국측 배석자 중 한 명이다. 청와대는 당시 브리핑자료에서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 및 아프가니스탄의 평화정착과 재건에의 참여 등을 포함하여 국제적인 차원의 자유의 신장을 위해 한국이 동맹국으로서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점에 사의를 표했다’고만 밝혔을 뿐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대해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부시 대통령이 한국의 이라크 파병에 대해 사의를 표했지만, 양 정상 사이에 이라크 파병 연장에 대한 논의는 전혀 없었고, 대통령도 언급을 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레바논 파병문제에 대해서도 “그런 논의가 없었다”며 “발언이 와전된 것 같은데 힐 차관보가 이를 해명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국회 동의 필요사항… 청와대는 부인
노무현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에서 ‘한국군 이라크 파병 연장’을 약속했는지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27일(현지시간) 워싱턴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CSIS와 조선일보 공동주최 세미나에 참석, “한미정상회담에서 이라크 상황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며 “이라크에 한국군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한국의 (그동안의) 지속적인 약속에 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노 대통령이 ‘쉬운 게 아니었지만 그 당시 그 결정을 했고, 계속 이를 지지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는 노 대통령이 파병연장을 약속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이라크 파병기간은 올해로 끝나 이를 연장하려면 국회동의가 필요하다. 최근 여야 국회의원 5명은 한국군 파병지역인 이라크 아르빌 현지에 다녀와서 ‘연장반대’의사를 밝히는 등 파병연장을 둘러싸고 정치권과 시민단체들 사이에서 찬반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힐 차관보는 또 한국의 레바논 평화유지군 참여 문제가 논의됐으며, 이에 따라 한국이 조만간 레바논에 조사팀을 파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미정상회담 당시 미국측 배석자 중 한 명이다. 청와대는 당시 브리핑자료에서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 및 아프가니스탄의 평화정착과 재건에의 참여 등을 포함하여 국제적인 차원의 자유의 신장을 위해 한국이 동맹국으로서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점에 사의를 표했다’고만 밝혔을 뿐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대해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부시 대통령이 한국의 이라크 파병에 대해 사의를 표했지만, 양 정상 사이에 이라크 파병 연장에 대한 논의는 전혀 없었고, 대통령도 언급을 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레바논 파병문제에 대해서도 “그런 논의가 없었다”며 “발언이 와전된 것 같은데 힐 차관보가 이를 해명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