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이 28일 오전 공식 출범했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주변국들과의 역사문제를 연구할 3개의 연구실과 운영기획, 전략기획, 교류홍보실 등으로 구성됐으며 앞으로 역사문제에 대한 연구 분석, 올바른 역사이해를 위한 대국민 홍보, 국내외 시민사회 학계와의 협력사업 등을 추진한다.
동북아역사재단은 또 중국의 한국 고대사 왜곡,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역사 교과서 왜곡문제 등에 대한 조사·연구와 함께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정부와 연계해바른 역사 정립을 위한 통합 조정기구의 기능도 담당하게 된다.
현판식에는 김신일 교육부총리, 권철현 국회교육위원장, 이태진 서울대교수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교육부총리는 인사말을 통해 “동북아역사재단이 국민들에게 올바른 역사인식을 확산시켜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응하기 위해 2004년 3월 발족한 고구려연구재단을 대체하기 위해 지난해 9월 국회에 설립 근거법안이 제출됐지만사립학교법을 둘러싼 여야 대치로 법안처리가 늦어져 출범이 지연됐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동북아역사재단은 주변국들과의 역사문제를 연구할 3개의 연구실과 운영기획, 전략기획, 교류홍보실 등으로 구성됐으며 앞으로 역사문제에 대한 연구 분석, 올바른 역사이해를 위한 대국민 홍보, 국내외 시민사회 학계와의 협력사업 등을 추진한다.
동북아역사재단은 또 중국의 한국 고대사 왜곡,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역사 교과서 왜곡문제 등에 대한 조사·연구와 함께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정부와 연계해바른 역사 정립을 위한 통합 조정기구의 기능도 담당하게 된다.
현판식에는 김신일 교육부총리, 권철현 국회교육위원장, 이태진 서울대교수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교육부총리는 인사말을 통해 “동북아역사재단이 국민들에게 올바른 역사인식을 확산시켜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응하기 위해 2004년 3월 발족한 고구려연구재단을 대체하기 위해 지난해 9월 국회에 설립 근거법안이 제출됐지만사립학교법을 둘러싼 여야 대치로 법안처리가 늦어져 출범이 지연됐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