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회사의 판매일반관리비용이 타 제조업의 3배 정도로 드러났다. 한 시민단체는 "이는 바로 의료
계 등에 제공하는 고질적인 판촉비"라고 주장, 관심을 끌고 있다.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회장 강봉주)는 31일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35개 제약사를 대상으로 매출액
대비 판매일반관리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한 결과, 평균 31,3%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35개 제약회
사의 매출액은 3조860억원인데 반해 판매일반관리비는 9674억원으로 건약은 매출액의 10∼15%인 3086억
∼4629억원이 불법거래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했다. 이번 조사는 대상 제약회사의 99년 3월과 11월 12
월 2000년 3월 결산을 기준으로 했다.
제약회사의 판매일반관리비율은 97년 한국은행이 발표한 대기업(11.5%)과 중소기업(12.1%)등 일반 제조
업체의 11.7%의 3배에 가까운 수치다. 이는 경찰이 의사가 파업중에도 제약회사의 리베이트를 받았다
는 증거를 확보, 본격수사에 들어간 시점에 나온 것이어서 특히 주목된다.
제약회사가 기형적으로 판매일반관리비용 지출이 높은 것은 의약품 리베이트나 랜딩비 등 불법거래
와 과다한 물류비용 지나친 광고비 때문인 것으로 건약은 풀이했다. 결국 제약사와 의료계간의 비정
상적인 불법거래가 불필요한 지출을 늘려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의약품 오남용을 부추기는 원인으
로 지적되고 있다.
건약은 성명을 통해 “제약사의 불법거래를 근절하기 위해 판매일반관리비가 일반제조업 수준으로
떨어질 때까지 금융 및 세제 조치를 취할 것”을 주장했다. 특히 비자금을 조성하지 못하도록 판매일
반관리비용에서 신용카드 이외에 모든 비용을 인정하지 않고 세무조사를 강화할 것을 강조했다.
건약은 또 지금까지 이같은 관행이 계속 이어져온 것은 관계당국의 형식적인 감사나 눈감아주기 감
사가 한몫 거들었다고 덧붙였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