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성들 사이에서 꽃미남 열풍이 불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금전적 여유가 생기고 대도시를 중심으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성형외과나 미용실을 찾는 중국 남성이 크게 늘고 있다고 중국 <차이나데일리>가 보도했다.
요즘 중국 남성의 최대 관심사는 ‘젊음’ ‘동안’ ‘활기’ 세 단어다.
신문은 중국 남성들이 성형수술을 받거나, 미용실·마사지샵·화장품매장 등에 문이 닳도록 출입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상하이를 비롯한 대도시 거주 남성들은 치열한 사회경쟁 속에서 취업과 결혼을 위해 자신을 가꾸는 일에 투자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
성형외과를 찾는 중국 남성들은 주로 쌍꺼풀을 만들거나 턱·코 수술, 흉터제거를 원한다.
중국미용협회에 따르면 최근 쌍꺼풀·코·턱·광대뼈 수술환자의 3분의 1이 남성이었다.
상하이 레나이병원의 경우 전체 수술건수 중 20%를 남성 성형수술이 차지했다. 3년 전만해도 5%에 불과했다.
남성 미용시장 역시 연 20%씩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체 화장품 매출 20억 위안(2389억원) 중 30%가 남성들의 주머니에서 나오고 있다.
중국 사회학자들은 중국 남성 사이에서 부는 꽃미남 열풍이 상하이 등과 같이 대도시를 중심으로 취업과 결혼이 어려워지면서 자신의 능력을 돋보이도록 하려는 시도로 분석하고 있다. 외모가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는 것.
신문은 “보다 젊고 활동적으로 보이는 것은 이제 중국 남성들 사이에서 우선순위가 됐다”고 지적했다.
언론매체가 보여주는 조화로운 몸매와 섬세한 피부를 가진 남성 이미지도 이런 풍조를 부추겼다. 특히 40대 이상 중국 남성 사이에서 동안(童顔) 열풍이 불면서 연예인처럼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고운 피부를 갖기 위해 마사지와 성형수술 등 전문가 도움을 받는 이들이 늘고 있다.
톈 홍 상하이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차이나데일리>와 인터뷰에서 “남성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현상은 소비문화의 확산에서 비롯됐다”며 “이제 중국의 전통적 가치는 점점 사라지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이지혜 리포터 2ma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차이나데일리>차이나데일리>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금전적 여유가 생기고 대도시를 중심으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성형외과나 미용실을 찾는 중국 남성이 크게 늘고 있다고 중국 <차이나데일리>가 보도했다.
요즘 중국 남성의 최대 관심사는 ‘젊음’ ‘동안’ ‘활기’ 세 단어다.
신문은 중국 남성들이 성형수술을 받거나, 미용실·마사지샵·화장품매장 등에 문이 닳도록 출입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상하이를 비롯한 대도시 거주 남성들은 치열한 사회경쟁 속에서 취업과 결혼을 위해 자신을 가꾸는 일에 투자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
성형외과를 찾는 중국 남성들은 주로 쌍꺼풀을 만들거나 턱·코 수술, 흉터제거를 원한다.
중국미용협회에 따르면 최근 쌍꺼풀·코·턱·광대뼈 수술환자의 3분의 1이 남성이었다.
상하이 레나이병원의 경우 전체 수술건수 중 20%를 남성 성형수술이 차지했다. 3년 전만해도 5%에 불과했다.
남성 미용시장 역시 연 20%씩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체 화장품 매출 20억 위안(2389억원) 중 30%가 남성들의 주머니에서 나오고 있다.
중국 사회학자들은 중국 남성 사이에서 부는 꽃미남 열풍이 상하이 등과 같이 대도시를 중심으로 취업과 결혼이 어려워지면서 자신의 능력을 돋보이도록 하려는 시도로 분석하고 있다. 외모가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는 것.
신문은 “보다 젊고 활동적으로 보이는 것은 이제 중국 남성들 사이에서 우선순위가 됐다”고 지적했다.
언론매체가 보여주는 조화로운 몸매와 섬세한 피부를 가진 남성 이미지도 이런 풍조를 부추겼다. 특히 40대 이상 중국 남성 사이에서 동안(童顔) 열풍이 불면서 연예인처럼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고운 피부를 갖기 위해 마사지와 성형수술 등 전문가 도움을 받는 이들이 늘고 있다.
톈 홍 상하이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차이나데일리>와 인터뷰에서 “남성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현상은 소비문화의 확산에서 비롯됐다”며 “이제 중국의 전통적 가치는 점점 사라지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이지혜 리포터 2ma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차이나데일리>차이나데일리>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