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국방위원장 답방 이후에나 있을 것으로 예견됐던 개각이 3월 중 이루어질 전망이다. 7일 청와대나 민주당 관계자들은 “김대중 대통령이 귀국한 후 그리 멀지 않은 시간에 개각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여권 인사들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답방이 5월 이후에나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외교·안보팀을 교체할 시간을 벌었다는 점 △DJP 2차회동 후 자민련의 요구를 들어줘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는 점 등을 개각요인으로 들었다.
이번 개각에서는 한광옥 비서실장과 임동원 국정원장을 제외한 외교·안보팀 일부를 교체한다는 것. 경제팀의 경우 경제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거의 바꾸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민주당 동교동계의 모 의원은 “지난해 말 당정쇄신이라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는 비서실장, 국정원장을 포함한 대폭 개각이 될 수도 있다”는 관측을 내놓았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경제팀도 상당수 바뀔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 대통령이 집권 3주년을 전후해 “이제는 시장이 개혁의 주체로 나서야 한다”고 선언한 것이 경제팀 교체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약속한대로 2월까지 큰 틀에서는 4대부문 개혁을 마무리했다’며 단계를 그은 것도 경제팀 교체의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개각이 이뤄질 경우 청와대 수석진용도 상당수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
여권 인사들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답방이 5월 이후에나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외교·안보팀을 교체할 시간을 벌었다는 점 △DJP 2차회동 후 자민련의 요구를 들어줘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는 점 등을 개각요인으로 들었다.
이번 개각에서는 한광옥 비서실장과 임동원 국정원장을 제외한 외교·안보팀 일부를 교체한다는 것. 경제팀의 경우 경제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거의 바꾸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민주당 동교동계의 모 의원은 “지난해 말 당정쇄신이라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는 비서실장, 국정원장을 포함한 대폭 개각이 될 수도 있다”는 관측을 내놓았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경제팀도 상당수 바뀔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 대통령이 집권 3주년을 전후해 “이제는 시장이 개혁의 주체로 나서야 한다”고 선언한 것이 경제팀 교체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약속한대로 2월까지 큰 틀에서는 4대부문 개혁을 마무리했다’며 단계를 그은 것도 경제팀 교체의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개각이 이뤄질 경우 청와대 수석진용도 상당수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