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토스 차기 국제관계위원장, 6자회담 정책 수정 주장
“6자회담 후 평양 방문도 필요 … 북에 평화의도 보여야”
내년 1월 개원하는 미국의 새 의회에서 하원 국제관계위원장을 맡을 톰 랜토스(민주) 의원은 15일 북핵 6자회담이 재개되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사진)에게 ‘포괄적이고 검증가능한’ 타결책을 마련토록 협상 전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협상파로 분류되는 힐 차관보에게 협상전권이 주어질 경우 6자회담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전개양상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힐 차관보는 지난해 ‘북핵 폐기와 경수로 제공 등 상응조치의 맞교환’을 골자로 하는 9·19 공동성명에 합의했다가 미국내 강경파로부터 ‘지나치게 양보했다’ ‘북한에 또 한번 속았다’ 등 집중공격을 받았다. 이후 미 행정부내 강경 목소리가 득세하면서 힐 차관보는 올해 중반부터 경직된 협상태도로 일관하는 등 입지가 대거 좁아진 상태다.
랜토스 의원은 이날 니컬러스 번스 국무차관이 증인으로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하원 국제관계위 북한문제 청문회에서 또 “부통령실과 국방부에 박혀있는 강경파에게 (협상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허용해선 안된다”고 촉구했다. 랜토스 의원은 “부시 행정부 내부 자체의 싸움(feuds)이 대북정책을 파행케 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백악관은 대북정책이 실패했음이 온 세상에 드러난 만큼 새로운 대담한 접근법을 시도해야 한다”고 대북 정책 수정을 촉구하고 “나는 의회에서 북한문제가 최우선 과제가 되도록 하고, 부시 행정부가 내부 정책불화를 해소토록 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힐 차관보가 내달 재개되는 6자회담에 참석한 후 귀로에 “새롭고 별개의 협상을 위해서가 아니라 평양에 우리의 평화 의도를 보여주기 위해” 북한을 방문해야 한다며, “미국 외교관의 북한 방문을 불허하는 부시 행정부의 정책은 끝나야하며, 그것도 지금 끝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힐 차관보는 지난해 9·19 성명 채택 직후 방북의사를 밝혔고 북한도 차관보를 공개리에 초청했으나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로 대화국면 자체가 경색되면서 차관보 방북은 없던 일이 돼 버렸다. 힐 차관보가 방북할 경우 2002년 이른바 ‘2차 핵위기’ 이후 북한 땅을 밟는 미국측 최고위 당국자가 된다. 이 경우 파격적인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면담도 기대해볼 수 있다.
/조숭호 기자 shch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6자회담 후 평양 방문도 필요 … 북에 평화의도 보여야”
내년 1월 개원하는 미국의 새 의회에서 하원 국제관계위원장을 맡을 톰 랜토스(민주) 의원은 15일 북핵 6자회담이 재개되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사진)에게 ‘포괄적이고 검증가능한’ 타결책을 마련토록 협상 전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협상파로 분류되는 힐 차관보에게 협상전권이 주어질 경우 6자회담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전개양상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힐 차관보는 지난해 ‘북핵 폐기와 경수로 제공 등 상응조치의 맞교환’을 골자로 하는 9·19 공동성명에 합의했다가 미국내 강경파로부터 ‘지나치게 양보했다’ ‘북한에 또 한번 속았다’ 등 집중공격을 받았다. 이후 미 행정부내 강경 목소리가 득세하면서 힐 차관보는 올해 중반부터 경직된 협상태도로 일관하는 등 입지가 대거 좁아진 상태다.
랜토스 의원은 이날 니컬러스 번스 국무차관이 증인으로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하원 국제관계위 북한문제 청문회에서 또 “부통령실과 국방부에 박혀있는 강경파에게 (협상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허용해선 안된다”고 촉구했다. 랜토스 의원은 “부시 행정부 내부 자체의 싸움(feuds)이 대북정책을 파행케 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백악관은 대북정책이 실패했음이 온 세상에 드러난 만큼 새로운 대담한 접근법을 시도해야 한다”고 대북 정책 수정을 촉구하고 “나는 의회에서 북한문제가 최우선 과제가 되도록 하고, 부시 행정부가 내부 정책불화를 해소토록 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힐 차관보가 내달 재개되는 6자회담에 참석한 후 귀로에 “새롭고 별개의 협상을 위해서가 아니라 평양에 우리의 평화 의도를 보여주기 위해” 북한을 방문해야 한다며, “미국 외교관의 북한 방문을 불허하는 부시 행정부의 정책은 끝나야하며, 그것도 지금 끝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힐 차관보는 지난해 9·19 성명 채택 직후 방북의사를 밝혔고 북한도 차관보를 공개리에 초청했으나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로 대화국면 자체가 경색되면서 차관보 방북은 없던 일이 돼 버렸다. 힐 차관보가 방북할 경우 2002년 이른바 ‘2차 핵위기’ 이후 북한 땅을 밟는 미국측 최고위 당국자가 된다. 이 경우 파격적인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면담도 기대해볼 수 있다.
/조숭호 기자 shch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