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작구 본동 467번지 일대 2만2575㎡에 이르는 지역의 주택재개발 사업이 다음달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8일 서울시는 도시계획위원회를 통해 지난 96년 재개발사업 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시공사의 부도 등으로 4년째 건축사업이 지연된 동작구 본동 제2구역 제3지구에 대한 주택재개발 구역 변경지정건에 대해 임의주택을 처음 계획대로 건립하는 조건으로 가결시켰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본동 재개발구역은 건폐율 25% 이하, 용적률 280% 이하를 적용받아 12∼18층의 고층아파트 5개동이 건립되며 구역내 2392㎡에 의무적으로 임대주택이 세워진다.
도시계획위원회는 동대문구 답십리동 498-7번지 일대 답십리 제15주택재개발사업구역 지정건에 대해서는 이 지역이 일반상업지역이기 때문에 주거기능으로 잠식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등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 건을 일반소위원회에서 심의하도록 했다.
용산지구단위계획안에 대해서도 계획 내용이 방대하다는 점을 들어 일반소위로 넘겼다.
또 삼육간호대와 경희대가 신청한 자연경관지구내 건축물 높이제한 완화 신청안은 학교 세부조성계획을 고려해 수권 소위원회에서 검토, 처리키로 했다.
8일 서울시는 도시계획위원회를 통해 지난 96년 재개발사업 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시공사의 부도 등으로 4년째 건축사업이 지연된 동작구 본동 제2구역 제3지구에 대한 주택재개발 구역 변경지정건에 대해 임의주택을 처음 계획대로 건립하는 조건으로 가결시켰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본동 재개발구역은 건폐율 25% 이하, 용적률 280% 이하를 적용받아 12∼18층의 고층아파트 5개동이 건립되며 구역내 2392㎡에 의무적으로 임대주택이 세워진다.
도시계획위원회는 동대문구 답십리동 498-7번지 일대 답십리 제15주택재개발사업구역 지정건에 대해서는 이 지역이 일반상업지역이기 때문에 주거기능으로 잠식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등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 건을 일반소위원회에서 심의하도록 했다.
용산지구단위계획안에 대해서도 계획 내용이 방대하다는 점을 들어 일반소위로 넘겼다.
또 삼육간호대와 경희대가 신청한 자연경관지구내 건축물 높이제한 완화 신청안은 학교 세부조성계획을 고려해 수권 소위원회에서 검토, 처리키로 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