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이 개항을 보름 남겨두고 개항연기 논란에 휘말렸다.
13일 영종도 인천국제공항에서 열린 공항 개항에 따른 문제점과 대책에 참석한 국
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의원들은 3월 29일 개항의 연기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에 앞서 인천국제공항의 전반적 운영체계를 점검해온 외국 전문 공항컨설팅사가 수하물
처리 및 안전시설 미비 등을 이유로 개항일정의 수정을 요구한 보고서를 공항공사측에 제출
한 바 있어 연기논란에 불을 지필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건교위 소속 의원 전원 명의로 채택된 결의문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은 ▲51% 수
준의 낮은 정비시설 공정 ▲속도가 늦고 오작동 가능성이 우려되는 수하물자동처리시스템
▲부족한 숙박편의시설, 취약한 공항 접근성 ▲폭발물 사전 감지 위한 수하물일치시스템의
미구축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한나라당 안상수 의원은 “공항에 항공기의 안전과 밀접한 중정비 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았
으며 수하물의 처리속도가 늦고 분류에 오류가 발생하는 등 전반적 운영체계에 문제점이 지적
된 만큼 개항연기를 심각히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일부 의원은 중국의 푸동공항과 홍차오공항의 사례를 들며 김포공항에서 인천공항으로
의 단계적 이전으로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오류와 실수를 줄여나갈 것을 제안하
기도 했다.
개항 연기론에 대해 민주당 의원들은 “개항 연기에 따른 국제 신인도 하락, 항공사 계약
파기 등 각종 경제적 손실을 공항공사측은 제시하라”고 주문하고 “신중하게 처리해야 할
것”이라고 맞받았다.
인천국제공항공사 강동석 사장도 답변을 통해 “항공기 운행과 공항 운영의 안정성은 자신
한다”며 “다만 이용자 편의에 해당하는 부분이 미흡하다고 본다”고 답변해 개항연기는
없음을 밝혔다.
그러나 인천공항의 개항 연기여부는 15일 건설교통부 장관의 청와대 보고에서 최종 매듭지
어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영종도 인천국제공항에서 열린 공항 개항에 따른 문제점과 대책에 참석한 국
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의원들은 3월 29일 개항의 연기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에 앞서 인천국제공항의 전반적 운영체계를 점검해온 외국 전문 공항컨설팅사가 수하물
처리 및 안전시설 미비 등을 이유로 개항일정의 수정을 요구한 보고서를 공항공사측에 제출
한 바 있어 연기논란에 불을 지필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건교위 소속 의원 전원 명의로 채택된 결의문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은 ▲51% 수
준의 낮은 정비시설 공정 ▲속도가 늦고 오작동 가능성이 우려되는 수하물자동처리시스템
▲부족한 숙박편의시설, 취약한 공항 접근성 ▲폭발물 사전 감지 위한 수하물일치시스템의
미구축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한나라당 안상수 의원은 “공항에 항공기의 안전과 밀접한 중정비 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았
으며 수하물의 처리속도가 늦고 분류에 오류가 발생하는 등 전반적 운영체계에 문제점이 지적
된 만큼 개항연기를 심각히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일부 의원은 중국의 푸동공항과 홍차오공항의 사례를 들며 김포공항에서 인천공항으로
의 단계적 이전으로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오류와 실수를 줄여나갈 것을 제안하
기도 했다.
개항 연기론에 대해 민주당 의원들은 “개항 연기에 따른 국제 신인도 하락, 항공사 계약
파기 등 각종 경제적 손실을 공항공사측은 제시하라”고 주문하고 “신중하게 처리해야 할
것”이라고 맞받았다.
인천국제공항공사 강동석 사장도 답변을 통해 “항공기 운행과 공항 운영의 안정성은 자신
한다”며 “다만 이용자 편의에 해당하는 부분이 미흡하다고 본다”고 답변해 개항연기는
없음을 밝혔다.
그러나 인천공항의 개항 연기여부는 15일 건설교통부 장관의 청와대 보고에서 최종 매듭지
어질 것으로 보인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